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생태계 보전지역 3곳에서의 토양 종자은행
Soil Seed Banks at Three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8 no.5, 2005년, pp.271 - 279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주은정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생태계 보전지역인 진관내동 습지, 방이동 습지와 밤섬에서 2004년 3월 토양을 채취한후 5월부터 10월까지 유묘출현법(seedling emergence method)으로 토양 종자은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진관내동에서는 총 42종, 5,190개체가 출현하였고, 방이동에서는 총 39종, 2,265개체, 밤섬에서는 총 39종, 1,047개체가 발아하였으며 가장 개체수가 많았던 곳은 진관내동 버드나무군락이었다. 진관내동 습지와 밤섬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것은 밭뚝외풀이었고 방이동 습지에서는 부들속 식물들이었다. 진관내동과 방이동에서 실시한 군락별 토양 종자은행 조사 결과 갈대군락, 버드나무군락, 고마리군락, 달뿌리풀군락, 은사시나무군락 등에서 지상부 우점종과 지하부 우점종이서로 다른 반면 애기부들군락과 부들군락에서는 일치하였다. 습윤조건에서 56종, 침수조건에서 25종이 출현하였고, 두 조건에서 다 출현한 종은 18종이었다. 개구리밥등의 부유식물과 물닭개비등의 일부 정수식물은 침수조건에서만 발아하였다. 부들속 식물, 돌피 골풀 등의 정수식물은 습윤과 침수 조건 모두에서 발아하였다. 밤섬에서 채취한 수변으로부터와 거리별 토양 종자은행에서는 수위의 유동성이 큰 수변 3(식생대로부터 거리 $300\sim350m$)에서 가장 많은 수의 종자가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seed banks at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Seoul, Jinkwannae-dong, Bangi-dong and Bam-sum, were studied by seedling emergence method from May to October 2004. Total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seed banks were 42 and 5,190 at Jinkwannae-dong, 39 and 2,290 at Bangi-dong, and 39 and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확인하고 4) 각 시기에 따라 발아하는 종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시 우수 생태계지역 정밀조사 연구. 서울특별시. pp. 283-316 

  2. 서울특별시. 2002. 밤섬 생태계 보전지역의 생태변화관찰 및 관리 대책. 33p 

  3. 서울특별시. 2004. 밤섬 생태계 보전지역의 생태변화관찰 및 관리 대책. 143p 

  4. 서울특별시. 2005. 진관내동 생태계 보전지역 생태변화관찰 및 관 리대책. 85p 

  5. 이경재, 권전오, 이수동. 2003.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 44-55 

  6. 이창복. 199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 

  7. Avernethy, V.J. and N.J. Willby. 1999. Changes along a disturbance gradient in the density and composition of propagule banks in floodplain aquatic habitats. Plant Ecol. 140: 177-190 

  8. Baldwin, A.H., K.L McKee and I.A. Mendelssohn. 1996. The influence of vegetation, salinity, and inundation on seed banks of oligohaline coastal marshes. Am. J. Bot. 83: 470-479 

  9. Bigwood, D.W. and D.W. Inouye. 1988. Spatial pattern analysis of seed banks: an improved method and optimized sampling. Ecology 69: 479-507 

  10. Brock, M.A., K.H. Rogers. 1998. The regeneration potential of the seed bank of an ephemeral floodplain in South Africa. Aquatic Bot. 61: 123-135 

  11. Casanova, M.T. and M.A. Brock. 2000. How do depth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Plant Ecol. 147: 237-250 

  12. Cronk, J.K. and M.S. Fennessy. 2001.Wetland Plants: Biology and Ecology. CRC Press. U.S 

  13. Galatowitsh, S.M. and A.G. van der Valk. 1996. The vegetation of restored and natural prairie wetlands. Ecol. Applic. 6: 102-112 

  14. Haag, R.W. 1981. Emergence of seedlings of aquatic macrophytes from lake sediments. Can. J. Bot. 61: 148-156 

  15. Harwell, M.C. and K.E. Havens. 2003. Experimental studies on the recovery potential of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after flooding and desiccation in a large subtropical lake. Aquatic Bot. 77: 135-151 

  16. Johnson, S. 2004. Effects of water level and phosphorus enrichment on seedling emergence from marsh seed banks collected from northern Belize. Aqua. Bot. 79: 311-323 

  17. Keddy, P.A. and T.H. Ellis. 1985. Seedling recruitment of 11 wetland plant species along a water level gradient: shared of distinct responses? Can. J. Bot. 63: 1876-1879 

  18. Leck, M.A. 1989. Ecology of Soil Seed Banks. Academic Press. New York. 462p 

  19. Mitsch, W.J. and J.G. Gosselink. 2000. Wetlands. Van-Nostrand-Reinhold. New York. 920p 

  20. Parker, V.T. and M.A. Leck. 1985. Relationships of seed banks to plant distribution patterns in a freshwater tidal wetland. Am. J. Bot. 72: 161-174 

  21. Rumpho, M.E. and R.A. Kennedy. 1981. Anaerobic metabolism in germinating seed of Echinochloa crus-galli (barnyard grass) metabolite and enzyme studies. Plant Physiol. 68: 165-168 

  22. Schneider, R.L. and R.R. Sharitz. 1986. Seed bank dynamics in a southeastern riverine swamp. Am. J. Bot. 73: 1022-1030 

  23. Schupp, E.W. 1995. Seed-seedling conflict, habitat choice, and patterns of plant recruitment. Am. J. Bot. 82: 399-409 

  24. Smith, L.M. and J.A. Kadlec. 1983. Seed banks and their role during drawdown of a North American marsh. J. App. Ecol. 20: 673-684 

  25. Titus, J. and D.T. Hoover. 1991. Toward predicting reproductive success in submersed freshwater angiosperms. Aquatic Bot. 41: 111-136 

  26. van der Valk, A.G. and C.B. Davis. 1976. The seed banks of prairie glacial marshes. Can. J. Bot. 54: 1832-1838 

  27. van der Valk, A.G. and C.B. Davis. 1978. The role of seed banks in the vegetation dynamics of prairie glacial marshes. Ecology 59: 322-335 

  28. van der Valk, A.G. and C.B. Davis. 1979. A reconstruction of the recent vegetational history of a prairie marsh, eagle lake, Iowa, from its seed bank. Aquatic Bot. 6: 29-51 

  29. Warwick, N.W.M. and M.A. Brock. 2003. Plant reproduction in temporary wetlands: the effects of seasonal timing, depth, and duration of flooding. Aquatic Bot. 77: 153-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