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지역 지하수, 하수 및 하천수의 VOCs 오염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Sewage Water and Stream Water Contamination Based on VOCs Concentration Around Ulsa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no.1, 2005년, pp.57 - 65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윤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임현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성익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장우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광역시 일대 지하수내 VOCs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168개의 지하수, 12개의 하천수, 6개의 하수 시료를 채 취하여 61개 성분의 VOCs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천수에서는 VOCs가 검출되지 않았고 도심에 위치한 5개 하수 의 총 VOCs 함량은 ND-22.3 ${\mu}$g/L으로 낮은 편이었다. 168개 지하수 시료에서 분석된 61개 VOCs 성분 중 1성분 이상 검출된 시료 수는 78개이다. 78개 지하수 시료의 총 VOCs 함량은 0.1 ${\mu}$g/L- 387.1${\mu}$g/L의 범위이나, 78개 시료 의 84.6%인 66개 시료의 총 VOCs 함량이 10${\mu}$g/L 이하이고, 음용수기준치를 넘는 시료는 6개에 불과하다. 검출된 VOCs 성분은 분석된 61개 중 42개 성분으로 방향족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가 25개 성분 중 14개 성분이, 염소계지방족탄화수소(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가 35개 성분 중 27개 성분, 그리고 MTBE가 검출되었다. VOCs 성분의 검출빈도로 보면 클로로포름이 전체 시료의 25.6%에 해당하는 43개로서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는 methylene chloride 21.4%(36개), TCE 15.5%(26개), 1,1-dichloroehane 11.3%(19개), PCE 9.5%(16개), cis-1,2- DCE 8.9%(15개), tolune 8.3%(14개)의 순서로 검출되고 있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VOCs의 함량범위로 볼 때, 아직까 지 VOCs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나,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고, 음용수기준치가 강화되는 경향 등을 고려할 때 계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around Ulsan, Korea, 168 groundwaters, 12 stream waters, and 6 sewage waters were analyzed for 61 VOCs. Results showed that VOCs were not detected in stream waters and total VOCs concentratio...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건설교통부 (2001) 지하수조사 연보. 788p 

  2. 박성숙, 윤성택, 최병영, 유순영 (2002) Heavy metals and VOCs contamination of urban groundwaters in Seoul, Korea. 지하수토양환경 추계학술발표회, p. 291-295 

  3. 성익환, 조병욱, 김석중, 김형찬, 성기성, 윤욱, 이병대, 이봉주, 이춘오, 전치완, 지세정, 김상연, 김통권, 류충렬, 송경선, 음철현, 이병태, 이종철, 임현철, 이정화, 최병인 (2003) 울산 지역 지하수오염 저감기술 연구. KR-03-07, 289p 

  4. 울산광역시 (2002) 정수장별 수질현황 

  5.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002) 급수현황 

  6. 윤욱, 조병욱, 음철헌, 성익환 (2003) 광주광역시의 지하수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오염과 오염원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v. 13, p. 389-404 

  7. 이창균, 장순웅, 유지택, 임봉수 (1999) 충청남도 지역의 VOCs를 중심으로 한 지하수오염 실태. 지하수환경, v. 6, p. 8-13 

  8. 이평구, 박성원, 전치완, 신성천 (2001) 서울시 도로변 빗물과 지하수의 VOCs 오염. 지하수 토양환경, v. 6, p.73-91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국가기술지도. 330p 

  10. 환경부 (1999) 대기환경보존법 시행령 

  11. 환경부 (2002) 2001 상수도통계. 874p 

  12. 환경부 (2004) 2004년 먹는물 수질관리지침 

  13. Barber, C. and Otto, C.J. (1996)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nges and groundwater quality in a water-supply catchment, using GIS technology: The Gwelup wellfield, western Austrialia. Hydrogeology Jour., v. 4, p. 6-19 

  14. Barcelona, M.J., Gibb, J.P. Helfrich, J.A. and Garske, E.E. (1985) Practical guide for groundwater sampling. SWS Contract Report 374, 94p 

  15. Buston, M.W., Nazari, M.M. Bishop, P.K. and Lener, D.N. (1993) Pollution of groundwater in the Coventry region (UK) by chlorinated hydrocarbon solvents. Jour. Hydrology, v. 149, p. 137-161 

  16. Eckhardt, A.V. and Stackelberg, P.E. (1995) Relation of groundwater quality to land use on Long island, New York. Groundwater, v. 33, p. 1019-1033 

  17. Grischek, T., Nestler, W. Piechniczek, D. and Fischer, T. (1996) Urban groundwater in Dresden, Germany. Hydrogeology Jour., v. 4, p. 48-63 

  18. Trojan, M.D., Maloney, J.S. Stockinger, J.M. Eid E.p. and Lahtinen, M.J. (2003) Effects of land use on groundwater quality in the Anoka sand plain aquifer of Minnesota. Groundwater, v. 41, p. 482-492 

  19. US EPA, 1992, 40 CFR 51.100, Federal Register: Control of air pollution 

  20. US EPA, 2003, 816-F-03-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