$\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T에 의한 직접기초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Shallow Foundation by Plate Bearing Test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5 no.4 = no.42, 2005년, pp.423 - 433  

기완서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주승완 (서강정보대학 건설환경과) ,  김선학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접기초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해 편마암 풍화토로 구성된 A, B 대상현장에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이론적, 경험적 지지력 공식 및 여러 침하량산정 공식에 대한 비교$\cdot$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편마암의 풍화토지 반에 실시되어진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를 이용한 효율적인 안정성 평가방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허용 지지력은 Terzaghi의 이론공식이 평판재하시험 결과에 비교하여 과대하게 산정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 기초 설계시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Terzaghi-Peck 방법이 침하량이 크게 나타나 안정적인 설계를 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마암의 풍화토 지반에 실시된 평판재하시험결과 하중-침하 곡선에서 얻어진 지지력으로 안정성을 검토하는 경우 침하량 관점 보다 더 안전측으로 평가되어 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design of spread foundation and the stability evalua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it for theoretical, empirical bearing capacity formulas, and various settlement computation formulas, by conducting the plate bearing test at the site of A and B, which consisted of gneiss weathered soil. I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 기초의 효율적인 설계 및 안정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편마암 풍화토 지 반의 A, B 대상현장에 실시되어진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적용하고 있는 이론적, 경험적 지지력 공식 및 여러 침하량 산정공식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편마암의 풍화토 지 반에 실시되어진 평판재 하시험 결과를 이용한 효율적인 안정성 평가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상 지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직접 기초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기존의 직접 기초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공식들을 정리하고, 두 번째로 국내의 대표적인 지반 특성을 가진 두 현장의 8개 지점에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지지력과 침하량, 지반반력 계수를 결정하고, 세 번째로 재하실험결과를 이용한 Bowles(1988)의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침하량을 산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각의 방법으로 산출된 결과 값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지반특성에 따른 적합한 안정성 평가방법을 고찰하였다.
  • 지반특성에 따라 국내외에서 현재까지 제안되어 사용되어오고 있는 이론적, 경험적 지지력과 침하량 산정 공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흙 지반에서의 평판재하시험은 흙의 전단강도와 변형특성을 알기 위해 실시한다. 풍화암 이상의 암반에서의 평판재하시험은 극한하중을 얻지 못하고 변형 특성, 즉 지반반력계수를 얻기 위해 이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광주광역시, 1999, 광주광역시 신청사 건립공사현장 평판재하시험보고, 40p 

  2. 도로교표준시방서, 1996, 건설교통부, pp. 274-305 

  3. 박영호, 정종홍, 2000, 직접기초의 설계와 안정성검토, 한국지반공학회 말뚝기초위원회, 말뚝기초 워크샵, pp.34-77 

  4. 이삼영, 2002,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얕은기초의 지지력 및 침하량 산정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p 

  5. 전라남도, 1998, 광양 커뮤니티 센타 신축부지 평판재하시험보고서, 48p 

  6. 한국지반공학회, 1997,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한국지반공학회, pp.152-153 

  7. 한국지반공학회, 1997, 지반조사결과의 해석 및 응용, 한국지반공학회, pp.226-247 

  8. Bowles J. E., 1988,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5thed, McGraw Hilt pp.284-341 

  9. Hansen, J. Brinch, 1970, A general formula for bearing capasity, Dan Geotech. 1st 

  10. NAVFAC DM 7.1, 1982, soil mechanics, Design Manual 7.1, pp.211-219 

  11. Meyerhof, G.G., 1965, Shallow foundations, ASCE, JSMFD, vol.991, SM2, pp.21-31 

  12. Robert, W. D., 1999, Geotechnical and Foun- dation Engineering, McGraw-Hilt pp.4-42 

  13. Schmertmann, J. H., 1970, Static cone to compute static settlement over sand, ASCE, JSMFD, vol.98, SM3, pp.1011-1043 

  14. Schmertmann, J. H., Hartman, J. P. and Broun, P. R., 1978, Improved strain influence factor diagram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icity of civil engineers, pp.1131-1135 

  15.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Jhen Wiley & Sons, 586p 

  16. Terzaghi, k., 1955, Evaluation of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Geotechnique, vol5, pp.297-326 

  17. Terzaghi, K. and Peck, R.B., 1967, Soil mecha nics in enginering practice, Jho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