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 밀도의 변화에 따른 전자방출 안정성 연구
Electron emission stability from CNTs with various densities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4 no.4, 2005년, pp.258 - 262  

임성훈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윤현식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유제황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문종현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박규창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장진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및 차세대디스플레이센터) ,  문병연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리콘 질화막 박막을 덮개층으로 사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하고, 성장된 나노튜브의 전자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탄소 나노튜브는 triode PE-CVD 장치에 의해 성장되었으며,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는 실리콘 질화막의 두께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탄소 나노튜브의 밀도가 $10^{4}$/$cm^{2}$에서 전자방출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때 전자방출특성은 문턱전계 1.2 V/$\mu$m, 전류밀도는 3.6 V/$\mu$n의 전기장에서 0.17 mA/$cm^{2}$으로 측정 되었다. 또한, 진공 챔버에서 질소($N_{2}$) 분위기 하에서 전자방출 안정성을 조사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전자방출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10^{4}$/$cm^{2}$ 인 경우 $1\times10^{-4}$ A/$cm^{2}$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 경우 $1\times$$10^{-5}$ Torr의 압력하에서 방출 전류의 안정도는 최소인 $2\%$를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on the field emission properties from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CNTs) produced by a triode PECVD with a SiNx capping layer on metal catalyst. It is found that the CNTs density can be controlled by the capping layer thickness and decreases with increasing SiNx thickness. The CNT ...

주제어

참고문헌 (15)

  1. S. Iijima, Nature 354, 56 (1991) 

  2. Y. Saito, K. Hamaguchi, R. Misushinia, S. Uemuya, T. Nagasako, J, Yotam, and T. Shimojo, Appl. Surf. Sci. 146, 305 (1999) 

  3. W. I. Milne, K. B. K. Teo, M. Chhowalla, G. A. J. Amaratunga, D. Pribat, P. Legagneux, G. Pirio, V. T. Binh, and V. Semet, Curr. Appl. Phys. 2, 509 (2002) 

  4. W. Zhua, C. Bower, O. Zhou, G. Kochanski, and S. Jin, Appl. Phys. Lett. 75, 873 (1999) 

  5. H. Dai, N. Frankline, and J. Han, Appl. Phys. Lett. 73, 1508 (1998) 

  6. Y. Tu, Z. P. Hung, D. Z. Wang, J. G.Wen, and Z. F. Ren, Appl. Phys. Lett. 80, 4018 (2002) 

  7. K. B. K. Teo, M. Chhowalla, G. A. J. Amaratunga, W. I. Milne, D. G. Hasko, G. Pirio, P. Legagneux, F. Wyczisk, and D. Pribat, Appl. Phys. Lett. 79, 1534 (2001) 

  8. V. I. Merkulov, M. A. Guillorn, D. H. Lowndes, and M. L. Simpson, Appl. Phys. Lett. 79, 1178 (2001) 

  9. K. B. K. Teo, M. Chhowalla, G. A. J. Amaratunga, W. I. Milne, D. G. Hasko, G. Pirio, P. Legagneux, F. Wyczisk, and D. Pribat, Appl. Phys. Lett. 79, 1534 (2001) 

  10. S. H. Lim, K. C. Park, J. H. Moon, B. K. Choo, H. S. Yoon, D. Pribat, and J. Jang, IDW'04 Proceeding of the 11th Interational Dispaly Workshop (Dec. 8-10, Toki Messe, Niigata, Japan, 2004), p. 1205 

  11. S. H. Lim, J. H. Moon, H. S. Yoon, K. C. Park, and J. Jang, SID'04 Digest of Technical papers, 924 (2004) 

  12. K. C. Park, S. H. Lim, J. H. Moon, H. S. Yoon, D. Pribat, Y. Bonnassieux, and J. Jang, J. Kor. Phys. Soc., 45, S583 (2004) 

  13. L. Nilson, D. Groening, C. Emmenegger, O. Kuettel, E. Schaller, L. Schlapbach, H. Kind, J. M. Bonard, and K. Kern, Appl. Phys. Lett. 76, 2071 (2000) 

  14. J. Y. Oh, K. J. Woo, K. S. Kim, D. Y. Lee, and J. O. Choi, J. Vac. Sci. Technol. B 19, 874 (2001) 

  15. V. N. Tondare, N. J. van Druten, C. W. Hagen, and P. Kruit, J. Vac. Sci. Technol. B 21, 160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