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교합평면 및 수직고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3 no.1, 2005년, pp.41 - 51  

박정형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정창모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전영찬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임장섭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ment of problem. Anatomic landmarks have been used in the orientation of occlusal plane and the determination of vertical dimension for edentulous patients. Such as labial vestibules of anterior region and hamular notches, retromolar pads of posterior region are very useful anatomic landmark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무치악 환자의 수직고경 결정과 교합 평면 설정에 관한 참고자료를 얻기 위하여, 정상 치열을 가진 21세부터 29세까지의 성인 남자 51명과 여자 42명, 총 93명의 한국 성 인 유치 악자의 모형을 계측하였다.
  • 본 연구는 정상치열자의 해부학적 참고점간 거리계측을 통해 교합관계의 회복이 필요한 환자, 특히무치악 환자에서 교합평면 설정과 수직고경 결정에참고가 될 수 있는 한국인의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특별히 고안된 기구가 계측에 사용되었으나, 모형계측시에 계측자 주관의 개입이나 기구의 미세한 오차 가능성 등을 배제하기 어렵고 연구대상자들의 연령분포가 다양하지 못하며 조사표본의 수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한계점을 가질 뿐 아니라, 계측 평균치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성에 따라 적절한 조정과 확인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후구치 삼각융기와 구상절흔 사이의 수직거리를 계측하여 후방부 수직고경에 관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하악의 안정적 구조물인후구치 삼각융기를 후방 참고점으로 설정하고, 융기부 높이의 1/2지점을 계측점으로 삼았는데, 이는 대개 이 부분에서 후구치 삼각융기가 가장 풍 융하고 인지하기 쉬웠기 때문으로, 계측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피검자의 구순운동에 의힌P변연 형성시 중절치 부위는 순측 소대의 기능에 따라 전정형태의 변이가 심하고 계측이 어려우므로, McGrane13)s] 연구에서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명확하고 계측이 용이하도록 순측 전정의 가장깊은 지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순측전정 최저점은 대개 견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교합제를 제작하게 되는 작업모형에는환자의 기능적이고 생리적인 구순운동이 반영된 전정형태가 기록되므로, 이의 재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여 변연 형성을 하고, silicone 인상재로 인상을 채득하여 조직 변형을 최소로하고자 하였으나 McGrane13)5] 연구에서는 트레이와인상재에 의한 전정조직의 변형이 컸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계측값의 차이는 전정 계측점의 위치 차이 및 변연 형성의 여부가 반영된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제작시, 교합평면 설정 및 수직고경 결정에 관한 해부학적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 한국 성인 정상 치열자에서전방부에서는 중절치 절단연과 순측 전정간 거리 및상하악 순측 전정간 거리를, 후방부에서는 상악 중절치 절단연과 상악 저H대구치 근심설측 교두를 연결한교합평면으로부터 구상절흔까지의 거리 및 구상절흔과 후구치 삼각융기간 거리를 계측 조사하였다.
  • 이와 같이 전방부 수직고경의 결정 에 전치 와 순 측 전정을 이용한 연구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하 악전 방부 교합평면의 높이와 수직고경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모형을 계측하였다. 교합평면에 대해 중절치 절단연과 순측 전정 최저점간 수직거리를 계측하여전방부 교합평면의 높이를 알고자 하였고, 전방부수직고경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상하악 순측 전정 최저점간 수직거리를 계측하였다.
  • 이용하고자 하였다. 하악의 안정적 구조물인후구치 삼각융기를 후방 참고점으로 설정하고, 융기부 높이의 1/2지점을 계측점으로 삼았는데, 이는 대개 이 부분에서 후구치 삼각융기가 가장 풍 융하고 인지하기 쉬웠기 때문으로, 계측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후구치 삼각 융기와 구상절흔 사이의 평균거리는 5.

가설 설정

  • A, Measuring of vertical distance on upper model. B, Measuring of vertical distance on lower model oriented to the same oc시usal plane. C, Measuring of vertical distance between bottoms of both upper and lower labial vestibul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7th ed. J Prosthet Dent 1999;81:39-110 

  2. Zarb GA, Bolender CL, Hickey JC. Carlsson GE. Boucher's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10th ed. St. Louis: CV Mosby; 1990. p.272-309 

  3. Lee JI, Shin SW, Suh KW. A study on establishing the occlusal plane.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2;30:575-80 

  4. Monteith BD. A cephalometric method to determine the angulation of the occlusal plane in edentulous patients. J Prosthet Dent 1985;54:81-7 

  5. Park SH, Heo SJ, Cho I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facial and oral anatomic landmark and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2;30:43-53 

