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암산 고층습원의 환경변천
Environmental Change of High Moor in Mt. Dae-Am of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8 no.1 = no.110, 2005년, pp.45 - 53  

(Nagoya 대학 대기수권과학연구소) ,  강상준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의 경계에 있는 대암산 용늪의 이탄 퇴적물을 사용하여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비의 해석을 통하여 용늪의 환경변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표층 0 ${\sim}$ 5 cm의 연대는 BP190년, 30 ${\sim}$ 35 cm층 및 50 ${\sim}$ 55 cm층에서는 각각 BP870, BP1870년으로 측정되었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0 ${\sim}$ 35 cm의 이탄층에서 bulk의 퇴적속도는 약 0.4mm/년으로 계산되었다. 금번 시료를 채취한 지점의 퇴적물 최하층인 75 ${\sim}$ 80 cm층의 $^{14}C$연대는 약 BP1900년으로 측정되었고 50 ${\sim}$ 55 cm와 75 ${\sim}$ 80cm층의 측정연대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보아서 용늪의 심층부는 원래의 삼림 토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0 ${\sim}$ 55 cm층은 모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유기물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주변 지역의 침식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이용한 시료의 채취 지점에서는 BP1900년 경부터 습원화가 되었다고 추정된다. 유기탄소 동위원소비, 총 질소동위원소비는 깊이 방향으로 변동이 보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대암산 고층습원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기후조건의 변동과 함께 질소순환계의 변화도 있었던 것으로 추론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al change of Yong-nup in Mt. Dae-Am, which is located at the northern part of Kangwon-Do, Korea, was assesed with peat sedimentary carbon and nitrogen isotope analysis. The surface layer of the peat (0 ${\sim}$ 5 cm) was 190 year BP, and the middle layers (30 ${\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형성하였다고 생각된다. 이탄 퇴적물의 표층을 향해서 615N치의 저하는 습원 형성중에 질소의 외부 순환 의존도가 상승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20 cm부근에서 615N의 변동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식생의 변동(Cai~ex^ 서 Sphagnum) 이나 수위 변동 (습원의 확대) 등에 따라 질소 영양염의 공급, 흡수 과정에 변화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상준. 1987. 대암산 고층습원의 식물생태학적 연구. 휴전선 일대의 자연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pp.169-201 

  2. 강상준. 1988. 대암산 고층습원의 이탄구조와 화분분석. 환경청. 대암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pp. 99-146 

  3. 中井信之, 洪思澳. 1980. 韓國永郞湖堆積物の地球化學的手段による古氣候變化の硏究-安定同位?化 ( $^{13}C/^{12}C$ )及び 硫物含量にとる-.交部省海外學術調査現 地調査中間報告. (404332). pp.57-61 

  4. 中村 純. 1967. 花紛分析. 古今書院. 東京. p.232 

  5. 阪口豊. 1974. 泥炭地の地球-環境境の變化を探る-.東京大學 出版會. 東京. p.329 

  6. 塚田松雄. 1974. 古生態學 II.-應用編-.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p.231 

  7. Benner, R., M.L. Fogel, E.K. Spraugue and R.E. Hodson, 1987. Depletion of $^{13}C$ in lignin and its implication for stable isotope studies. Nature. 329: 708-710 

  8. Bertram, H.G. and G.H. Schleser. 1982. The ( $^{13}C/^{12}C$ ) isotope ratios in a North-German podzol. In Stable Isotopes. Schmidt H.L., H. Foerstel and K. Heinzinger ed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pp. 115-120 

  9. Birks, H.J.B. and H.H. Birks. 1980. Quaternary Palaeoecology. Edward Anold. London. p.289 

  10. Birks, H.J.B. and A.D. Gordon. 1985. Numerical Methods in Quaternary Pollen Analysis. Academic Press. Orlando. p.317 

  11. Evans, R. and J.R. Ehleringer. 1993. A break in the nitrogen cycle in aridlands? Evidence from ${\Delta}^{15}$ N of soil. Oecologia. 94: 314-317 

  12. Faegri, K. and J. Iversen. 1975. Textbook of Pollen Analysis. Munksgaard. Denmark. p.295 

  13. Farquhar, G.D. and P.A. Richards. 1984. Isotopic composition of plant carbon correlates with water-use efficiency of wheat genotypes. Aust. J. Plant Physiol. 11: 539- 552 

  14. Ishizuka, T. 1977. Stable carbon isotope 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 and carnonate in sediment of a swamp and lakes in Honshu island, Jap. J. Earth Sci. Nagoya Univ. 25: 11-21 

