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업환경이 변화와 기상변화에 대비한 작물의 영양관리 대책 도출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체계를 확보 하고자 논토양에서 완효성 비료시용시 질소이용률 평가와 질소수지를 분석하였다. NPK 처리구의 표층수중 $NH_4-N$ 농도는 벼 이앙초기 $2.07mg\;L^{-1}$이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다가 수비시용과 더불어 $NH_4-N$ 농도가 증가하였다. 완효성 시비구의 $NH_4-N$ 농도는 벼 이앙 18일 이후부터는 NPK 시용구보다 높았다. NPK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10일경에 약 $3.97mg\;L^{-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CRF100%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후 30일까지 $3-5mg\;L^{-1}$ 범위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중 $NH_4-N$ 함량 변화는 NPK 처리구에서 이앙 초 $120mg\;kg^{-1}$ 내외였으며, 이앙 20일 이후에 $45mg\;kg^{-1}$으로 감소하였다가 추비로 인하여 $NH_4-N$ 함량이 다시 $45mg\;kg^{-1}$로 증가하였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벼 생육초기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이앙 25일 이후부터 NPK 시용구에 비하여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NH_4-N$ 함량이 증가하였다. NPK 처리구에서 암모니아 휘산으로 손실된 질소량은 $22.4kg\;ha^{-1}$이었며, 완효성 비료를 시용함으로서 67%까지 암모니아 휘산을 줄일 수 있었다. 질소 이용율은 NPK 시용구가 27.4%이었고, CRF70% 시용구는 51.2%, CRF100% 시용구는 49.0%였다. 또한 질소 흡수량은 전반적으로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았다. 수량은 NPK 시용구가 $4,510kg\;ha^{-1}$이었고, CRF70% 시용구는 $4,800kg\;ha^{-1}$, CRF100% 시용구는 $4,970kg\;ha^{-1}$이였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업환경이 변화와 기상변화에 대비한 작물의 영양관리 대책 도출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체계를 확보 하고자 논토양에서 완효성 비료시용시 질소이용률 평가와 질소수지를 분석하였다. NPK 처리구의 표층수중 $NH_4-N$ 농도는 벼 이앙초기 $2.07mg\;L^{-1}$이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다가 수비시용과 더불어 $NH_4-N$ 농도가 증가하였다. 완효성 시비구의 $NH_4-N$ 농도는 벼 이앙 18일 이후부터는 NPK 시용구보다 높았다. NPK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10일경에 약 $3.97mg\;L^{-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CRF100% 시용구의 $NO_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후 30일까지 $3-5mg\;L^{-1}$ 범위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중 $NH_4-N$ 함량 변화는 NPK 처리구에서 이앙 초 $120mg\;kg^{-1}$ 내외였으며, 이앙 20일 이후에 $45mg\;kg^{-1}$으로 감소하였다가 추비로 인하여 $NH_4-N$ 함량이 다시 $45mg\;kg^{-1}$로 증가하였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벼 생육초기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이앙 25일 이후부터 NPK 시용구에 비하여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NH_4-N$ 함량이 증가하였다. NPK 처리구에서 암모니아 휘산으로 손실된 질소량은 $22.4kg\;ha^{-1}$이었며, 완효성 비료를 시용함으로서 67%까지 암모니아 휘산을 줄일 수 있었다. 질소 이용율은 NPK 시용구가 27.4%이었고, CRF70% 시용구는 51.2%, CRF100% 시용구는 49.0%였다. 또한 질소 흡수량은 전반적으로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았다. 수량은 NPK 시용구가 $4,510kg\;ha^{-1}$이었고, CRF70% 시용구는 $4,800kg\;ha^{-1}$, CRF100% 시용구는 $4,970kg\;ha^{-1}$이였다.
The increasing of greenhouse gases may change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agronomic productivity will depend upon change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and fertilization. Particularly, nitrogen fertilization considerably influences rice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s. T...
