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lbuphine이 마우스의 일차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lbuphine on the Primary Humoral Immune Response in Mice 원문보기

환경독성학회지 =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v.20 no.4 = no.51, 2005년, pp.343 - 350  

윤희은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표명윤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f effects of nalbuphine on immune system in mice, we examined the various immunological parameters.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nalbuphine (130, 260, 390 mg/kg, i.p.) to female ICR mite, the weights of bodies and organs (thymus, spleen, liver, kidney), and hem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로 채혈하여 EDTA (K3)가 들어있는 시험관(Sherwood medical)에 취하고 roll mixer로 혼화한 후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HGB (hemoglobin), HCT (hematocrit), MCV (mean corpuscular volume),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PLT (plalelet)를 Coulter counter (T-890, Coulter)로 측정하였다. Coulter counter는 사용 전에 4C® plus 액으로 WBC, RBC, HGB, HCT, PLT값을 표준용액에 맞게 보정한 후 혈액을 분석하였다.
  • Blocking buffer로 500배 희석한 anti-mouse IgM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각 well에 100μL씩 가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시킨 후 기질용액 (p-nitro- phenyl phosphate) 100|iL/well를 가하여 37"C에서 30분 경과 후, 1 N-NaOH를 각 well당 50|iL씩 가 하여 반응을 종료시 켰다. Microplate reader (Dyna- tech MR5000, U.S.A.)로 각 well의 optical density (O.D., 405 nm)를 측정하고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였다 .
  • Nalbuphine을 130, 260, 390 ㎎/㎏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사한 후, 2, 4, 6, 8일째 에 체중증 가율과 체중에 대한 장기중량비를 측정하였다.
  • Nalbuphine이 SRBC항원에 대한 일차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항원주사 2일 후 nalbuphine을 마우스에 130, 260, 390 ㎎/㎏으로 투여하고, 항원주사 후 4일째에 실험동물의 비장과 혈액을 채취하여 비장세포 중 IgM항체 생성 세포 수와 혈청중의 IgM항체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 Cunningham의 방법 (Cunnigham and Szenberg, 1968)을 약간 변형시킨 방법 (Loren, 1974)을 이용하여 IgM PFC수를 측정하였다. SRBC부유액 (5x 109 cells/mL) 0.5 mL, guinea pig complement 0.3 mL, 10% FBS-HBSS용액 2.0 mL를 혼합한 액 50 |1L와 비장세포 현탁액 (2x 106 cells/mL) 50 μL를 혼합하여 microchamber에 35 |1L씩 주입하고, vaseline과 paraffin (1 : 1) 혼액으로 밀봉하여 37℃ 에서 1시간 방치한 후 형성되는 용혈반 생성 세포수를 현미경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PFC수를 비장세포 106개중의 항체생성 세포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 , 1994) 등이 면역 억제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런데 nalbuphine이 생체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별로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nalbuphine 을 투여하여 체중 및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적 변화와 면양적혈구 (SRBC) 항원주사 전과 후에 nal- buphine을 투여하여 비장세포 중의 용혈반 생성 세포수 (PFC수)와 혈청중의 IgM항체 생성 정도를 측정하여 일차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마우스의 안정맥총에서 heparinized capillary (Chase instruments Co.)로 채혈하여 EDTA (K3)가 들어있는 시험관(Sherwood medical)에 취하고 roll mixer로 혼화한 후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HGB (hemoglobin), HCT (hematocrit), MCV (mean corpuscular volume),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PLT (plalelet)를 Coulter counter (T-890, Coulter)로 측정하였다. Coulter counter는 사용 전에 4C® plus 액으로 WBC, RBC, HGB, HCT, PLT값을 표준용액에 맞게 보정한 후 혈액을 분석하였다.
