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수면시 온열쾌적감 평가 - 제1보 : 수면 전후 설문에 관하여 -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during Sleeping in Summer - Part I : On Results of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Sleep -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17 no.5, 2005년, pp.404 - 409  

김동규 (GE 엔지니어링) ,  금종수 (부경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rmal conditions on sleep. Fi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leep experiment. Three temperature levels (22, 26, and $30^{\circ}C$) were given, and relative humidity was maintained to $50\%$. When as subject arrived in the cham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여름철 열대야 기간 동안 일반 주택, 수면실, 휴식실 등에서는 쾌적하고 편안한 수면을 위해 공기조화가 필요하지만, 주간 인체 활동량에 맞추어진 공조조건을 활동량이 다른 수면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여름철 쾌적수면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온열환경 조건을 설문, 평균 피부온도, 생리 신호(1,2)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제1보는 기초연구로서 수면시 온열조건에 따른 신체움직임과 OSA 수면조사표 및 수면다원검사에 근거한 수면 전후 설문 분석, 제2보는 온열환경 조건에 따른 평균 피부온도와 생리신호 분석, 제3보는 온열환경조건 변동에 따른 설문, 평균 피부온도, 생리신호 분석 등으로 구분하였고, 본고는 일련의 연구 중 기초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수면 전 피험자의 심리 및 생리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9개항으로 구성된 간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피험자가 실험측정장치나 환경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여부 및 수면에 방해가 될만한 요소들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피험자가 잠이 온다는 신고를 하면 소 등(Light Off)을 하여 8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였고, 신체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수면모습을 녹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Haskell, E. H. and Palca, J. W., 1981, The effects of high and low ambient temperature on human sleep,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pp.494-501 

  2. Sasaki, Y. and Miyasita, A., 1993, Effects of sleep interruption on body temperature in human subjects, American Sleep Disorders Association and Sleep Research Society, Sleep, Vol. 16, No.5, pp.478-483 

  3. Muzet, A. and Ehrhart, J., 1983. Rem sleep and ambient temperature in man, Journal of the Neuroscience, Vol. 18, pp. 117-126 

  4. Mitsugu Oguri, Shuichiro Shirakawa and Kazuo Azumi, 1985, OSA construction of standard rating scale to estimate sleep profile, Psychogeriatrics, Vol. 27, No.7, pp.791-799 

  5. Yanase, T., 1981, A condition for good sleep managements for sleep, Sleepless, Yuhikaku, Tokyo, pp. 275-2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