The increasing of greenhouse gases may change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agronomic productivity will depend upon change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and fertilization. Particularly, nitrogen fertilization considerably influences rice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ransformation of nitrogen and to determine the primary yield components responsible for yield differences in paddy soil. $NH_4-N$ concentration of NPK plot in surface water of paddy soil was $2.07mg\;L^{-1}$ at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was decreased sharply due to rice absorption and loss to environment. $NO_3-N$ concentration of NPK plot in surface water was $3.97mg\;L^{-1}$ at 10 days after transplanting. $NO_3-N$ concentration range of CRF plot in surface water was $3-5mg\;L^{-1}$ at 30th after transplanting. The accumulation of $NH_3$ volatilization in NPK plot was $22.39kg\;ha^{-1}$, which accounted for 20% of N fertilizer applied but using of CRF fertilizer can reduce $NH_3$ volatilization by 67% in paddy soil. Use efficiency of N fertilizer was not different between CRF70% and CRF100% plot. Rate of N use efficiency were 27.4%, 51.2%, 49.0% in paddy field NPK, CRF70% and CRF100% plots respectively. The yield of CRF70% showed the best effect with 9.3% increase production ratio, compare with NPK plot.
The increasing of greenhouse gases may change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agronomic productivity will depend upon change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and fertilization. Particularly, nitrogen fertilization considerably influences rice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ransformation of nitrogen and to determine the primary yield components responsible for yield differences in paddy soil. $NH_4-N$ concentration of NPK plot in surface water of paddy soil was $2.07mg\;L^{-1}$ at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was decreased sharply due to rice absorption and loss to environment. $NO_3-N$ concentration of NPK plot in surface water was $3.97mg\;L^{-1}$ at 10 days after transplanting. $NO_3-N$ concentration range of CRF plot in surface water was $3-5mg\;L^{-1}$ at 30th after transplanting. The accumulation of $NH_3$ volatilization in NPK plot was $22.39kg\;ha^{-1}$, which accounted for 20% of N fertilizer applied but using of CRF fertilizer can reduce $NH_3$ volatilization by 67% in paddy soil. Use efficiency of N fertilizer was not different between CRF70% and CRF100% plot. Rate of N use efficiency were 27.4%, 51.2%, 49.0% in paddy field NPK, CRF70% and CRF100% plots respectively. The yield of CRF70% showed the best effect with 9.3% increase production ratio, compare with NPK plo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질소행동 연구를 통하여 지속적인 농업생산체 계 기술 및 환경 오염 부하량 저 감 기 술개 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토양에 완효성 비료시용시 질소이용률 평가와 질소수지를 분석하고 지속적인 농업생산체계를 확보 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업환경이 변화와 기상변화에 대비한 작물의 영양관리 대책 도출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체계를 확보 하고자 논토양에서 완효성 비료시용시 질소이용률 평가와 질소수지를 분석하였다.
시 비량은 질소 110 kg ha-1, 인산 45 kg ha"1, 칼리 57 kg ha~'이었다. 질소와 칼리는 기비 70%, 수비 30%로 분시 하였으며, 인산은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시험구는 (1) PK (P2O5 45kg ha: K2O 57 kg ha-1), (2) NPK (N 110 kg ha-1, P2OS 45 kg ha \ K2O 57 kg ha1), (3) CRF70% (완효성 비료 N 77 kg ha-1, 전량기비), (4) CRF100% (완효성 비료 N 110 kg ha1, 전량기비) 로하였다.
질소와 칼리는 기비 70%, 수비 30%로 분시 하였으며, 인산은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시험구는 (1) PK (P2O5 45kg ha: K2O 57 kg ha-1), (2) NPK (N 110 kg ha-1, P2OS 45 kg ha \ K2O 57 kg ha1), (3) CRF70% (완효성 비료 N 77 kg ha-1, 전량기비), (4) CRF100% (완효성 비료 N 110 kg ha1, 전량기비) 로하였다. 완효성비료 성분량은 N-P2O5-K2O = 18-7-8이었으며, 각 시험구는 40 m2, 3반복, 재식거리는 13X 30 cm, 재 식 본수는 3본으로 표준재 배법 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시험구는 (1) PK (P2O5 45kg ha: K2O 57 kg ha-1), (2) NPK (N 110 kg ha-1, P2OS 45 kg ha \ K2O 57 kg ha1), (3) CRF70% (완효성 비료 N 77 kg ha-1, 전량기비), (4) CRF100% (완효성 비료 N 110 kg ha1, 전량기비) 로하였다. 완효성비료 성분량은 N-P2O5-K2O = 18-7-8이었으며, 각 시험구는 40 m2, 3반복, 재식거리는 13X 30 cm, 재 식 본수는 3본으로 표준재 배법 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따라 물 수지를 산정하였다. 벼 재배기간 동안 질소 수지 산정을 위해 유입수와 유출수의 질소분석을 하였으며, 지하 침투량의 질소량을 조사하기 위해 porous cup을 3반복, 토심 60 cm에 설치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분석하였다.