  • 면역 일 (day 0)로부터 4일 후에 모든 실험동물군 의 비장을 적출하여 빙냉의 HBSS에 넣고 teflon pestle을 이용하여 100 mesh stainless sieve를 통과 시켜 비장세포액을 만들었다. 이 세포액에 RBC lysis buffer를 가한 후 원심분리 (1,000 rpm, 10 min, 4℃)하여 적혈구를 용혈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비장세포에 일정량의 HBSS용액을 가하여 viable cell을 trypan blue exclusion method (Mis- chell and Shiigi, 1980)로 측정하여 2 x Itfcells/mL 의 비장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
  • 이와 같이 산출 된 nalbuphine의 LD50의 20, 40, 60%에 해당하는 130 (저용량), 260, 390(고용량) ㎎/㎏용량을 마우스에 1회 복강 내에 주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실험 군당 마우스를 6마리로 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 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 일차면역에서 비장세포의 IgM항체 용혈반 생성 세포수(plaque forming cell: PFC)를 측정하기 위한 항원으로 한국유니온랩에서 구입한 면양적혈구 (sheep red blood cell: SRBC)를 4℃에 보관하여 3 주이내에 사용하였다. 사용직전 PBS용액으로 3회 원심세척 (2, 500 rpm, 5 min, 4℃)한 후, SRBC농도가 2x Hfcells/mL가 되도록 PBS용액으로 조정하였으며, 이 부유액 0.2 mL (4 X IO® cells)을 면역 일 (day 0)에 모든 실험동물의 복강내에 주사하였고, nalbuphine 을 농도별로 면역 2일 전 또는 2일 후에 투여 하였다.
  • 3~4주령인 ICR계 암컷 마우스를 유한양행 중앙연구소로부터 분양받아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동물실에서 2~3주간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6~8주령 (25±2g)의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실의 온도는 21 ~ 24℃,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조명은 12시간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 실험직전에 보관된 혈청을 5SC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불활성화 시켜 사용하였으며,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혈청 중 IgM항체 를 측정하였다. 즉, anti-mouse IgM 을 0.
  • 면역 일 (day 0)로부터 4일 후에 모든 실험동물군 의 비장을 적출하여 빙냉의 HBSS에 넣고 teflon pestle을 이용하여 100 mesh stainless sieve를 통과 시켜 비장세포액을 만들었다. 이 세포액에 RBC lysis buffer를 가한 후 원심분리 (1,000 rpm, 10 min, 4℃)하여 적혈구를 용혈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비장세포에 일정량의 HBSS용액을 가하여 viable cell을 trypan blue exclusion method (Mis- chell and Shiigi, 1980)로 측정하여 2 x Itfcells/mL 의 비장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
  • )는 650 ㎎/㎏이었다. 이와 같이 산출 된 nalbuphine의 LD50의 20, 40, 60%에 해당하는 130 (저용량), 260, 390(고용량) ㎎/㎏용량을 마우스에 1회 복강 내에 주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실험 군당 마우스를 6마리로 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 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 실험직전에 보관된 혈청을 5SC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불활성화 시켜 사용하였으며,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혈청 중 IgM항체 를 측정하였다. 즉, anti-mouse IgM 을 0.05% NaNj -PBS (1 : 1000)로 희석하여 96well microtiter tray 에 well당 5O|1L씩 도포한 후 4℃에서 18시간 방치하여 anti-mouse IgM이 well 바닥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 항원주사 2일전 (day-2)에 nalbuphine을 마우스에 130, 260, 390㎎/㎏으로 투여하고, 항원주사 후 4일째에 비장과 혈액을 채취하여 비장세포 중 IgM 항체 생성 세포수와 혈청 중 IgM항체량를 측정하여 nalbuphine 이 일차 체액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 데이터

