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중국해 북부 대륙붕에 발달한 후기 홀로세 니질 퇴적체의 분포양상과 층서의 발달 특성을 밝히기 위해 고해상도 Chirp 탄성파 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해상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음향기반암(기저 경계면 B)위에 2개의 퇴적층서(Unit 1과 2)가 나타나며 이들은 침식 경계면(중간 반사면 M)으로 경계된다. 하위 퇴적층서 Unit 1은 음향학적으로 평행 또는 준평행 반사층리와 수로 충진 퇴적상이 나타난다. 상위 퇴적층서 Unit 2는 반투명 내부 퇴적상과 7m 이하 퇴적두께의 렌즈형태로 발달해 있다. 시퀀스 층서분석으로부터 이들 퇴적층서는 마지막 저해수준 이후 형성되었다. 해침 퇴적체(Unit 1)는 최후 빙기동안 형성된 층서 경계면위에 바로 분포한다. 해침 퇴적체는 침식곡의 염하구 환경하에서 하천, 델타, 그리고 조간대 환경의 복합 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침 퇴적체 바로 위는 침식 저지형의 최대 범람면이 나타난다. 최대 범람면위에 발달한 고해수준 퇴적체(Unit 2)은 저지대를 충진하는 니질 퇴적체로 구성된다. 니질 퇴적체는 제주도 남쪽 약 140km 떨어진 곳에 마치 태풍 같은 모양의 원형 형태로 수심 약 60-90m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달해 있다. 이 퇴적체의 분포 면적과 부피는 각각 약 $3,200km^2$와 약 $10.7\times1109m^3$이다. 니질 퇴적체의 기원은 고황하와 양자강에서 배출된 부유퇴적물의 혼합기원으로 해석된다. 원형의 분포형태는 북부 동중국해에 발달한 반시계 방향와류 순환계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the sedimentary sequ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te Holocene muddy deposit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shelf using the high-resolution 'Chirp' profiles. The seismic sedimentary sequence overlying acoustic basement (basal reflector-B) can be divided into two depositional u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hirp 탄성파 단면도에서 구분 가능한 퇴적단위 (depositional unit)와 이들을 구분하는 층서경계면(unit boundary)을 설정 . 분석하였다.
  • 수신된 탄성파 자료 신호는 시스템 기억장치에 저장하였으며 또한. EPC 9800 기록계를 이용하여 지층단면도를 기록하였다. 자료 취득은 한국해양연구원 종합조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2003년 4월과 2004년 5월에 2년 동안 실시되었다.
  • 5. High resolution chirp seismic profile and its interpretation showing two sedimentary units (Unit 1 and 2), bounded by mid reflector-M, above the basal reflector-B, SB: sequence boundary, MFS: maximum flooding surface, HST: highstand systems tract, TST: transgressive systems tract. Location of the profile is shown in Fig.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고해상 'Chirp' 탄성파 단면도이며, ODEC (Ocean Data Equipment Corpora- tion)사의 BATHY-2000P 지층탐사 시스템으로 8 kHz 대역의. FM Chirp 파형을 이용흐}여 획득하였다.
  •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배타적 경제수역 해양자원 조사, , 연구사업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연구재료는 한국해양연구원 종합조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획득하였으며, 이 자리를 빌려 선장님과 승조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본 논문을 완성하기 위해 자료와 그림을 정리해 주신 우지민님께 감사드립니다.
  • 연구해역은 제주도 남방 해역(북위: 30°45'~32°45', 동경: 125°도 15'~126°45)에 위치한 동중국해의 북동 부 대륙붕으로 수심은 약 60~110m 사이이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점차 깊어지는 완만한 해저지형을 보인다(Fig. 1). 본 연구의 목적은 1) 고해상 Chirp 탄성파자료 분석을 통한 동중국해 북동부 외대륙붕에 발달한 니질 퇴적체의 규모와 분포형태, 2) 퇴적체의 층서 발달 양상, 그리고 3)생성 기원을 밝히는 데 있다.
  • EPC 9800 기록계를 이용하여 지층단면도를 기록하였다. 자료 취득은 한국해양연구원 종합조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2003년 4월과 2004년 5월에 2년 동안 실시되었다. 탄성파 측선 설정은 북동-남서 방향의 14개 측선과 북서-남동 방향의 14개 측선 그리고 일부 보조측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측선 거리는 약 6, 400 L-km 에 이른다(Fig.
  • 자료 취득은 한국해양연구원 종합조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2003년 4월과 2004년 5월에 2년 동안 실시되었다. 탄성파 측선 설정은 북동-남서 방향의 14개 측선과 북서-남동 방향의 14개 측선 그리고 일부 보조측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측선 거리는 약 6, 400 L-km 에 이른다(Fig. 2). 항해 위치 관측은 온 누리호에 설치된 DGPS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탐사시 조사선의 속도는 약 5노트를 유지하였다.
  • 항해 위치 관측은 온 누리호에 설치된 DGPS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탐사시 조사선의 속도는 약 5노트를 유지하였다. 퇴적물 분포 특성은 조사지역에서 획득한 시추퇴적물 분석자료와 기존의 연구자료들을 이용하였다. 퇴적물의 두께는 음파속도를 1,500 m/s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 하위퇴적층서 Unit 1은 해침퇴적 체로 해석되며, 최후 빙기동안 형성된 층서 경계면위에 분포한다. 해침퇴적체 Unit 1은 침식곡의 염하구 환경하에서 하천, 델타, 그리고 조간대 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침퇴적체는 침식 저지대 지형을 보이는 최대 범람면에 의해 경계지여진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고해상 'Chirp' 탄성파 단면도이며, ODEC (Ocean Data Equipment Corpora- tion)사의 BATHY-2000P 지층탐사 시스템으로 8 kHz 대역의. FM Chirp 파형을 이용흐}여 획득하였다. 수신된 탄성파 자료 신호는 시스템 기억장치에 저장하였으며 또한.
  • 퇴적물의 두께는 음파속도를 1,500 m/s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탄성파 자료 분석과 해석은 기존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1987; Posamentier et al., 1988; Van Wagoner et al., 19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윤정수, 임동일, 변종수, 정희수 (2005) 87Sr/86Sr 비를 이용한 동중국해 대륙붕 퇴적물의 기원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권, p. 92-99 

