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저장 매체로서 상변환 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나노입자의 제조 및 열적 특성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styrene Nanoparticles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s as Thermal Storage Medium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29 no.1, 2005년, pp.8 - 13  

박수진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  김기석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부) ,  홍성권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변환 물질(PCM)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PS) 입자는 미니에멀션 중합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여러 제조 조건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라텍스는 평균 입자크기, 입자 분포 그리고 잠열 저장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제조된 PS 입자의 형태와 입자 특성은 각각 SEM과 입도 분석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된 라텍스 입자의 특성은 각 변수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었으며, 제조된 PS 입자는 나노크기의 안정한 구형의 입자가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중합시 첨가된 공유화제는 단량체 입자간의 Oswald ripening과 유착을 억제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CM을 함유하는 PS 입자의 열적 특성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였고, PS 입자의 용융-동결 싸이클에 의하여 열에너지 저장 및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DSC 결과로부터, PCM을 함유하는 PS 입자의 최대 잠열량은 약 145 J/g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PCM을 함유하는 PS 입자는 열에너지 저장매체로서 우수한 잠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styrene (PS) particles contain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were synthesized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The polymer particles prepared with different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average particle size, particle distribution, and latent heat storage of encapsulated paraff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니에멀션 중합을 이용하여 나노크기의 폴리스티렌 입자와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의 적용을 위하여 상 변환 물질로 파라핀 왁스를 함입한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조하였 고, 반응조건에 따른 폴리스티렌 입자의 특성과 DSC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에 의하여 캡슐화된 파라핀 왁스의 잠열 저장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니에멀션 중합법을 이용하여 PS와 상변환 물 질을 함유하는 PS 입자를 제조하였고, 제조 조건에 따른 PS 입자 의 특성과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서 상변환 물질을 함유하는 PS 입자의 잠열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공유화제의 첨가와 균일화 과정을 거친 미니에멀션 중합은 일반적인 에멀션 중합과 비교하여 빠른 전환율을 보였다.
  • 에멀션 중합시 유화제의 양과 유형은 단량체 입자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며, 단량체의 안정성은 유화제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에멀션 중합에 의한 고분자 라텍스에 대하여 유화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균일 화속도 및 공유화제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사용된 유화제 의 양을 3~15 mM로 변화시켜 고분자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제조 된 고분자 라텍스의 특성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이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 A. Lane, Solar Heat Storage: Latent Heat Materials, CRC Press, Boca Raton, p 2 (1986) 

  2. A. Barba and M. Spiga, Sol. Energy, 74, 141 (2003) 

  3. M. N. A. Hawlader, M. S. Uddin, and M. M. Khin, Appl. Energy, 74, 195 (2003) 

  4. A. Abhat, Sol. Energy, 30, 313 (1983) 

  5. I. Dincer and M. A. Rosen, Thennal Energy Storage: System and Application. England, John Wiley and Sons, 2002 

  6. D. Feldman, M. Shapiro, and P. Fazio, Polym. Eng. Sci., 25, 406 (1985) 

  7. C. H. Lee and H. K. Choi, Polym. Compos., 19, 704 (1998) 

  8. G. Akay and L. Tong, J. Colloid Interface Sci., 239, 342 (2001) 

  9. H. Ichikawa and Y. Fukumori, J. Control. Release, 63, 107 (2000) 

  10. A. Bachtsi and C. Kiparissides, J. Control. Release, 38, 49 (1996) 

  11. A. M. Khudhair and M. M. Farid, Energy Converso Manage., 45, 263 (2004) 

  12. B. Erdem, E. D. Sudol, V. L. Dimonie, and M. S. EI-Aasser, Macromol. Symp., 155,181 (2000) 

  13. P. J. Blythe, B. R. Morrison, K. A. Mathauer, E. D. Sudol, and M. S. EI-Aasser, Langmuir, 16, 898 (2000) 

  14. T. R. McCaffery and Y. G. Durant, J. Appl. Polym. Sci., 86, 1507 (2002) 

  15. M. S. Lim and H. Che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8, 1818 (2000) 

  16. I. Aizpurua and M. J. Barandiaran, Polymer, 40, 4105 (1999) 

  17. K. Landfester, N. Bechthold, F. Tiarks, and M. Antonietti, Macromolecules, 32, 5222 (1999) 

  18. M. Antonietti and K. Landfester, Prog. Polym. Sci., 27, 689 (2002) 

  19. C. D. Anderson, E. D. Sudol, and M. S. EI-Aasser, Macromolecules, 35, 574 (2002) 

  20. C. S. Chern and T. J. Chen,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38, 65 (1998) 

  21. A. Kim, S. J. Park, and J. R. Lee, J. Colloid Interface Sci., 197, 119 (1998) 

  22. P. L. Tang, E. D. Sudol, M. E. Adams, C. A. Silebi, and M. S. EI-Aasser, Polymer Latexe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2 

  23. C. J. Samer and F. J. Schork, Ind. Eng. Chem. Res., 38, 1801 (1999) 

  24. J. W. Gooch, H. Dong, and F. J. Schork, J. Appl. Polym. Sci., 76, 105 (2000) 

  25. S. J. Park and M. Brendle, J. Colloid Interface Sci., 188, 336 (1997) 

  26. F. J. Schork, G. W. Poehlein, S. Wang, J. Reimers, J. Rodrigues, and C. Samer,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53, 3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