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주거안채의 정면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 전남지방 중.상류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ront Elevation Proportion System in Traditional Housing 'An-Chae' - Focused on the Middle-High Classes' Housing in Jeonnam District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4 no.4 = no.44, 2005년, pp.73 - 86  

박지민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factors what determined to formation of front elevation proportion system through making an actual survey and investigat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m,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On the assumption that average di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균비교분석 : 조사대상가옥의 건축적 특성 (건립지역, 건립연대, 좌향, 가구형식, 평면형식, 퇴의 위치, 건물의 규모, 구조형식 등)을 변수로 하여 전통주거건축 정면에서 형성되는 수평, 수직길이의 비례체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가로축에는 각 기둥사이의 간격을 계량화한 값을 산출하여 적용하였고, 세로축은 기단높이, 마루높이, 평주높이, 고주높이, 처마높이의 평균값을 각각 적용하였다.
  • 구조형식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이유는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형식이 기둥간격의 설정은 물론 건물 전체적인 규모뿐만 아니라 처마높이, 기둥 높이와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이다.
  • 즉, 기단, 마루, 기둥, 창방, 처마 등을 경계로 하여 건축물의 정면이 어떤 비례체계를 갖고 있고, 구성요소 상호간에 어떤 관련성을 갖고있는지를 분석하여 정면비례체계 형성의 원인요소를 찾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통주거의 평면과 가구구조 등 직접적으로 정면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더라도 정면구성요소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해 정면을 형성하는 기본비례체계와 관련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부담감을 가지고 다시 한 번 기초적인 비례체계에 대한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주거건축의 비례체계를 비롯한 구성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전남지역의 중.
  • 하지만, 현재의 상황에서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백여 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 그러한 내용을 직접 인터뷰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주거건축 형성에 대한 기록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미 완성된 주거건축의 현재 모습을 통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살피고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통 주거건축의 정면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실측, 조사하여 정면구성의 비례체계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들이 무엇이며, 그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非-자형'주거에서 나타나는 측면 칸수의 증가에 따른 분석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자형'주거 29가옥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런 경우 17가옥이 측면 1칸, 12가옥이 측면 2칸 규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이번에는 전남지역의 중.상류 주거 중에서 살림살이의 공간으로 더욱 비중이 있는 안채로 대상을 한정하여 앞으로 진행될 타지역 주거와의 비교, 궁궐건축, 사찰건축 등과의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 즉, 기단, 마루, 기둥, 창방, 처마 등을 경계로 하여 건축물의 정면이 어떤 비례체계를 갖고 있고, 구성요소 상호간에 어떤 관련성을 갖고있는지를 분석하여 정면비례체계 형성의 원인요소를 찾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통주거의 평면과 가구구조 등 직접적으로 정면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더라도 정면구성요소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해 정면을 형성하는 기본비례체계와 관련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