  2. 한국해양연구원 (2002) 배타적 경제수역내 해양자원조사. 해양수산부 

  3. Ahn, Y.H., Shanmugam, P. and Gallegos, S. (2004) Evolution of suspended sediment patterns in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J. Korean Soc. Oceanogr., v. 39, p. 26-34 

  4. Allen, G.E and Posamentier, H.W. (1993) Sequence stratigraphy and fades model of an incised valley fill: the Gironde estuary. France. J. Sed. Petro., v. 63, p. 378-391 

  5. Beardsley, R.C., Limeburner, R., Yu, H., and Cannon, G.A. (1985) Discharge of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into the East China Sea. Con. Shelf Res., v. 4, p. 57-76 

  6. Berne, S., Vagner, P., Guichard, E, Lericolais, G., Liu, Z., Trentesaux, A., Yin, P. and Yi, H. (2002) Pleistocene forced regressions and tidal sand ridges in the East China Sea. Mar. Geol., v. 3193, p. 1-23 

  7. Butenko, J., Milliman, J.D. and Yincan, Y. (1985) Geo-morphology, shallow structure, and geological hazards in the East China Sea. Con. Shelf Res., v. 4, p. 121-141 

  8. Chen, Z., Song, B., Wang, Z. and Cai, Y. (2000) Late Quaternary evolution of the sub-aqueous Yangtze Delta, China: sedimentation, stratigraphy, palynology, and deformation. Mar. Geol., v. 162, p. 423-441 

  9. Dalrymple, R.W., Boyd, R. and Zaitlin, B.A. (1994) History of research, types and internal organization of incised-valley systems: Introduction to the volume. In Dalrymple, R.W, Boyd, R. and Zaitlin, B.A. (eds.) Incised-valley systems: Origin and sedimentary sequences. SEPM spec. pub. 51, p. 3-10 

  10. DeMaster, D.J., McKee, B.A., Nittrouer, C.A., Qin, J. and Cheng, G. (1985) Rates of sediment accumulation and particle reworking based on radiochemical measurements from continental shelf deposits in the East China Sea. Con. Shelf Res., v. 4, p. 143-158. 

  11. Hu, D. (1994) Some striking features of circulation in Huanghai Sea and East China Sea. In Zhou, D., Liang, Y. and Zeng, C. (eds.) Oceanology of China Seas. Volume 1. Kluwer Academic Publ., p. 27-38 

  12. Ichikawa, H. and Beardsley, R.C. (2002) The current system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Oceanogr., v. 58, p. 77-92 

  13. Keller G.H. and Yincan, Y. (1985) Geotechnical properties of surface and near-surface deposits in the East China Sea. Con. Shelf Res., v. 4, p. 159-174 

  14. Lericolais, G., Berne, S. and Fenies, H. (2001) Seaward pinching out and internal stratigraphy of the Gironde incised valley on the shelf (Bay of Biscay). Mar. Geol., v. 175, p. 183-197 

