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염화에틸렌(PCE)으로 오염된 국내 4개 지역 지하수 내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활성 및 미생물 군집의 비교
Evaluation of Microbial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ctivity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using PCE-Contaminated Groundwater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0 no.2, 2005년, pp.52 - 58  

김영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진욱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하철윤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권수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김정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한웅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하준수 ((주)그린텍환경컨설팅) ,  박후원 ((주)그린텍환경컨설팅) ,  안영호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이진우 ((주)도화종합기술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 또는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 내에 국외에서 보고된 환원성 탈염소화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사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마이크로코즘 테스트(microcosm tests)는 4개의 오염지역(창원 A, 창원 B, 부천 및 양산) 지하수와 다양한 전자공여체 (sodium lactate, sodium propionate, sodium butyrate, sodium fumar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단일 전자공여체 와 창원 A 혹은 창원 B 지하수를 주입한 전 마이크로코즘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분해 시 발생하는 최종 산물인 에틸렌이 배양 90일 후에 검출되었고, 부천 혹은 양산 지역의 지하수를 주입한 마이크로코즘에서는 배양 90 일 후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cis-1 ,2-Dichloroethylene)만이 검출되었고, 염화비닐(Vinyl chloride) 과 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창원 B 지역 지하수와 불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양산 지역 지하수 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창원 B 지역 지하수의 클론 라이브러리(Clone library)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미생물, uncultured bacterium clone DCE47과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양산 지역의 클론 라이브러리에서는 기존의 염화에틸렌 탈염소화 미생물과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일부 지역의 지하수 내에 사염화에틸렌을 완전 탈염소화하여 무해한 에틸렌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전자공여체를 공급하는 경우 그 분해 활성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사염화에틸렌 혹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를 경제적인 공법인 환원성 탈염소화 생물학적 공정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icrobial perchloroethylene (PCE) and/or trichloroethylene (TCE) dechlorination activity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t a PCE-contaminated aquifer. We performed microcosm tests using the groundwater sample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국내에는 사염화에틸렌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탈염소화 분해에 관여하는 토착 미생물에 대한 정보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보고된 환원성 탈염소화 미생물의 국내 사염화에틸렌 오염 지하수내 존재 유무와 전자공여체 주입 시 사염소화에틸렌 탈염소화 분해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ker, G, Zhou, J., Wu, L., Devol, A.H., and Tiedje, J.M., 2004, Nitrate reductase genes (nirK and nirS) as functional markers to investigate diversity of denitrifying bacteria in Pacific Northwest marine sediment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66, 2096-2104 

  2. Chang, Y.C., Hatsu, M., Jung, K., Yoo, Y.S., Okeke, B.C., and Takamizawa, K., 2000, Characterization of a tetrachloroethylene degrading bacterium clostridium bifermentans DPH-1, Biosci. and Bioeng., 89(5), 489-491 

  3. Gerritse, J., Renard, V., Pedro Gomes, T.M., Lawson, P.A., Collins, M.D., and Gottschal, J.C., 1996, Desulfitobacteriumsp. strain PCE1, an anaerobic bacterium that can grow by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ene or ortho-chlorinated phenols, Arch. Microbiol., 165, 132-140 

  4. Gerritse, J., Drzyzga, O., Kloetstra, G, Keijrnel, M., Wiersum, L.P., Huston, R., Collins, M.D., and Gottschal, J.C., 1999, Influence of different electron donors and acceptors on dehalorespiration of tetrachloroethene by Desulfitobacterium frappieri TCEI, Appl. Environ. Microbiol., 65(12), 5212-5221 

  5. Gu, A.Z., Hedlund, B.P., Staley, J.T., Strand, S.E., and Stensel, H.D., 2004,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of two enrichment cultures capable of reductively dechlorinating TCE and cis-DCE, Environmental Microbiology., 6(1), 45-54 

  6. Holliger, C., Hahn, D., Harmsen, H., Ludwig, W., Schumacher, W., Tindall, B., Vazquez, F., Weiss, N. and Zehnder, A.J., 1998, Dehalobacter restrictus gen. nov. and sp. nov., a strictly anaerobic bacterium that reductively dechlorinates tetra- and trichloroethene in an anaerobic respiration, Arch. Microbiol., 169(4), 313-321 

  7. Krumholz, L.R., Sharp, R.,and Fishbain, S.S., 1996, A freshwater anaerobe coupling acetate oxidation to tetrachloroethylene dehalogen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2( 11), 4108-4113 

  8. Loffler, F.E., Ritalahti, K.M., and Tiedje, J.M., 1997, Dechlorination of chloroethenes is inhibited by 2-bromoethanesulfonate in the absence of methanogens, Appl. Environ. Microbiol., 63(12), 4982-4985 

  9. Loffler, F.E., Sun, Q., Li, J., and Tiedje, J.M., 2000, 16S rDNA gene-based detection of tetrachloroethene-dechlorinating Desulfuromonas and Dehalococcoides species, Appl. Environ. Microbiol.,66(4), 1369-1374 

  10. Mandel, M. and Higa, A., 1970, Transformation by the calcium chloride procedure, J. Mol. Biol., 53, 159-162 

  11. Maymo-Gatell, X., Chien, Y., and Gossett, J.M., 1997, Isolation of bacterium that reductively dechlorinates tetrachloroethene and ethane, Science, 276(6), 1568-1571 

  12. Neumann, A., Wohlfarth, G., and Diekert, G.,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trachloroethene reductive dehalogenase from Dehalospirillum multivorans. Biological Chemistry, 271(28), 16515-16519 

  13. Sambrook, J., Fritsch, E. F., and Maniatis, T.,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4. Sung, Y., Ritalahti, K.M., Sanford, R.A., Urbance, J.W., Flynn, S.J., Tiedje, J.M., and Loffler, F.E., 2003, Characterization of two tetrachloroethene-reducing, acetate-oxidizing anaerobic bacteria and their description as Desulfuromonas michiganensis sp. nov, Appl. Environ. Microbiol., 69(5), 2964-2974 

  15. Wild, A., Hermann, R., and Leisinger, T., 1996, Isolation of an anaerobic bacterium which reductively dechlorinates tetrachloroethene and trichloroethene, Biodegradation, 7(6), 507-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