논물의 시료채취는 이앙후 2일, 3일, 5일, 7일, 10일에 채취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5일 간격으로 채취 비색법으로 무기태 질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토양 시료는 10일 간격으로 채취하여 토양중 무기태 질소를 분석하였다.
무기태 질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토양 시료는 10일 간격으로 채취하여 토양중 무기태 질소를 분석하였다. 암모니아 휘산량 측정을 위해 Fig.
또한 토양 시료는 10일 간격으로 채취하여 토양중 무기태 질소를 분석하였다. 암모니아 휘산량 측정을 위해 Fig. 1 과 같이 closed chamber system (DxH = 900 cm2 X13 cm, pump air flow rate: 15 L sec')을 이용 벼 이앙 초기는 3일 간격, 후기는 10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고 2% boric acid에 암모니아를 포집하여 0.02 N HzSCU로 정량하였다. 토양 및 식물체 분석방법은 농업기술연구소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NAIST, 1987).
암모니아 휘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온도에 의한 암모니아 휘산량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온과 수온을 조사하였다. 논의 수온은 벼 이앙 후 35일 경부터 상승하다가 수확기 이후 감소하였는데, 암모니아 휘산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버 생육 초기를 제외하고는 암모니아 휘산과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간별로 살펴보면 11시부터 16시까지 암모니아 휘산량이 많았는데 이는 기온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하루 중에 휘산되는 암모니아량의 근사식을 산출하여 암모니아 적산량을 산정하였다.
물 수지를 산정하기 위해 아크릴 소재의 장치 (원통 DXH = 32X5O cm)를 제작하여 토양에 매설 한 후 매일 오전 10시에 투수량, 증발산량을 조사하였으며, 물수지 방정식 Wt = It+Pt+-(Rt+Et+Ft) (I-관개 량, P-강수량, R-유거량, E-증발산량, F-투수량, t- day에 따라 물 수지를 산정하였다. 벼 재배기간 동안 질소 수지 산정을 위해 유입수와 유출수의 질소분석을 하였으며, 지하 침투량의 질소량을 조사하기 위해 porous cup을 3반복, 토심 60 cm에 설치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2 g kg1, 인산 함량은 107 mg kgT이었다. 시험 품종으로는 자포니카 형 조생종인 운봉벼를 사용하였으며 6월 13월 에이 앙하여 9월 26일 수확하였다. 시 비량은 질소 110 kg ha-1, 인산 45 kg ha"1, 칼리 57 kg ha~'이었다.
이론/모형
02 N HzSCU로 정량하였다. 토양 및 식물체 분석방법은 농업기술연구소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NAIST, 1987).
성능/효과
질소 이용율은 NPK 시용구가 27.4%이었고, CRF70% 시용구는 51.2%, CRF100% 시용구는 49.0% 였다. 또한 질소 흡수량은 전반적으로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았다.
0% 였다. 또한 질소 흡수량은 전반적으로 질소수준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많았다. 수량은 NPK 시용구가 4, 510 kg ha이었고, CRF70% 시용구는 4.
시험포장의 토양은 미사 74.8%, 점토 16%를 함유 한미사질양토 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28.2 g kg1, 인산 함량은 107 mg kgT이었다. 시험 품종으로는 자포니카 형 조생종인 운봉벼를 사용하였으며 6월 13월 에이 앙하여 9월 26일 수확하였다.
07 mg L/'이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다가 수비시용과 더불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가 증가하였다. 완효성비료 100% 처리구는 이앙초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가 1.99 mg 1이었으며, 완효성비료 70% 처리 구는 이앙초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가 1.54 mg L'1 이었다. 완효성 시비구의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벼 이앙 18일 이후부터는 NPK 시용구보다 높았다.
97 mg 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CRF100% 시용구의 NO3-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후 30일까지 3-5 mg L-1 범위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앙 18일 이후에 질산태 질소 농도가 낮았던 이유는 이시기에 집중 강우로 인한 NO3-N의 유실로 해석된다.
