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중고학생들의 웹 교육정보 시스템인 에듀넷의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냄으로써 에듀넷 활용 확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의 확산 이론과 웹 활용 교육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들의 조사를 통해 에듀넷 활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로써 혁신의 속성(상대적 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판단, 지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응답결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의 속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판단, 지원을 포함한 회귀 모형의 적합성이 검정되었으며, 주관적판단, 지원이 에듀넷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중고학생들의 웹 교육정보 시스템인 에듀넷의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냄으로써 에듀넷 활용 확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의 확산 이론과 웹 활용 교육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들의 조사를 통해 에듀넷 활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로써 혁신의 속성(상대적 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판단, 지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응답결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의 속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판단, 지원을 포함한 회귀 모형의 적합성이 검정되었으며, 주관적판단, 지원이 에듀넷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Edunet) use and searching for ways to diffuse Edunet use.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web-based instruction, seven predictors influencing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Edunet) use and searching for ways to diffuse Edunet use.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web-based instruction, seven predi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Edunet use were extracted. Seven variables as the followings; (1)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2) Innovativeness (3) Self-efficacy (4) Subjective Norm (5) Support. The participants were 315,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20-item with 7-point Likert scal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est the hypothes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fitness of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ven decision factors was proved. In addition, two factors, subjective norm and support, were identified as the important decision factors of Edunet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Edunet) use and searching for ways to diffuse Edunet use.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web-based instruction, seven predi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Edunet use were extracted. Seven variables as the followings; (1)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2) Innovativeness (3) Self-efficacy (4) Subjective Norm (5) Support. The participants were 315,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20-item with 7-point Likert scal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est the hypothes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fitness of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ven decision factors was proved. In addition, two factors, subjective norm and support, were identified as the important decision factors of Edunet u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첫째, 에듀넷 비활용의 원인을 하드웨어와 기술의 부족이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만을 고집하였다[12]. 둘째, 시스템을 이루는 각 요소들을 영역별로 구분하고 그 영역 내에서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고, 그에 따른 해결책도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혁신의 확산 이론과 웹 활용 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에듀넷 활용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함으로써 에듀넷 활용 확산을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혁신의 확산 이론은 새로운 혁신의 수용과 활용에 대해 사용자가 갖고 있는 인식과 태도, 수용을 받아들이는 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설명해 줌으로써 제공될 서비스에 대해 학습자가 갖고 있는 요구나 목적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내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에듀넷의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혁신의 확산 이론과 웹 교육 서비스에 대한 선행·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가 초등학생인 점을 감안하여 설문 조사 시, 문항들을 교사가 읽어주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설명해주도록 하였다. 사용된 변수의 문항 수와 내용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가설 설정
343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1이 증명되었다. 유의할 것은 적합도 검정에서는 유의확률 값이 .05보다 커야 모형이 적합하다는 귀무 가설을 채택한다.
제안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도구는 Moore & Benbasat[20], 박병호[6]의 설문지를 기반으로 몇가지 언어의 이해를 위한 수정만을 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4인의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에듀넷 인지도 및 활용 연구, 웹 기반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첫째, 2004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본 연구에 맞게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완성하였다. 대학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육공학 전공 지도교수 및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첫째, 2004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본 연구에 맞게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완성하였다. 대학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육공학 전공 지도교수 및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둘째, 초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문항의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대학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육공학 전공 지도교수 및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둘째, 초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문항의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2004년 11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 4개 초등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초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문항의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2004년 11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 4개 초등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해당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설문에 응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해당 학교의 사정으로 부득이한 경우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2004년 11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 4개 초등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해당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설문에 응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해당 학교의 사정으로 부득이한 경우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2004년 12월 7일까지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해당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설문에 응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해당 학교의 사정으로 부득이한 경우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2004년 12월 7일까지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우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검증을 통해 추출된 요인들이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데 적합한지, 그리고 얼마나 적합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통계량을 검사하였다.
하지만, 사용자의 요구나 특성을 고려하는데 미흡하여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웹 교육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의 확산 이론과 웹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에듀넷 활용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연구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총 20문항으로 7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다)로 이루어졌으며, 종속변수는 에듀넷을 활용하는가, 활용하지 않는가를 묻는 이분변수이다. 종속변수를 이분변수로 지정한 이유는, 지금까지 웹 교육 시스템 활용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 결정보다는 먼저 시스템을 활용한 후 그 학습 결과를 분석하는 것에만 집중해왔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선정 이유는 첫째, 초등학생은 에듀넷의 활용도가 중·고등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둘째, 저학년 학생에 비해 고학년 학생들이 웹 상에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며, 서비스 활용에 대해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중 각각 2개교씩 4개 초등학교에서 총 330명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포함한 설문지 15부를 제외하고 315부를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구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데이터처리
우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검증을 통해 추출된 요인들이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데 적합한지, 그리고 얼마나 적합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통계량을 검사하였다. 셋째, 에듀넷 활용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즉 에듀넷 활용 결정의 가능성을 크게 하는 독립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종속변수가 이분변수인 경우에 사용하는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검증을 통해 추출된 요인들이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하는데 적합한지, 그리고 얼마나 적합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통계량을 검사하였다. 셋째, 에듀넷 활용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즉 에듀넷 활용 결정의 가능성을 크게 하는 독립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종속변수가 이분변수인 경우에 사용하는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 전에, 회귀분석 가정에 위반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예비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의 적합성과 함께 모형이 얼마나 적합한 가를 평가하기 위해서 예측값 및 관측값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에듀넷 활용의 결정 여부를 예측하는 모형의 정확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약 64.
