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기산과 휘발성분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runus mume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2 no.3, 2005년, pp.195 - 198  

하명희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박우포 (마산대학 식품과학부) ,  이승철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조성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매실추출물에는 유기산$0.47\;mg\%$ citric, $0.43\;mg\%$ malic와 $0.25\;mg\%$ oxalic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매실추출물의 휘발성화합물을 GC/MSD로 분리, 동정한 결과, 매실추출물은 항균성물질로 알려진 acetic acid($8.3\%$), ${\rho}$-cumaric acid($13.1\%$)등의 유기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항균성분으로 알려진 5-hydroxymethyl fufural($32.3\%$), furfural($2.0\%$), 3-methyl-2,3-furandione($2.3\%$) 등도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organic acids, Prunus mume extract(PME) was mostly consisted of $0.47\;mg\%$ citric, $0.43\;mg\%$ malic and $0.25\;mg\%$ oxalic acid Volatile compounds in PME were identified by GC/MSD, showing that acetic acid($8.3\%$) and p-coumaric acid($13.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매실의 수요확대와 국내 생산량 증대에 따른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매실의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구명하고, 매실가공산업 기술의 현대화를 추진 하는 기초연구로 매실추출물의 제품특성을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연구에서는 서부경남지역의 특산물인 매실로부터 추출물을 조제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성분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 H S and Chung, M S (2002)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thickness of packaging film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21-628 

  2. Cha, H S., Hwang, J.B., Park, J.S., Park, Y.K. and Jo, J.S. (1999)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3. Kang, MY., Jeong, Y.H. and Eun, J.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4. Kwon, Y.J., Kim, Y.H., Kwang, J.J., Kim, K.S. and Yang, KK (1990) Volatile components of apricot(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and Japanese apricot(Prunus mume Sieb. et Zucc). J. Korean Agric. Chem. Soc., 33, 319-324 

  5. Shim, K.H., Sung, N K., Choi, J.S. and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 101-108 

  6. Son, Y.A,. Shin, S.R. and Kim, K.S. (2002) Changes of flavor components and organic acids during maturation of Korean apricot.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 40-44 

  7. Bae, J.H., Kim, K.J., Kim, S.M., Lee, W.J. and Lee, S.J. (2000)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8. Kim, Y.D., Kang, S.H. and Kang, S.K. (1996)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5-700 

  9. Lee, E.H., Nam, E.S. and Park, S.I. (2002)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maesil(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19-424 

  10. Lee, E.H., Nam, E.S. and Park, S.I. (2002) The effect of masil(Prunus mume) extract on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yoghurt starter. Korean J. Food & Nutr., 15, 42-49 

  11. Lee, K I., Moon, R.J., Lee, S.J. and Park, K.Y. (2001)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472-477 

  12. Lee, Y.W. and Shin, D.H. (2001)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runus mume. Korean J. Food & Nutr., 14, 305-310 

  13. Son, S S., Ji, W.D. an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using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39-543 

  14. Jung, G.T., Ju, I.O., Choi, J.S. and Hong, J.S. (2000) Preparation and shelf 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tnensis Ruprecht(Omija) and Prunus mume(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87-1092 

  15. Park, Y.S. (1998) Effects of Prunus mume extract on the sensory quality and shelf lif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503-508 

  16. Han, J.T., Lee,S.Y., Kim, K N. and Baek, N.I.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emu. J.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17. Shim, J.H., Park, M.W., Kim, M.R., Lim, K.T. and Park, ST. (2002) Screening of antioxidants in fructus mune(Prunus mum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9-123 

  18. Lee, H.A., Nam, E.S. and Park, S.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d maesil(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 Korean J. Food & Nutr., 16, 29-34 

  19. Cha, H.S., Hong, S.I. and Chung, M.S. (2002) Effect of gas absorbents on quality attributes and 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ature-green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36-1042 

  20. Hong, S.I., Cha, H.S., Park, J.D. and Jo, J.S. (1998) Respiratory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harvesting period. Food Engineering Progress, 2, 178-182 

  21. Abe, H. and Mizutani, R. (1970)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in Japanese Plum Liqueur. J. Domestic Acad., 21, 292-296 

  22. Nicherson G B. and Likens, S. T. (1966) Gas chomatographic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 21, 1-5 

  23. 垣內典夫. (1985) ウメ 果汁の 果實の 有機酸と アミノ酸熟度 ひ 品種別 變化. 日本食品工業學會誌 32, 669-676 

  24. 송보현, 최장전, 이광열, 이재근, 김용두, 최갑성. (1993) 매실의 풍미 향상에 관한 연구 농촌진흥청 제 1차년도 보고서 

  25. Okazaki, K. and Oschima, S (1953) Antibacterial effect of essential oils. J. Pharm. Bull., 73, 334-340 

  26. Leuck, E. (1980) Antimicrobial food additives. Springer-Verlag Co., New York, p.44-50 

  27. Davidson, P. M., and Branenm A. L.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non-halogenated phenolic compounds. J. Food Prot., 44, 623-625 

  28. Hitokoto, H. (1980) Inhibitory effects of spices on growth and toxin production of toxigenic fungi. Appl. Env. Microbial., 39, 818-8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