  15. Kang, S.J. 1976. Ecological studies of the raised bog in Dae -Am mountain adjacent to DMZ in Korea. J. Res. Sci. Ed., Chuncheon Teachers College. 2: 81-104 

  16. Kang, S.J., T. Yoshioka, J.Y. Lee and H.A. Takahashi 2001. Paleo-environment in Dae-Am San high moor in the Korean peninsula. Radiocarbon. 43: 555-559 

  17. Kitagawa, H. 1987. Carbon isotope ratio of cellulose extraced from Sugi tree (Cryptomeria japonica). Geosci. Repts. Shizuoka Univ. 13: 25-30 

  18. Kitagawa, H. and E. Matsumoto. 1993. Climate implication of ${\Delta}^{13}$ C variations in a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during the last two millenia. Geophysical Res. Letters. 22: 2155-2158 

  19. Mariotti, A., P.D. Pierre, J.C. Vedy and S. Bruckert. 1980. The abundance of natural nitrogen-15 in the organic matter of soils along an altitidinal gradient (Chablais, Haute Savoie, France). Catena. 7: 293-300 

  20. Minagawa, M., D.A. Winter and I.R. Kaplan. 1984. Comparision on kjeldahl and combution methods for measurement of nitrogen isotope ratios in organic matter. Anal. Chem. 56: 1859-1861 

  21. Minomo, K., T. Akagi, S. Yonemura, M. Yoh, H. Turuta and T. Nakamura. 1997. ${\Delta}^{13}$ C vertical change of peats in the Ozegahara wetland. Dating and Materials Research Center, Nagoya Univ. III: 146-151 

  22. Moore, P.D. and J.A. Webb. 1978. An Illustrated Guide to Pollen Analysis. Hodder and Stoughton. London. p.133 

  23. Moore, P.D., J.A. Webb and M.E. Collinson. 1991. Pollen Analysis. Blackwell Scientific Pub. London. p.216 

  24. Nadelhoffer, K.J. and B. Fry. 1988. Controls on natural nitrogen-15 and carbon-13 abundances in forest soil organic matter. Soil Sci. Am. J. 52: 1633-1640 

  25. Nadelhoffer, K., G. Shaver, B. Fry, A. Giblin, L. Johnson and R. McKane. 1996. 15N natural abundances and N use by tundra plants. Oecologia. 107: 386-394 

  26. Osvald, H. 1928. Nordamerikanska mosstyper. Svensk Bot. Tids. 22: 377-391 

  27. Osvald, H. 1930. Soedra sveriges mosstyper. Svensk Geogr. Arsb. 30: 117-140 

  28. Peters, K.E., R.E. Sweeney and I.R. Kaplan. 1978. Correlation of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in sedimentary organic matter. Limnol. Oceanogr. 24: 598- 604 

  29. Rundel, P.W., J.R. Ehleringer and K.A. Nagy. 1988. Stable Isotope in Ecological Research. Ecological Studies. Vol. 68. Springer-Verlag. New York 

  30. Schultz, D.J. and J.A. Calder. 1976. Organic carbon $^{13}C/^{12}C$ variations in estuarine sediments. Geochim. Cosmochim. Acta. 40: 381-385 

  31. Sukumar, R., T. Ramesh, R.K. Pant and G. Rajagopalan. 1993. A ${\Delta}^{13}$ Crecord of late Quaternary climate change from tropical peats in southern India. Nature. 364: 703 -706 

  32. Vitousek, P.M., G. Shearer and D.H. Kohl. 1989. Foliar $^{15}$ N natural abundance in Hawaiian rainforest: patterns and possible mechanism. Oecologia. 78: 383-388 

  33. White, J.W.C., P. Ciais, R.A. Figgs, R. Kenny and V. Markgraf. 1994. A high-resolution record of atmospheric $CO_2$ content from carbon isotopes in peats. Nature. 367: 153-156 

  34. Williams, P.M. and L.I. Gordon. 1970. Carbon-13 : carbon- 12 ratios in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sea. Deep-Sea Res. 17: 19-27 

  35. Willis, A.J. 1973. Introduction to Plant Ecology. London Allen & Unwin Ltd. Oxford. pp.56-73 

  36. Yoshioka, T., E. Wada and Y. Saijo. 1988. Isotopic characterization of lake Kizaki and Suwa. Jap. J. Limnology. 49: 119-128 

  37. Yoshioka, T., S. Ueda, T. Miyajima, E. Wada, N. Yoshida, A. Sugimoto, P. Vijarnsorn and S. Boonprakub. 2002. Biogeochemical properties of a tropcal swamp forest ecosystem in southern Thailand. Limnology. 3: 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