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개발동향 및 전망
Development Trends and Perspectiv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12 no.1, 2005년, pp.7 - 16  

강문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진수송분리막 연구단) ,  강용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진수송분리막 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ye-sensitized solar cells(DSSCs) have been under investigation for the past decade due to their attractive features such as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and low production costs. The basis for energy conversion in the injection of electrons from a photoexcited stateof a dye sensitizer into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 이온전도체를 사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외에도 홀전도체 (hole conductor)를 사용한 고체형 이질접합(heterojunction) 염료감응 태양 전지와 반도체 고분자 태양전지 역시 최근 세계적으 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본 총설에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최신 연구동향 및 향후 전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 O'Regan and M. Gr $\ddot{a}$ tzel: Nature, 353 (1991) 737 

  2. R. F. Service, Science: 300 (2003) 1219 

  3. http://www.nikkei.co.jp/rim/nano/business/v03/03.htm 

  4. M. Gratzel: Chem. Lett., 34 (2004) 8 

  5. T. Kawashima, T. Ezure, K. Okada, H. Matsui, K. Goto, N. Tanabe: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164 (2004) 199 

  6. J.-G. Doh, J. S. Hong, R. Vittal, M. G. Kang, N.-G. Park, K.-J. Kim: Chem. Mater., 16 (2004) 493 

  7. M. Gratzel: J. Photochem. Photobiol. C: Photochem. Rev., 4 (2003) 145 

  8. S.-E. Lindquist, A. Hagfeldt, S. Sodergren, H. Lindstrom: Electrochemistry of Nanomaterials, ed. G. Hodes, 174, WILEY-VCH, Weinheim (2001) 

  9. L. Spanhel, H. Weller, A. Henglein: J. Am. Chem. Soc., 109 (1987) 6632 

  10. A. Hagfeldt and M. Gratzel: Chem. Rev., 95 (1995) 49 

  11. A. Usami: Chem. Phys. Lett., 277 (1997) 105 

  12. N.-G. Park, J. van de Lagemaat, A. J. Frank: J. Phys. Chem. B, 104 (2000) 8989 

  13. Y. Tachibana, K. Hara, S. Takano, K. Sayama, H. Arakawa: Chem. Phys. Lett., 364 (2002) 297 

  14. A. B. Kashyout, M. Soliman, M. El Gamal. M. Fathy: Mater. Chem. Phys., 90 (2005) 230 

  15. B. V. Bergeron, A. Marton, G. Oskam, G. J. Meyer: J. Phys. Chem. B, 109 (2005) 937 

  16. P. Gao and M. A. Aegerter: Thin Solid Films, 351 (1999) 290 

  17. M. Gratzel: Nature, 414 (2001) 338 

  18. M. Adachi, Y. Murata, I. Okada, S. Yoshikawa: J. Electrochem. Soc., 150 (2003) G488 

  19. W. U. Huynh, J. J. Dittmer, A. P. Alivisatos: Science, 295 (2002) 2425 

  20. Sumitomo Osaka Cement, Technical Report, 36 (2005) 

  21. A. Zaban, S. G. Chen, S. Chappel, B. A. Gregg: Chem. Commun., (2000) 2231 

  22. S. A. Haque, E. Palomares, H. M. Upadhyaya, L. Otley, R. J. Potter, A. B. Holmes, J. R. Durrant: Chem. Commun., (2003) 3008 

  23. E. Palomares, J. N. Clifford, S. A. Haque, T. Lutz, J. R. Durrant: Chem. Commun., (2002) 1464 

  24. N.-G. Park, M. G. Kang, K. M. Kim, K. S. Ryu, S. H. Chang, D.-K. Kim, J. van de Langemaat, K. D. Benkstein, A. J. Frank: Langmuir, 20 (2004) 4246 

  25. S.-S. Kim, J.-H. Yum, Y.-E. Sung: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171 (2005) 273 

  26. K. Hara, M. Kurashige, Y. Dan-oh, C. Kasada, A. Shinpo, S. Suga, K. Sayama, H. Arakawa: New J. Chem, 27 (2003) 783 

  27. K. Hara, K. Sayama, Y. Ohga, A. Shinpo, S. Suga, H. Arakawa: Chem. Commun., (2001) 569 

  28. R. Plass, S. Pelet, J. Krueger, M. Gratzel, U. Bach: J. Phys. Chem. B, 106 (2002) 7578 

  29. A. Kay and M. Gratzel: Sol. Energy Mater. Sol. Cells, 44 (1996) 99 

  30. A. Hauch and A. Georg: Electrochim. Acta, 46 (2001) 3457 

  31. S.-S. Kim, K.-W. Park, J.-H. Yum, Y.-E. Sung: US patent, US20050016586A1 (2005) 

  32. Y. Shibata, T. Kato, T. Kado, R. Shiratuchi, W. Takashima, K. Kaneto, S. Hayase: Chem. Commun., (2003) 2730 

  33. X. Fang, T. Ma, M. Akiyama, G. Guan, S. Tsunematsu, E. Abe: Thin Solid Films, 472 (2005) 242 

  34. J. H. Kim, M.-S. Kang, Y. J. Kim, J. Won, N.-G. Park, Y. S. Kang: Chem. Commun., (2004) 1662 

  35. M.-S. Kang, J. H. Kim, Y. J. Kim, J. Won, N.-G. Park, Y. S. Kang: Chem. Commun., (2005) 889 

  36. J. H. Kim, M.-S. Kang, Y. J. Kim, J. Won, Y. S. Kang: Solid State Ionics, 176 (2005) 579 

  37. Y. J. Kim, J. H. Kim, M.-S. Kang, M. J. Lee, J. Won, J. C. Lee, Y. S. Kang: Advanced Materials, 16 (2004) 17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