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강하한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
Ped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8 no.6, 2005년, pp.301 - 306  

장용선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김유학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손연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이계준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김명숙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김선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원항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좌재호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엄기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김상효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곽한강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김한명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사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우리나라 풍적모재 토양의 기원을 해석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채취한 국내 황사를 중국 북부건조지대 및 황토지대 토양의 광물조성과 물리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중국 북부 건조지대 및 황토지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8.3-9.0, 유기물 $11-23g\;kg^{-1}$, CEC $7.1-18.4cmol_c\;kg^{-1}$으로 채취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광물조성은 석영과 장석류를 주광물로하고 석회석, 백운석, 점토광물을 소량으로 수반하고 있었다. 국내에 강하한 황사의 입자 크기는 $50{\mu}m$ 이하 이었으며, 황사의 주요한 점토광물은 illite로 우리나라 일반농경지 토양에 비하여 illite 함량이 많고 kaolin은 적었다. 황사의 염기포화도가 약 260%로 과포화를 보이는 것은 황사 중 탄산염광물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황사의 미세형태는 국내 밭토양 (본량사양토, 수원)에 비하여 원마도분급도가 양호한 구형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강하 황사 중의 광물조성과 성분함량은 채취시기 및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 강하 황사의 입경분포, 치환성 양이온 등 이화학적 특성은 중국 북부 건조지대 토양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광물조성과 화학적 조성은 중국 황토지대 토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n dust was collected in Korea and soils in the arid area of northern China were analysed for i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mpositions for in order to interpret the origin of Aeolian soils and estimate the effect of dust wind on the soil environment in Korea. Asian dust was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Chang K. Y., and S. U. Park. 1998. A numerical study on the size and depositions of Yellow sand events. Korean Soc. Atm. Environ. 14:191-208 

  2. Duce,R. A.,C. K. Unni, B. J., Ray, J. M. Prospero, andJ. T. Merrill. 1980. Long-range atmospheric transport of soil dust from Asia to the North Pacific; Temporal variability. Science 209:1522-1524 

  3. Griffim, J. J., and E. D. Goldberg. 1962. Clay-mineral distributions in the Pacific ocean. p. 655-727. ln M. N. Hill et al. (ed.) The Sea, Interscience, New York, NY, USA 

  4. Ing, G. T. K. 1972. A dust storm over the central China, April 1969. Weather 37:136-145 

  5. Iwasaka, Y. 1987. Chemical-physical processes of 'KOSA' particle surface during long-range transport. Tenki 34: 179-182 

  6. Kalm, V. E., N. W. Rutter, and C. D. Rokosh. 1996. Clay minerals and their paleo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the Baoji loess section, Southern Loess Plateau, China. Catena 27:49-61 

  7. Liu, T. 1988. Loess in China. 2nd Ed. Spinger-Verlag, Berlin, Germany 

  8. MOE. 2002. The effect and countermeasure of Asian dust.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Republic of Korea 

  9. Mizota, C, 1982. Mineralogy of the tropospheric dusts in rainwater collected in Fukuoka, northern Kyishu. Soil Sci. Plant Nutr. 28:225-234 

  10. Peter, B. 1986. Quantitative analysis of sedimentary minerals by powder X-ray diffraction. Powder Diffraction 1:37-39 

  11. Porter, S. C., Z. S. An, and H. B. Zheng. 1992. Cyclic quaternary alluviation and terracing in a non glaciated drainage basin on the north flank of the Qinling Shan, central China. Quaternary Res. 38:157-169 

  12. Rex, R. W., J. K. Syers, M. L. Jackson, and R. N. Clayton. 1969. Eolian origin of quartz in soils of the Hawaiian islands and in Pacific pelagic sediments. Science 163:277-279 

  13. Sakaguchi, Y. A. 1977. A review on dust problems. J. Geogr, Review 50:354-361 

  14. Shaw, G. E. 1980. Transport of Asian desert aerosol to the Hawaiian island. J. Appl. Meteor. 19:1254-1259 

  15. Shin, J. S. 1978. Composition and genesis of volcanic ash soils derived from basaltic materials in Jeju. J. Korean Soc. Soil Sci. Fert. 9:95-100 

  16. Wang, T., H. L. Zhao, and H. L. Xiao. 1999. Advance in sandy desertification study in China, J. Desert Res. 19:299-311 

  17. Yang, D., X. Xu, and Y. Wen. 1991. A case study on sandstorm. Acta Meteorologica Sinica 5: 150-159 

  18. Zhao, S. 1986. Physical geography of China.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19. Zhu, X., Y. Li, X. Peng, and S. Zhang. 1983. Soils of the loess region in China. Geodema 29:237-255 

  20. Zhu, Z. D., and T. Wang. 1990. Analysis of desertification evolution trend over past 10 year through the investigation in several representative regions in China. Acta Geographic Sinica 45:430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