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 : 수분과 탄소원의 영향
Natural Dissipation of Chlorin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in Soil :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Carbon Sourc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0 no.3, 2005년, pp.46 - 51  

조장환 (환경관리공단) ,  최상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에 대한 흡착과 미생물분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표적인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인 TCA (1,1,1-trichloroethane), TCE (trichloroethylene) 및 PCE (tetrachloro ethylene)의 자연저감율을 비교하기 위해 세가지 조건에서 바이얼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멸균, (2) 비멸균 그리고 (3) 비멸균/탄소원첨가.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수분함량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로 적용하였다; (1) wilting point (12%, w/w), (2) field capacity (29%, w/w), (3) saturation (48%, w/w). 100일 경과 후, TCA 및 TCE는 field capacity에서 미생물에 의한 자연저감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일어났다. 비멸균/탄소원 첨가 토양은 멸균한 토양에 비해 유기물질의 제거율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CE는 미생물 및 탄소원 첨가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valuate sorption and biodegradation rate affecting the natural dissipation of chlorin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CVOCs) in surface soil. To show the effect of sorption and biodegradation on the natural dissipation of 1,1,1-trichloroethane (TCA), trichloroethylene (TCE) and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이얼 실험을 통하여 세 가지 수분 조건에서 흡착과 미생물 분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탈염소화 과정에 필요한 기질로서 사탕수수 당밀의 적용성을 알아보았다.
  • 본 실험은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메카니즘 중 흡착과 미생물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바이얼 실험과 실제 오염현장을 비교하는 데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분함량에 따른 각 오염물질의 흡착과 미생물 분해율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서 가장 먼저 염두에 둔 부분은 염소계 유기물질의 휘발, 흡착 및 생물분해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실험실에서 수행되었지만 최대한 현장과 동일한 조건을 만들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토양게 유출된 유기물질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호기성 지역과 혐기성 지역을 모두 거치며 분해된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유출된 CVOCs 자연저감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바이얼 실험을 통하여 세 가지 수분 조건에서 흡착과 미생물 분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오염물질은 휘발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한번 분석한 시료는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 시간에 따른 분석횟수 만큼 동일한 시료를 준비하여 오염물질의 변화량을 예측하였다. 즉 동일한 시료를 4개씩 준비하여 시간에 따라 각각을 분석한 후, 이 결과를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변화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nderson, J.E. and McCarty, P.L., 1997, Transformation yields of chlorinated ethenes by a methanotrophic mixed culture expressing particulate methane monooxygenase, Appl. and Environ. Microbiol., 63, 687-693 

  2. Domenico, P.A. and Schwartz F.W., 1990, Physical and Chemical Hydrogeology, John Wiley & Sons, NY, p. 421-540 

  3. Fan, S. and Scow, K.M., 1993,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and toluene by indigenous microbial populations in soil, Appl. and Environ. Microbiol., 59, 1911-1918 

  4. Gibson S.A and Sewell G.W., 1992, Stimulation of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ene in anaerobic aquifer microcosms by addition of short-chain organic acids or alcohols, Appl. Environ. Microbiol., 58, 1392-1393 

  5. Hwang, I., 2000, PhD. Dissertation, 'Fe(II)-based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ylene in soils treated by degradative solidification/stabilization,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6. LaGrega, M.D., Buckingham, P.L., and Evans, J.C., 1994, Hazardous Waste Management, McGraw-Hill Inc., NJ 

  7. Mayno-Gatell X., Tandoi V., Gossett J.M., and Zinder S. H., 1995, Characterization of the $H_2$ -utilizing enrichment culture that reductively dechlorinates tetrachloroethene to vinyl chloride and ethene in the absence of methanogenesis and acetogenesis, Appl. Environ. Microbiol., 61, 3928-3933 

  8. Saxton, K.E., Rawls, W.J., Romberger, J.S., and Papendick, R. I., 1986, Estimating generalized soil-water characteristics from texture, Soil Sci. Soc. Amer. J, 50, 1031-1036 

  9. Sheremata, T.W., Yong, R.N., and Guiot, S.R., 1997, Simulation and sterilization of a surrogate soil organic matter for the study of the fate of trichloroethylene in soil. Commun. Soil. Sci. Plant. Anal., 28, 1177-1190 

  10. Tandoi V., DiStefano T.D., Bowser P.A., Gossett J. M., and Zinder S. H.,1994, Reductive dehalogenation of chlorinated ethenes and halogenated ethanes by a high-rate anaerobic enrichment culture, Environ. Sci. Technol., 28, 973-979 

  11. US EPA, 1996a, Clean up the nations waste sites: Markets and technology trends (EPA542/R-96/005A), Washington, DC 

  12. US EPA, 1996b, SW-846, Method 5021 

  13. US EPA, 1996c, SW-846, Method 3520C 

  14. US EPA, 1996d, SW-846, Method 8260 

  15. Wu, W., Nye, J., Jain, M.K. and Hickey, RF., 1998, Anaerobic dechlorination of trichloroethylene (TCE) to ethylene using complex organic materials, Water Research, 32, 1445-14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