  15. Liu, J.E, Milliman, J.D. and Gao, S. (2002) The Shandong mud wedge and post-glacial sediment accumulation in the Yellow Sea. Geo-Mar. Lett., v. 21, p. 212-218 

  16. Milliman, J.D., Beardsely, R.C., Yang, Z.S. and Lime-burner, R. (1985a) Modern Huanghe-derived muds on the outer shelf of the East China Sea: identification and potential transport mechanism. Con. Shelf Res., v. 4, p. 175-188 

  17. Milliman, J.D., Shen, H.T., Yang, Z.S. and Meade, R.H. (1985b) Transport and depostion of river sediment in the Changjiang estuary and adjacent continental shelf. Con. Shelf Res., v. 4, p. 37-45 

  18. Niino, H. and Emery, K.O. (1961) Sediments of the shallow portions of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Geol. Soc. Am. Bull., v. 72, p. 731-762 

  19. Nummedal, D., Riley, G.W. and Templet, PL. (1993) High-resolution sequence architecture: a chronos-tratigraphic model based on equilibrium profile studies. In Posamentier, H.W, Summerhayes, C.R, Haq, B.U. and Allen, G.P. (eds.) Sequence Stratigraphy and Facies Associations. Int. Assoc. Sedimentol. Spec. Publ., 18, p. 55-68 

  20. Oh I.S. and Park, T. (2004) A numerical study on the dispersion of the Yangtze River 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Korean Soc. Oceanogr., v. 39, p. 119-134 

  21. Park, S.C., Yoo, D.G., Lee, K.W and Lee, H.H. (1999) Accumulation of recent muds associated with coastal circulations, southeastern Korea Sea (Korea Strait). Con. Shelf Res., v. 19, p. 589-608 

  22. Park, S.C., Hong, S.K. and Kim, D.C. (1996)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Mar. Geol., v. 131, p. 219-232 

  23. Posamentier, H.W. and Vail, PR. (1988) Eustatic controls on clastic deposition Il-Sequence and systems tract models. In Wilgus, C.K., Hastings, B.S., Kendall, C.G.SLC., Posamentier, H.W, Ross, C.A. and Van Wagoner, J.C. (eds.) Sea-level Changes-An Integrated Approach. SEPM Spec. Publ., 42, p. 125-154 

  24. Saito Y. (1998a) Sea level changes since the Last Glacial in the East China Sea. Quat. Res., v. 37, p. 235-242 (in Japanese) 

  25. Saito Y. (1998b) Sedimentary environment and budget in the East China Sea. Bull. Coas. Oceanogr. Japan, v. 36, p. 43-5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6. Saito Y, Katayama, H., Ikehara, K., Kato, Y., Matsumoto, E., Oguri, K., Oda, M. and Yumoto, M. (1998)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ts and post-glacial transgression, the East China Sea. Sed. Geol., v. 122, p. 217-232 

  27. Shi Y.L., Yang, W. and Ren, M.E. (1985)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jiang and its relation to sediment transport to the sea. Con. Shelf Res., v. 4, p. 5-15 

  28. Thomas M.A. and Anderson, J.B. (1994) Sea-level controls on the fades architecture of the Trinity/Sabine incised-valley system, Texas continental shelf. In Dal-rymple, R.W., Boyd, R. and Zaitlin, B.A. (eds.) Incised-valley systems: Origin and sedimentary sequences. SEPM spec, pub., 51, p. 3-10 

  29. Vail, P.R., (1987)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using sequence stratigraphy. Part I.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procedure. In Bally, A.W. (ed.) Atlas of Seismic Stratigraphy 1. AAPG Stud. Geol., 27, p. 1-10 

  30. Van Wagoner, J.C., Mitchum, R.M., Campion, K.M. and Rahmanian, VD. (1990) Siliciclastic sequence stratigraphy in well logs, cores, and outcrops: Concepts for high-resolution correlation of time and facies. AAPG Methods Explo. Seri., 7, 55p 

  31. Yang, C.S. (1989) Active, moribund and buried tial sand ridge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ern Yellow Sea. Mar. Geol., v. 88, p. 97-116 

  32. Yang, Z., Saito, Y, Guo, Z. and Cui, Q. (1995) Distal mud area as a material sink in the East China Sea. In Tsu-nogai, S., Iseki, K, Koike, I. and Oba, T. (eds.) Global fluxes of carbon and its related substances in the coastal sea-ocean-atmosphere system. M and J international, Yokohama, p. 1-6 

  33. Yoo, D.G., Lee, C.W., Kim, S.E, Jin, J.H., Kim, J.K. and Han, H.C. (2002)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t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mid-shelf. Mar. Geol., v. 82, p.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