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개월 동안 사용한 마모된 칫솔의 마모 정도와 양상을 관찰하고, 새 칫솔과 마모된 칫솔의 잇솔질${\cdot}$ 후 치태제거효율을 single-use design으로 비교 ${\cdot}$ 평가하여 3개월 주기의 칫솔 교체 주기의 근거를 임상적으로 확인 해보고자 하였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치과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잇솔질 습관을 조사하고, 3개월간 동일한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게 하였다. 3개월 후 피시험자를 무작위로 두 군(I, II)으로 나누고,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2주후에 내원하도록 하였으며 내원 전 48시간동안은 잇솔질을 하지 않도록 지시하였다. 2주후 I군은 새 칫솔을, II군은 마모된 칫솔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잇솔질 전 ${\cdot}$ 후에 각각 구강 내를 erythrosin으로 염색한 후 6개의 Ramfjord 치아의 plaque score를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로 측정하였다. 2주간의 washout period 후에 다시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I군이 마모된 칫솔을, II군은 새 칫솔을 사용하게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PHP index를 각각 측정하였다. 마모된 칫솔은 수거하여 brushing surface area의 면적으로 마모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paired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2명이 탈락하였고 잇솔질 전 ${\cdot}$ 후에 대한 전체 부위, 치간 부위, 변연치은 부위의 plaque score는 두 칫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01), 두 칫솔을 비교한 경우에는 새 칫솔이 마모된 칫솔보다 치태 감소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많았다 (p<0.0001). 칫솔의 마모도는 평균 50.6% 증가하였으며, 마모도 증가에 따른 치태 감소량에는 직선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전체 부위 r=-0.58, p=0.72 / 변연치은 부위 r=-0.50, p=0.76). Single-use design에서 3개월 동안 마모된 칫솔은 치태제거 능력에 있어서 새 칫솔보다 덜 효율적이였다. 칫솔의 마모도는 구강 위생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마모된 칫솔은 정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또한, 치간 부위를 포함한 변연치은 부위의 치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치태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주제어

참고문헌 (33)

  1. Loe H, Theilade E, Jensen SB. Experi- mental gingivitis in man. J Periodontol. 1965;36:177-187 

  2. Lindhe J, Hamp s, Loe H. Experi- mental periodontitis in the beagle dog. J Periodontal Res. 1973;8:1-10 

  3. Schei D. Alveolar bone loss as related to oral hygiene and age. J Periodontol 1959;39:7-16 

  4. Nyman S, Roseling B, Lindhe J. Effect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on healing after periodontal surgery. J Clin Periodontol. 1975;2:80-86 

  5. Roseling B, Nyman S, Lindhe J, The effect of systemic plaque control on bone regeneration in infrabony pockets. J Clin Periodontol. 1976;3:38-53 

  6. Axelsson P, Needs-related plaque control measures based on risk prediction. In: Lang N, Attstrom R. & Loe H. (eds): Proceedings of the European Workshop on Mechanical Plaque Control, 1998, pp190-247, Chicago: Quintessence 

  7. Axelsson P. Mechanical plaque control. In: Lang N. & Karring T. (eds): Proceedings of the 1st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1993, pp.219-243, Chicago: Quintessence 

  8. Warren PR, Jacobs D, Low MA, Chater BV, King DW. A clinical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toothbrush wear on efficacy. J Clin Dent. 2002;13:119-124 

  9. American Dental Association, Division of Communications, Brochure W 116, 1987 

  10. Kreifeldt JG, Hill PH, Calisti LJP. A systematic study of the plaque remo- val efficiency of worn toothbrushes. J Dent Res. 1980;59:2047- 2055 