  • 3~4주령인 ICR계 암컷 마우스를 유한양행 중앙연구소로부터 분양받아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동물실에서 2~3주간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6~8주령 (25±2g)의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실의 온도는 21 ~ 24℃,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조명은 12시간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 실험물질 nalbuphine . HC1 은 (주)제일 약품에서 분양받았으며, 마우스 체중 Wg당 0.1 mL 투여할 수 있는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Nalbuphine의 투여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ICR 암컷 마우스에 용량별로 (500, 550, 600, 650, 700, 750㎎/㎏) 1회 복강내 주사한 후 생사여부를 14일간 관찰하고 Litchfield & Wilcoxon법 (Litchfield and Wilcoxon, 1943)을 이용하여 I.
  • 일차면역에서 비장세포의 IgM항체 용혈반 생성 세포수(plaque forming cell: PFC)를 측정하기 위한 항원으로 한국유니온랩에서 구입한 면양적혈구 (sheep red blood cell: SRBC)를 4℃에 보관하여 3 주이내에 사용하였다. 사용직전 PBS용액으로 3회 원심세척 (2, 500 rpm, 5 min, 4℃)한 후, SRBC농도가 2x Hfcells/mL가 되도록 PBS용액으로 조정하였으며, 이 부유액 0.

데이터처리

  • 각 실험군의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대조군과의 차이를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Cunningham의 방법 (Cunnigham and Szenberg, 1968)을 약간 변형시킨 방법 (Loren, 1974)을 이용하여 IgM PFC수를 측정하였다. SRBC부유액 (5x 109 cells/mL)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da DJ, Covington T, Hebel SK, Hussar DA, Lasagna L and Olin BR. Drug facts and comparisons, 1999 Edition, Facts and Comparisons 1999, pp 1433-1434 

  2. Chung HS. Pharmacokinetics of nalbuphine in overdosage as a psychotropic agent, Annual Report of N.I.S.I., 2002; 34: 149-154 

  3. Cunnigham A and Szenberg A. Futher improvements in plaque technique for detecting single antibody-forming cells, Immunol 1968; 14: 599-600 

  4. Kaminski NE. Mechanism of immune modulation by cannabinoids, in Dean JH, Luster MI, Munson AE, Kimber I (eds): Immunotoxicology and Immunopharmacology, 2d ed. New York: Raven Press, 1994, pp. 349-362 

  5. LeVier DG, McCay JA and Stern ML. Immunotoxicological profile of morphine sulfate in B6C3F1 mice, Fundam Appl Toxicol 1994; 22: 525-542 

  6. Litchfield JT and Wilcoxon F. A simplified Method of Evaluating Dose-effect Experiments, J Pharmacol Exp Ther 1943; 96: 99-113 

  7. Lo MW, Schary WL and Whitney CC. The disposition and bioavailability of intravenous and oral nalbuphine in healthy volunteers, J Clin Pharmaco 1983; 27: 866-873 

  8. Loren DK. Decreased antibody formation in mice exposed to lead, Nature 1974; 250: 148-250 

  9. Matveyeva M, Hartman CB and Harrison MT. Delta(9)-tetrahydrocannabinol selectively increases aspartyl cathepsin D proteolytic activity and impairs lysozomal processing in macrophages, Int J Immunopharmacol 2000; 22(5): 373-381 

  10. McBride AJ. Three cases of nalbuphine hydrochloride dependence associated with anabolic steroid use, Br J Sports Med 1996; 30: 69-70 

  11. Mischell BB and Shiigi SM.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WH Fr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U.S.A .. 1980, pp. 16-17 

  12. Reynolds EF. In Martindale The Extra Phamacopoeia, 13th ed., Pharmaceutical Press, London, England, 1993, pp. 1090 

  13. Smialowicz RJ and Holsapple MP. Experimental Immuno-toxicology Boca Raton, FL, CRC Press, 1996, pp. 13-15 

  14. Stambaugh JE. Evaluation of nalbuphine; Efficacy and Safety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Pain Associated With Advanced Malignancy, Current Therapeutic Research. 1982; 31(3): 393-401 

  15. Yoo YC, Chung HS and Kim IS. Determination of Nalbuphine in Drug Abuser' Urine, J of Analytical Toxicology 1995; 19: 120-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