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thological Image expressed Modern Fash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5 no.1 = no.91, 2005년, pp.151 - 164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양희영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modern popular culture, a significant code is not the truth itself but the seeming truth. To fulfill this function, it is a mythology that has a transcendental power to eliminate any doubt and mystery. That is to say, cultural uniqueness is understood as an identical thing through mass comm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2의 고찰을 바탕으로 현대패션에서 상호 상충되어 나타나는 신화적 이미지의 특성을 연구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화적 이미지와 역사.이데 올로기와의 관련성 등을 고찰하여 신화적 이미지가 가지는 예술적, 문화적 특이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의 특성을 신화적 이미지가 약화되면서 동시에 강화되어지는 양면성, 약화되어진 신화적 이미지가 주류 문화와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리좀적 증식 의 특성을 나타내는 절충성. 의미론적인 규칙을 파기하고 대상만을 선택하거나 가상공간인 사이버 영역에서의 간접경험과 가상실체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비진정성, 개인의 주체성의 표현과 왜곡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성성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 이데올로기적 계승기제를 파악하고 이것의 경제적, 상업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eta-fashion의한 축으로 신화적 이미지를 상정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의 패션을 이해하고자 하는 작업 이다.
  • 이데올로기적 계승기제를 파악하고 이것의 경제적, 상업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eta-fashion의한 축으로 신화적 이미지를 상정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의 패션을 이해하고자 하는 작업 이다.
  • 또한 신화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대 대중문화와 패션에 나타난 역사적.이데올로기적 계승기제를 파악하고 이것의 경제적, 상업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eta-fashion의한 축으로 신화적 이미지를 상정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의 패션을 이해하고자 하는 작업 이다.
  • 클림트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위기의식과 성적 욕망사이의 불협화음을 현실에서 분리.신화와 관련시켜 신화적 알레고리와 성적 상징을 혼합시킴으로써 팜므파탈이라는 소재 자체를 해체시켰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해 애초의 문제점을 지각하지 못하도록 의도하였다.13) 클림트의 유디트는 기존의 신화적 이미지를 약화시킴으로서 성적 매력이 강화된 유디트로, 즉 그녀의 영웅적인 업적보다는 그녀의 매혹적인 성적 능력으로의 새로운 신화적 이미지를 창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화적 이미지와 역사.이데 올로기와의 관련성 등을 고찰하여 신화적 이미지가 가지는 예술적, 문화적 특이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기본 해석의 틀로 롤랑 바르뜨(Roland Barthes)의 기호학적 탐구와 다니엘 부어스틴 (Daniel J.
  • 또한 신화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대 대중문화와 패션에 나타난 역사적.이데올로기적 계승기제를 파악하고 이것의 경제적, 상업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eta-fashion의한 축으로 신화적 이미지를 상정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의 패션을 이해하고자 하는 작업 이다.

가설 설정

  • 즉 현대의 영웅 인 스타는 실재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덧없이 공허하게 반복되는 '이미지'의 산물인 것이다.15) 스타는 그들의 상업적 효용성을 상실하게 되면 그들이 처음 창조되었던 방식대로 미디어에 의해 이미지가 파괴되어지고 결국 그들의 존재 또한 파괴되어진다. 즉 미디어는 과장된 영웅 이미지를 생산하고 이를 소비시켜 쇄진시켜 버리고 또 다른 영웅 이미지를 생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 마르크스는 그의 저서 자본론에서 상품은 스스로를 사용가치로 실현시키기 이전에 그 자신을 가치로 실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17) 사용가치의 존재방식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미적인 방식에 포함된다. 즉 이것은 판매자에 의한 인격적인 현현 방식이고 사용가치의 사물적인 표상방식을 포함하며 수용자의 위치에서는 미적인 수용으로 작용한다.
  • 이는 공유되는 사회가치체계와 의미체계 안에서 상호 주관적인 이해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패션연구에 있어서의 상호 주관주의(inter-subjectivity)의 타당성과 도입에 의해 이루어졌다.29) 신화적 이미지의 환상을 지속적인 미적 혁신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는 패션은 성적 소수자들의 패션 요소를 하 이 패션에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고정되고 배타적인 지배적 이미지를 탈피하여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그림6>은 여성복식을 착용한 남성성의 모습을 통해 조작된 동성애자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그림 7>은 남성도 여성도 아닌 중성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패션에 있어서의 성적 구분의 무가치함을 상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영옥 (2000). 벤야민의 역사철학과 미학이론. 뷔히너와 현대문학, 15권, p. 337 

  2. Peter Pericles Tifonas (2003). Barthes and the Empires of Signs. 최정우 역, 서울: 이제이북스, p. 5 

  3. Daniel J. Boorstin (2004). Image, 정태철 역. 서울: 사계절, p. 254 

  4. Peter Pericles Tifonas (2003). Barthes and the Empires of Signs. 최정우 역, 서울: 이제이북스, p. 17-18 

  5. Peter Pericles Tifonas (2003). Barthes and the Empires of Signs. 최정우 역, 서울: 이제이북스, p. 21 

  6. David, M. (2002). Ideology, 구승희 역, 도설출판 리브로. p. 12 

  7. 나정원 (1996), 문화와 이데올로기. 사회과학연구, 제35권. p. 160 

  8. Dick Hebdige (1998). Subculture-meaning of style. 현실문화연구. p. 117 

  9. 이명옥 (2003). 팜므파탈, 서울: 다빈치, pp. 34-54 

  10. 신성림 (2003). 클림트-황금빛 유혹-, 서울: 다빈치. pp. 35-39 

  11. Jennifer Craik (1993). The Face of Fashion - 권위 있는 것의 모방(prestigious imitation)-. New York: Routledge. p. 137 

  12. Daniel J. Boorstin (2004). Image, 정태철 역. 서울: 사계절, p. 101 

  13. Daniel J. Boorstin (2004). Image, 정태철 역. 서울: 사계절, p. 16 

  14. 미술비평연구회 대중 시각매체 연구 분과 (1993),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눈빛, p. 43 

  15. 미술비평연구회 대중 시각매체 연구 분과 (1993),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눈빛, p. 45 

  16. 미술비평연구회 대중 시각매체 연구 분과 (1993),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눈빛, p. 70 

  17. 이진경 (2002). 노마디즘 :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휴머니스트. 1. pp. 35-42 

  18. 진중권 (2003). 앙겔루스 노부스, 아웃사이더, pp. 42-48 

  19. Christopher Breward (2003). Fashion. Oxford Univ. Press, pp. 129-130 

  20. Fred Davis.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Univ. Press, p. 157 

  21. The daily focus. 2004년 11월 2일. p. 18 

  22. Mary Edward Walker. Fashion Theory-A Matter of Wardrobe-. 2(3). Burg Publish. p. 245 

  23. Joanne Entwistle & Elizabeth Wilson (2001). Body dressing. Oxpord Press,p. 92 

  24. Christopher Breward (2003). Fashion. Oxford Univ. Press, p. 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