연구가설 2는 7개 독립변수 중 에듀넷 활용 여부 결정에 유의미한 예측력을 제공하는 변수를 도출해내기 위한 것으로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9>와 같다.
연구가설 1은 7개의 독립변수로 이루어진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이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얼마나 적합한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적합도 통계량(goodness of fit statistic)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성능/효과
따라서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고, 그에 따른 해결책도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셋째, 학습자의 목적이나 요구보다는 학습 자료의 제공이나 전달과 같은 교수학습을 위한 수단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학습자가 교육 서비스에 대해 갖게 될 또는 갖고 있는 인식이나 태도, 학습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 서비스가 우선 제공하고 보는 식의 운영이 지속되고 있다.
에듀넷 활용 여부와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표 6>와 같다. Pearson 상관계수 분석 결과, 모든 변수들 간에 유의미한 양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사용되는 결정계수인 Cox & Snell R2 와 Nagelkerke R2는 과 같이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의해 15.0%의 분산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의 적합성과 함께 모형이 얼마나 적합한 가를 평가하기 위해서 예측값 및 관측값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에듀넷 활용의 결정 여부를 예측하는 모형의 정확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약 64.8%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분석결과는 <표 8>과 같다.
분석 결과, 주관적 판단, 지원이 에듀넷 활용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Exp(.
Wald 통계량이 2K(K: 독립변수에 대한 자유도)보다 작으면 R값은 0으로 정의되며, 작은 R값은 독립변수가 모형에 적은 공헌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주관적 판단과 지원은 에듀넷 활용 결정에 공헌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상대적 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의 Wald 통계량이 2.
연구 결과,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로 혁신의 속성(상대적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판단, 지원이 추출되었다. 7개의 변수 중 주관적 판단과 지원 변수만이 에듀넷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그 이유를 추측해 보건데 먼저 혁신의 속성의 경우 아직도 웹 기반 학습으로서 에듀넷이 학생들에게 그 효과성과 편리성이 인식되어지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혁신의 수용 속도, 즉 혁신성은 연구대상자인 초등학생들이 새로운 것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더라도 이들의 결정은 부모, 교사의 결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확률이 높다. 따라서 에듀넷 활용 여부에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에듀넷 활용 여부에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을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활용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에듀넷 활용에 대한 효능감 차이가 없게되어 당연히 활용을 결정짓는 변인이 될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첫째, 교사, 학부모 같은 지원 집단의 영향력은 초등학생처럼 연령이 낮은 학습자에게 그 영향이 클 수 있다. 주관적 판단과 지원이 에듀넷 활용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추출된 것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전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검사한 결과, 상수만을 포함하는 -2LL(Log Liklihood)는 436.527, 전체 모델의 -2LL는 398.903으로 두 모델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모델 chi-square는 37.624였다. 모형의 자유도는 7이었고 유의확률 값은 0.
연구 결과,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로 혁신의 속성(상대적유용성, 적합성, 복잡성),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판단, 지원이 추출되었다. 7개의 변수 중 주관적 판단과 지원 변수만이 에듀넷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둘째, 에듀넷 활용 여부를 결정짓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추출된 지원의 경우, 이제까지의 해결 방안은 인터넷 회선속도 개선, 다양한 멀티미디어자료 제공과 같은 물리적 지원 방법이었다. 그러나 물리적 지원만으로는 사용자들의 에듀넷 활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는 힘들다.
후속연구
혁신의 확산 이론은 새로운 혁신의 수용과 활용에 대해 사용자가 갖고 있는 인식과 태도, 수용을 받아들이는 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설명해 줌으로써 제공될 서비스에 대해 학습자가 갖고 있는 요구나 목적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내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또한, 웹 활용 교육 관련연구들을 통해 에듀넷의 활용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되는 요인들을 추출함으로써 낮은 활용율의 문제에 체제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에듀넷을 단기간에 사용하고 중지한 사용자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요구와 주변 사람들, 학교, 가정의 환경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수많은 교육 사이트들이 사용자들의 외면 속에서 사라질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사용자를 위한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에듀넷의 활용 확산을 꾀하는 본 연구는 초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힘들며, 많은 변수들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확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미 사용자의 두 구분만을 두었으나 실제 사용자들의 활용 정도를 측정하여 TAM 모델과 같은 수용 모델을 활용하여 좀 더 복잡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