  11. Glaze PM, Wade AB. Toothbrush age and wear as it relates to plaque control. J Clin Periodontol. 1986;13: 52-56 

  12. McKendrick AJW, McHugh WD, Bar- benel LMH. Toothbrush age and wear. An analysis. Br Dent J 1971;130: 66-68 

  13. Daly CG, Chapple CC, Cameron AC. Effect of toothbrush wear on plaque control. J Clin Petiodontol. 1996;23: 45-49 

  14. Sforza NM, Rimondini L, di Menna F, Camorali C. Plaque removal by worn toothbrush. J Clin Periodontol 2000. ;27:212-216 

  15. Tan E. Daly CG. Comparison of new and 3month-old toothbrushes in plaque removal. J Ciin Periodontol. 2002;29:645-50 

  16. Conforti NJ, Cordero RE, Liebman J, Bowman JP, Putt MS, Kuebler DS, Davidson KR, Cugini M, Warren PR.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three months' clinical wear on toothbrushing efficacy: Results from two independent studies. J Clin Dent. 2003;14:29-33 

  17. Bergstrom J. Wear and hygiene status of toothbrushes in relation to some social background factors. Swed Dent J. 1973;66:383-390 

  18. Dean DH, Beeson LD, Cannon DF, Plunkett CB. Condition of toothbrushes brushes in use; Correlation with beha- vioural and socio-economic factors. Clin Prev Dent. 1992;14: 14-18 

  19. Podshadley AG, Haley JV. A method for evaluating oral hygiene performance. Public Health Reports. 1968;83;259 -264 

  20. Snedector GW, Cochran WG: In Statistical Methods 7th Ed. Ames, IA,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80 

  21. Dean DH. Toothbrushes with gra- duated wear: correlation with in vitro cleaning performance. Clin Prev Dent 1991;13:25-30 

  22. Greene TC, Vermillion JR. The oral hygiene index: A method for classifying oral hygiene status. J Am Dent Assoc. 1960;61:172-179 

  23. Gamick JJ. Use of indexes (sic) for plaque control. J Am Dent Assoc. 1973;86:1325-1328 

  24. Benson BJ, Grossman E, Mankodi S, Sharma NC. Development and verifi- cation of the Proximal/Marginal Plaque Index. J Clin Dent. 1993; 4:14-20 

  25. Turesky S, Gilmore N. Glickman I. Reduced plaque formation by the chloromethyl analogue of vita mine C. J Pericdontol, 1970;41:41-73 

  26. Sillness J, Loe H.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II). Correlation between oral hygiene and periodontal con- dition, Acta Odontol Scand. 1964; 24:747-759 

  27. J.R. Elliott et al, III. Evaluation of an oral physiotherapy center in the reduction of bacterial plaque and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1972;221-224 

  28. Rustogi KN, Curtis JP, Volpe AR, Kemp JH, McCool JJ, Korn LR Refinement of the Navy Plaque Index to increase plaque scoring efficiency in gumline and interproximal tooth areas. J Clin Dent. 1992;3(Suppl C): C9-12 

  29. Sharma NC, Galustians J, Rustogi KN, McCool JJ, Petrone M, Volpe AR, Korn LR, Petrone D. Comparative pla- que removal efficacy of three tooth- brushes in two independent clinical studies. J Clin Dent. 1992;3(Suppl C): C13-20 

  30. Singh SM, Battista GW, Rustogi KN, DeVizio W, Volpe AR, Petrone ME, Proskin HM. The comparative plaque removal efficacy of two advanced manual toothbrush designs in two independent clinical studies. J Clin Dent. 2001;12;83-86 

  31. Claydon N. and Addy M. Comparative singleuse plaque removal by tooth- brushes of different designs. J Clin Periodontol, 1996;23:1112-1116 

  32. Axelsson P, Lindhe J. Effect of controlled oral hygiene precedures on caries and peridontal disease in adults. J Clin Periodontol. 1978; 5:133-151 

  33. Axelsson P, Lindhe J. Effect of controlled oral hygiene procedures on caries and peridontal disease in adults. Results after 6 years. J Clin Periodontol. 1981;8:239-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