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항만구조물은 초연약 지반상에 축조되고 있으며 도로나 건물부지에는 지반개량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사례연구를 통하여 표층처리후의 복토사례에 대하여 몇가지 고려사항을 언급하였다. 또한, 모래나 산토를 이용한 복토공법에 대하여 강도적용이 고려되었다. 국내 복토공법 토목섬유 인장강도는 15t/m, 복토두께는 1.6~3.1m, 점토지반의 표층강도는 $0.2{\sim}1.2t/m^2$이 대표적이다. 표층처리공 시공시 발생되는 지반교란, 점토유출, 장비전도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항만구조물은 초연약 지반상에 축조되고 있으며 도로나 건물부지에는 지반개량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사례연구를 통하여 표층처리후의 복토사례에 대하여 몇가지 고려사항을 언급하였다. 또한, 모래나 산토를 이용한 복토공법에 대하여 강도적용이 고려되었다. 국내 복토공법 토목섬유 인장강도는 15t/m, 복토두께는 1.6~3.1m, 점토지반의 표층강도는 $0.2{\sim}1.2t/m^2$이 대표적이다. 표층처리공 시공시 발생되는 지반교란, 점토유출, 장비전도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Most marine structures are constructed on very soft soil, soi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he area of road, buildings. In this paper, some considerations of several case studies on soil placement method after geotextile placement, known as surface treatment, are done. Considerations of strength app...
Most marine structures are constructed on very soft soil, soi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he area of road, buildings. In this paper, some considerations of several case studies on soil placement method after geotextile placement, known as surface treatment, are done. Considerations of strength applicability on the advanced construction method of sand and soil placement are proposed in this paper. Typical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used in the surface soil stabilization method is 15t/m, and thickness of sand and soil placement between 1.6m and 3.1m.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oft clay layer ranges $0.2{\sim}1.2t/m^2$.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which include soil disturbance, soft soil gush and overturn of vertical drain installation rig more studies are needed.
Most marine structures are constructed on very soft soil, soi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he area of road, buildings. In this paper, some considerations of several case studies on soil placement method after geotextile placement, known as surface treatment, are done. Considerations of strength applicability on the advanced construction method of sand and soil placement are proposed in this paper. Typical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used in the surface soil stabilization method is 15t/m, and thickness of sand and soil placement between 1.6m and 3.1m.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oft clay layer ranges $0.2{\sim}1.2t/m^2$.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which include soil disturbance, soft soil gush and overturn of vertical drain installation rig more studies are need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표층처리를 하는 경우 국내 항만건설 사업에서는 토목섬유 매트를 연약지반의 표면에 부설한 후 일정두께의 토사를 덮어 강도를 증가시키는 복토방식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약지반개량시 적용되는 표층처리공법의 적용이 아직까지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 미흡하고 시공사례도 많지 않은 현실에서 시공 사례분석을 통한 토목섬유의 적용과 점토의 강도적용을 살펴보고 현장적용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즉 표층강도가 약하면 토목섬유의 강도가 커지거나 복토층 두께가 커져야 한다. 따라서, 점성토의 표층강도에 따른 토목섬유 매트의 상관성에 대하여 일본사례에서 제시한 그림 3의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내공사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05tf/m2 범위로 일본의 사례와 비슷하나, 토목섬유 매트의 인장강도는 5~25tf/m범위로 15tf/m의 매트가 대부분 사용되었다. 국내에서는 연약지반개량시 토목섬유의 적용에 있어 일본의 경우보다는 저 강도의 토목섬유 매트를 사용함으로서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표층처리공법이 토목섬유의 인장강도와 복토층 두께가 서로 상관성이 있음을 감안할 때 국내는 저 강도의 토목섬유 매트를 사용한 반면 공사현장 인근의 토취장 개발로 복토 두께를 두껍게 시공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자연상태의 흙이 포함하고 있는 물의 양을 그 흙의 건조질량과의 비로 나타낸 수치)는 감소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광양항 및 부산항의 조사대상 지역에서는 표층강도가 0.2tf/m2인 경우 100% 정도의 함수비를 나타내고, 1.0tf/m2에서는 78% 정도의 함수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표층강도 0.1tf/m2 증가에 따라 3% 정도의 함수비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복토층이 완성되면 그 위에서 연직 드레인타입이 시작된다. 드레인 타입 장비는 크레인에 20~30m 높이의 가이드(또는 리더)를 부착하여 장비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고 접지압도 10~12tf/m2(장비전체중량 120t 내외)로 매우 큰 편이다.