별로 나타낸 것이다. NPK 처리구에서 NO3- 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10일에 12.36 mg k/으로 최고치를 보였으며,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완효성비 료 시 용구에서는 벼 이 앙 20일 이 후부터 NPK 처리구보다 NO3-N 함량이 높았으며, 벼 이앙 40일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36 mg k/으로 최고치를 보였으며,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완효성비 료 시 용구에서는 벼 이 앙 20일 이 후부터 NPK 처리구보다 NO3-N 함량이 높았으며, 벼 이앙 40일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질소 무시용구는 벼 이앙 초기에는 NO3-N 함량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벼 이앙 40일에 10 mg kg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생육시기별 암모니아 휘산량을 조사한 그림이다. 암모니아 휘산량은 CRF70% 시용구에 비하여 NPK 시용구에서 높았으며, NPK 시용구의 시기별 암모니아 휘산량은 이앙후 5일에 29.4 g ha-1 hr"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면서 추비 시용시기인 이앙 후 45일경에 다시 높아졌다. CRF70% 시용구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이앙후 5일에 19.
기온과 수온을 조사하였다. 논의 수온은 벼 이앙 후 35일 경부터 상승하다가 수확기 이후 감소하였는데, 암모니아 휘산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버 생육 초기를 제외하고는 암모니아 휘산과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argrove et al.
흡수량이 많았다. 질소 이용율은 NPK 처리구가 27.4%인 반면 CRF70% 시용구는 51.2%로 완효성 비료를 시용함으로서 질소 이용율을 약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비량이 많으면 상대적으로 비료의 유실량이 많아 시비질소 이용율이 낮고, 요소는 속효성이기 때문에 초기 질소 손실이 많아 시비질소의 이용율이 낮다.
97 mg L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CRF100% 시용구의 NOr N 함량 변화는 벼 이앙 후 30일까지 3-5 mg L1 범위를 보이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NPK 처리구에서 암모니아 휘산으로 손실된 질소량은 22.4 kg ha'이었며 완효성 비료를 시용함으로서 67%까지 암모니아 휘산을 줄일 수 있었다.
참고문헌 (12)
AI-Kanani, T., A. F. Mackenzie, and H. Blenkhom. 1990. The influence of formula modifications on ammonia losses from surface-applied urea-ammonium nitrate solutions. Fert. Res. 22:49-59
Fenn, L. B., and L. R. Hossner. 1985. Ammonia volatilization from ammoniumformingnitrogenfertilizers. Adv. Soil Sci. 1:123-169
Hargrove, W. L., D. E. Kissel, and L. B. Fenn. 1977. Field measurements of ammoniavolatilization from surfaceapplications of ammoniumsalts to a calcareous soil. Agron.J. 69:473-476
Harper, L. A., V. R. Catchpoole, R. Davis, and K. L. Weier. 1983. Ammonia volatilization : Soil, plant and microclimate effects on diurnaland seasonal fluctuations. Agron.J. 75:212-218
Jung, Y. S., S. K. Ha, B. O. Cho, and H. J. Lee. 1996.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loss from direct seededrice field at early stage. J. Korean Soc. Soil Sci. Fert. 29: 8-14
Kim, S. C. 1989.Study on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in various soils. RDA Research Report 31:34-37
Lee, K. B., S. K. Kim, J. G. Kang,D. B. Lee, and J. G. Kim. 1997. Effect of rice straw treatment and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nitrogen uptake by direct seeding on dry paddy rice. J. Korean Soc. Soil Sci. Fert. 30:309-313
Matsushima, S. 1957. Analysis of developmental factors determining yield and yield prediction in lowlandrice. Bull. Nat'1. lnst. Agri. Sci. A5:1-271
NIAST. 1987.Chemicalanalysisof soil and plant. National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Wadda, G., R. C. Aragones, and H. Ando. 1991.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on the nitrogenuptake and yield of the rice plant in the tropics. Jpn. J.Crop Sci. 60:101-106
Yamamoto, Y., T. Yoshida, T. Enomoto, and G. Yoshikawa. 1991. Characteristics for efficiency of spikelet production and the ripening in high yielding japonica-indica hybrid and semidwarf indicarice varieties. Jpn. J. Crop Sci. 60:365-372
Yoo, C. H., B. W. Shin, S. B. Lee, J. H. Jeong, S. S. Han, and S. J. Kim. 1997.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nitrogen use efficiency and yield on drill seeded rice. J. Korean Soc. Soil Sci. Fert. 30:114-12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