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 연구
Analysis of Temperature Profiles by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on Built-up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9 no.4, 2005년, pp.375 - 384  

홍석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를 파악하고자 강남구 내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44개소 조사지를 블록단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값은 1999${\~}$2002년까지의 Landsat TM 및 ETM+ 영상 6scene을 적용하였다. 도시온도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토지 이용유형은 그 자체로 도시온도변화의 중요 인자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토양피복유형은 상관관계 분석결과 상관계수건폐율이 0.368(2001년 6월)${\~}$0.709(1999년 5월)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녹지율은 -0.551(2001년 6월)${\~}$-0.860(1999년 6월)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녹지용적(녹지용적계수${\times}$100), 녹피율과 온도값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녹피율과의 상관계수는 -0.549(2001년 6월)${\~}$-0.817(1999년 6월)의 범위이었으며 녹지용적은 -0.517(2001년 6월)${\~}$-0.882(1999년 6월)로 녹피율과 녹지용적 모두 각 온도값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시화지역 온도변화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녹지용적이 설명 변수로 채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selecting 44 places with a block unit subject to urban area in Gangnam-gu, to analyze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In this study, it was used the broad-wide urban temperature, supported by Landset TM and ETM+ satellite image 6scene(199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가화지 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측에 의한 자료획득이 어려운 광범위 지역 의 온도자료는 인공위 성 영 상자료의 Thermal Data를 활용하였으며 , 인공위성 영상자료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자료는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녹지 면적 및 녹지 내 조성된 전체 수목의 규격조사를 통해 녹지용적을 산정하였다.
  • 녹지량 증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우선적으로 녹지면적을 확대하는 것이나 고밀도로 개발된 시가화지 역에서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도심내 녹지량을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소규모 공간의 지 속적 인 녹지확보와 함께 교목층과 아교목층, 관목층을 구분한 다층구조식 재 등의 녹지량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녹지조성이 필요하였다. 또한 재개발에 따른 기존녹지의 훼손을 방지하고 적극적 보전을 통한 녹지량 증진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도심지역 온도저감효과를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되었다.
  •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영상이 촬영되는 시기에 초래될 수 있는 일부지역의 이상기온현상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석에 사용된 6scene의 영상에서 추출한 온도값의 전체 평균을 사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화지역의 온도변화 예측 모형을 위하여 전체 영상의 평균온도값을 종속변수로, 토양 피복유형과 녹지구조, 건물밀도를 설명하는 5개의 독립변수 중 각 시 기 별 영상의 온도값과 모두 유의수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운수, 김학열(2001)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 기법연구(II).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20쪽 

  2. 박경훈, 정성관(1999) 광역적 녹직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35-46 

  3. 서울특별시(2000a)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 기법연구. 275쪽 

  4. 서울특별시(2000b)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245쪽 

  5. 송영배(2002) 신도시 개발이 도시열섬 현성에 미치는 영향-분당신도시와 판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4): 37-46 

  6. 오성남, 부경온(2000) 1999년 서울지역 기온의 시공간 분포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6(4): 499-506 

  7. 윤용한(2000) 공원에 의한 고온성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1): 83-90 

  8. 윤용한(2001) 녹지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풍속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2): 187-196 

  9. 이경재(1993)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 지속 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한국환경행정학회.삼성지구환경연구소, 141-153 

  10. 이용식(1990) 도시열섬분석에 있어서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쪽 

  11. 이은엽(1995) 도시녹지의 온도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쪽 

  12. 이현영(1985) 서울의 도시기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4쪽 

  13. 이현영, 이승호(1997) 한국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주변의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32(4): 463-478 

  14. 이혜선(2001)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녹지의 도시온도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15.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 57-66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297쪽 

  17. 홍석환, 이경재(2004)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변화 모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53-60 

  18. 設樂實(1971) 都市砂漢.地理 16(8): 10 

  19. Gallo, K. P., D. R. Easterling and T. C. Peterson(1996) The influence of land use/land cover on climatological values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J. Climate, 9: 2941-2944 

  20. Landsberg(1981) The Urban Climate, International Geophysics series 28. Academic Press. NASA(2002) The Landsat-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21. Lee, H. Y.(1995) Potential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the local climate. J.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1(3): 83-100 

  22. Oke, T. R.(1982) The energetic basis of the urban heat island. Quart. J. Royal Meteorol. Soc. 108: 1-24 

  23. Oke, T. R.(1987) Boundary layer climates(2ed.), London and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