1. 표층처리공법을 적용하는 시기는 공사의 난이도, 공기와 관련되어 경제성, 시공성을 검토해야 한다. 그러므로, 표층처리공법과 샌드매트 포설공법의 복합적인 방법을 통하여 현장에 알맞는 방법을 선택한다.
2. 국내 항만공사에 적용된 표층처리공법은 토목섬유 매트와 토사, 모래, Slag를 이용한 복토방식이 대표공법이었고, 이때 사용된 토목섬유의 인장강도는 대부분 15tf/m이며, 복토층 두께는 2.0m~2.8m 범위이다.
3. 표층처리공법을 적용한 점토지반의 표층강도와 토목섬유 매트의 인장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본의 경우 표층강도 0.1~1.2tf/m2, 인장강도 5~40tf/m가 대부분이며, 국내의 경우 표층강도 0.15~1.05tf/m2, Mat의 인장강도는 5~25tf/m이 사용되었다.
4. 표층처리시 서해안의 경우 특히 인천의 일부현장은 자연건조공법을 이용하여 1년간 방치하면 건조층이 30cm 정도 발생하고 전단강도는 0.5~0.7t/m2으로 나타났으며 표층처리없이 장비진입이 가능하였다. 5.
후속연구
그러나, 일본의 사례는 공기를 여유있게 확보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공기확보를 위해서는 안정성이 확보되는 표층처리공법을 적용해야 하며, 준설토 투기후 3개월이내라도 투기장면적이 크지않은 경우 앞절에서 설명한 표층처리공법을 현장에 맞게 복합적으로 적용하여도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설투기된 점토지반의 특징은?
대규모 항만계획시에는 준설토 처리문제와 항만시설부지의 확보 문제가 중요하여 최근에는 해안선에 호안을 축조하여 투기장을 조성하고 준설토를 투기 매립하여 해양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투기장을 개발하여 항만시설부지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준설투기된 점토지반은 높은 함수비와 작은 일축압축강도를 가지며, 이러한 토층은 대체적으로 지반의 연경정도를 나타내는 액성한계값이 100~200%, 소성한계가 50~100%, 토립자의 체적에 대한 공극비가 2~12, 일축압축강도가 대략 1.5kgf/cm2 이하이며, N치가 4~5 이하인 지반으로 구조물의 종류나 형식에 따라 압밀침하, 지반의 소성화에 의한 측방유동 및 융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표층처리공법에 대하여 복토방식은 준설점토 지반과 직접 닿는 토목섬유 매트와 그상부에 시공되는 복토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것이 나타내는 것은?
표층처리공법에 대하여 복토방식은 준설점토 지반과 직접 닿는 토목섬유 매트와 그 상부에 시공되는 복토재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약지반 표층부의 강도는 토목섬유의 인장강도나 복토층의 두께와 서로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즉 표층강도가 약하면 토목섬유의 강도가 커지거나 복토층 두께가 커져야 한다. 따라서, 점성토의 표층강도에 따른 토목섬유 매트의 상관성에 대하여 일본사례에서 제시한 그림 3의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내공사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대규모 항만계획시 중요한 문제는?
대규모 항만계획시에는 준설토 처리문제와 항만시설부지의 확보 문제가 중요하여 최근에는 해안선에 호안을 축조하여 투기장을 조성하고 준설토를 투기 매립하여 해양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투기장을 개발하여 항만시설부지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준설투기된 점토지반은 높은 함수비와 작은 일축압축강도를 가지며, 이러한 토층은 대체적으로 지반의 연경정도를 나타내는 액성한계값이 100~200%, 소성한계가 50~100%, 토립자의 체적에 대한 공극비가 2~12, 일축압축강도가 대략 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