  6. Koller MM, Merlini L, Spandre G, Palla S. A comparative study of two methods for the orientation of the occlusal plan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edentulous patients. J Oral Rehabil 1992;19:413-25 

  7. Fayz F, Eslami A, Determination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 a literature review. J Prosthet Dent 1988;59:321-3 

  8. Celebic A, Valentic-Peruzovic M, Kraljevic K, Brkic H. A study of the occlusal plane orientation by intra-oral method (retromolar pad). J Oral Rehabil 1995;22:233-6 

  9. Park JH, Oh SC, Dong JK.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veral facial measurement method for vertical dimens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5;33:75-84 

  10. Fayz F, Eslami A, Graser GN. Use of anterior teeth measurements in determin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J Prosthet Dent 1987;58:317-22 

  11. Willis FM. Features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12. Smith DE : The reliability of pre-extraction records for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1971;25:592-608 

  13. McGrane HF. Five basic principles of the McGrane full denture procedure. J Florida Dent Soc 1949;20:5-8 

  14. Thompson JR. The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its significance to dental science. J Am Dent Assoc 1946;33:151-80 

  15. Atwood DA. A cephalometric study of the clinical rest position of the mandible. J Prosthet Dent 1956;6:504-19 

  16. Shanahan TEJ. Physiologic vertical dimension and centric relation. J Prosthet Dent 1956;6:741-7 

  17. Boos RH, Intermaxillary relation established by biting power. J Am Dent Assoc 1940;27:1192-9 

  18. Silverman MM. Determination of vertical dimension by phonetics. J Prosthet Dent 1956;6:465-71 

  19. Pound E. Applying harmony in selecting and arranging teeth. Dent Clin North Am 1962;6:241-58 

  20. Hong SK, Lim JH, Cho IH.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vertical dimension in edentulous patient using a Dento-Profile Scale. J Korean Acad Prosthodont 1987;25:155-60 

  21. Ismail YH, Bowman JF.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in natural and artificial teeth. J Prosthet Dent 1968;20:407-11 

  22. Lundquist DO, Luther WW. Occlusal plane determination. J Prosthet Dent 1970;23:489-98 

  23. Yasaki M. The height of the occlusion rim and the interocclusal distance. J Prosthet Dent 1961;11:26-31 

  24. Chung MK. A comparative study of alatragus line and occlusal plane in edentulous patient. J Korean Acad Prosthodont 1989;27:25-9 

  25. Karkazis HC, Polyzois GL. A study of the occlusal plane orientation in complete denture construction. J Oral Rehabil 1987;14:399-404 

  26. Rich H. Evaluation and registration of the H.I.P. plane of occlusion. Aust Dent J 1982;27:162-8 

  27. Foley PF, Latta GH Jr. A study of the position of the parotid papilla relative to the occlusal plane. J Prosthet Dent 1985;53:124-6 

  28. Ellinger CW. Radiographic study of oral structures and their relation to anterior tooth position. J Prosthet Dent 1968;19:36-45 

  29. Sloane RB, Cook BA. A guide to the orientation of the plane of occlusion. J Prosthet Dent 1953;3:53-65 

  30. Oh YR, Lee SB, Park NS, Choi DG. A study of intraoral anatomic landmarks of Korean adult upper-jaw.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5;33:753-66 

  31. L Estrange PR, Vig PS. A comparative study of the occlusal plane in dentulous and edentulous subjects. J Prosthet Dent 1975;33:495-503 

  32. Graser GN, Plekavich EJ, Espeland MA.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r anterior tooth position an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J Dent Res 1986;65:249 

  33. Ow RK, Djeng SK, Ho CK. Orientation of the plane of occlusion. J Prosthet Dent 1990;64:31-6 

  34. Lee SJ, Choi DG, Woo YH, Choi BB. A study of the occlusal plane orientation in Korean adults. Kyung Hee Univ Dent J 1997;19:753-69 

  35. 林 都志夫. 全部床義齒補綴學. 第3版. 東京 : 醫齒藥山版株式會社; 1993. p.280-96 

  36. Karkazis HC, Polyzois GL. Cephalom-etrically predicted occlusal plane : implications in removable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1991;65:258-64 

  37. Tallgren A, Solow B. Age differences in adult dentoalveolar heights. Eur J Orthod 1991;13:149-56 

  38. Nissan J, Barnea E, Zeltzer C, Cardash HS. Relationship between occlusal plane determinants and craniofacial structures. J Oral Rehabil 2003;30:587-91 

  39. Landa JC. A scientific approach to the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its relation to occlusal disharmonies. J Prosthet Dent 1957;7:170-81 

  40. McGee GF. Use of facial measurements in determining vertical dimension. J Am Dent Assoc 1947;35:342-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