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The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from the upper reaches of the Hong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ir gill rakers, pharyngeal teeth, and digestive-tube contents. Gill rakers of the first arch were relatively few (17 to 21, mean = 19) a...
The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from the upper reaches of the Hong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ir gill rakers, pharyngeal teeth, and digestive-tube contents. Gill rakers of the first arch were relatively few (17 to 21, mean = 19) and short (mean = 0.36 mm, SD = 0.035). The 2nd to 5th pharyngeal teeth were well developed, while the first tooth was poorly developed. Gill rakers and pharyngeal teeth were completely formed early in life. The digestive tube was long and arranged in many coils. The digestive-tube contents of Korean bitterling mainly consisted of phytoplankton and detrital microorganisms.
The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from the upper reaches of the Hong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ir gill rakers, pharyngeal teeth, and digestive-tube contents. Gill rakers of the first arch were relatively few (17 to 21, mean = 19) and short (mean = 0.36 mm, SD = 0.035). The 2nd to 5th pharyngeal teeth were well developed, while the first tooth was poorly developed. Gill rakers and pharyngeal teeth were completely formed early in life. The digestive tube was long and arranged in many coils. The digestive-tube contents of Korean bitterling mainly consisted of phytoplankton and detrital microorganism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