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제방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 해석
Flood Inundation Analysis from Levee Failure in Nakdong River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8 no.4 = no.153, 2005년, pp.259 - 269  

전민우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  최규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방의 월류 및 붕괴에 따른 홍수파가 제내지로 전파되는 경우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하천에 대한 홍수류 해석은 Preissmann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제내지에서의 범람해석을 위해 2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이들 두 모형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하도-제내지 연결부 수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에서는 잠수효과의 해석을 위한 관련방정식을 도입하여 제내지에서의 수위 상승에 따른 하천으로부터의 월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2002년 9월 낙동강 유역 실제 제방붕괴의 경우에 적용하여 제내지에서의 2차원 범람양상을 유속분포와 범람수심에 대해서 주요 시간대별로 계산하여 도시하였으며 모의결과는 당시의 실측자료 및 홍수범람범위와 잘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and two-dimensional coupling model has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flood inundation aspect of protected lowland. One-dimensional model solves the Saint-Venant equations by the Preissmann method, and two-dimensional model solves the shallow water equation by the integrated finite differenc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년 9월 12일 00시~18일 23시 기간동안 낙동강 유역의 홍수로 인한 제방 붕괴상황에 따른 범람양상을 규명하게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하도-제내지 연결 부 모형에 의한 홍수파 해석 및 제내지의 범람 해석을 실시하였다. 적용구간은 그림 4,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풍~적포교의 33.
  • 홍수범람해석에 있어 지형조건이 복잡한 제내지에서 의 홍수파 해석시에는 홍수터에서의 각종 지형지물의 조건을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계산과정에서의 수렴성 보장의 어려움과 함께 큰 오차가 발생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홍수파의 선단부에 단파가 발생되지 않는 제내지의 경우에 대한 홍수전파 양상을 실용성에 관점을 두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범람홍수 모형은 이상홍수 조건하에서 하천제방의 월류 및 붕괴에 따른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최고 수위와 첨두유량 등을 비교적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계산함으 로서 홍수 예경보와 홍수 범람도 작성 등의 각종 치수 및 방재계획 수립에 실제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범람에 따른 범람 홍수파 전달특성해석, 침수범위 및 침수위의 추정, 예상 피 해규모 등을 예측할 수 있는 하도-제내지 연결부 수치 해석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실제유역에 적용함으로서 정확한 범람 홍수파의 해석은 물론 제내지의 침수분포 양상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범람유형에 대한 능률적이고 정확한 범람 홍수파의 해석이 수행될 수 있겠으며, 하천제방 계획시 홍수피해와 투자액을 감안한 경제적인 하천 제방단면 결정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가 중요 시설물의 입지 선정시 홍수피해에 대한 판단자료로 이 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하도-제내지 연결부 모형에 의한 제방붕괴에 따른 제내지의 침수모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검토 하였다. 시간별 범람수심 의 양상을 모의하기 위해 봉산제 붕괴지점인 절점번호 197과 우곡면 객기리 인근지점인 절점번호 167, 포리 인근지점인 절점번호 129, 그리고 봉산리 인근지역인 절점번호 31을 선택하였다.
  • 제방월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제방 임의지점의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량을 구하기 위해 제내 . 외지에 대한 잠수효과를 고려하고 제방 붕괴 유량산정식을 도출할 수 있는 범람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종해, 한건연, 서규우 (2003).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설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6권, 제4호, pp. 661-671 

  2. 영남일보, 한국일보 (2000). 신문기사내용 

  3. 이홍래, 한건연, 김상호, 최현상 (1998a). '하천홍수범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I.GIS와의 연계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4호, pp. 415-427 

  4. 이홍래, 한건연, 김상호 (1998b). '하천홍수범람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II. 불확실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4호, pp. 429-437 

  5. 최규현, 한건연 (2005a).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 I. 이론 및 모형의 검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2B호, pp. 135-142 

  6. 최규현, 한건연 (2005b).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 II. 적용 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2B호, pp. 143-149 

  7. 한건연, 이종석, 김상호 (1997a).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기법의 개발: I. 모형 및 이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6호, pp. 679-690 

  8. 한건연, 이종석, 김상호 (1997b).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기법의 개발: II. 적용 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6호, pp. 681-698 

  9. 有賀世治. (1997). '有提河川의 波提에 의한 氾濫區域推定에 關한 實證的 硏究.' (第1報)(第2報), 東海大學紀要, NO.1, NO.2 

  10. 西原 巧. (1981, 1982). '氾濫解析과 그의 現地流域에의 適用'(I),(II),(III), 水利科學. 

  11. Chen, C.L. (1980). 'Laboratory Verification of a Dam-Break Flood Model.' J. of Hyd. Div., ASCE, Vol. 106, No. HY 4 : pp. 535-556 

  12. Chen, C. L., and Armbruster, J.T. (1980). 'Dam-Break Wave Model : Formulation and Verification.' J. of Hyd. Div., ASCE, Vol. 106, No. HY 5, pp. 747-767 

  13. Dressler, R.F. (1952). 'Hydraulic Resistance Effects upon the Dam-Break Functions.' J. of Research, National Bureau of Standard, Vol. 49, No. 3, pp. 217-225 

  14. Evans, E.P., and Lany, P.H. (1983). 'Mathemetical Model of Overbank Spilling and Urban Flooding.' Int. Conf. on Hydraulic Aspects of Floods & Flood Control, London, England 

  15. Fread, D.L. (1985) 'Channel Routing.' in Anderson, M.G.,and Burt, T.P.(eds), Hydrological Forecast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437-503 

  16. Han, K.Y., Lee, J.T., and Park, J.H. (1998). 'Flood Inundation Analysis Resulting from Levee Break.'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6, No. 5, pp. 747-760 

  17. Han, K.Y., Lee, J.T., and Choi, K.H. (2003). 'Levee Breach and Flod Inundation in Urban Areas.' Proc. of 30th IAHR Congress, Greece 

  18. Han, K.Y. Kim, K.S., and Choi, K.H. (2004). 'Inundation Analysis for Basinwide Flood Management.' Proc. of 3rd Seminar on the Technology of Disaster Management on Urban Flood, Seoul. Korea 

  19. Hromadka II, T.V., and DeVries, J.J. (1985). 'A Two-Dimensional Dam-Break Model of the Orange County Reservoir.' Int. Symposium on Urban Hydrology, Hydraulic Infrastructures and Water Quality Control, Univ. of Kentucky 

  20. Iwasa, Y., and Inoue, I.K. (1982). 'Mathematical Simulations of Channel and Overland Flows in View of Flood Disaster Engineering.' J. of National Disaster Science, Vol. 4, No. 1, Kyoto Univ., pp. 1-30 

  21. Katopodes, N., and Strelkoff, T. (1978). 'Computing Two-Dimensional Dam-Break Flood Waves.' J. of Hyd. Div., ASCE, Vol. 104, No. HY 9, ASCE, pp. 1269-1288 

  22. Land, L.F. (1980). 'Evaluation of Selected Dam-Break Flood Wave Models by Using Field Data.' USGS, WRI 80-44, pp. 1-54 

  23. Ponce, V.M., and Tsivoglou, A. J. (1981). 'Modeling Gradual Dam Breaches.' J. of Hyd. Div., ASCE, Vol. 107. No. HY 7, pp. 829-838 

  24. Rajar, R. (1978). 'Mathematical Simulation of Dam-Break Flow.' J. of Hyd. Div., ASCE, Vol. 107, No. HY 7, pp. 1011-1026 

  25. Sakkas, J. G., and Strelkoff, T. (1973). 'Dam Break Flood in a Prismatic Dry Bed.' J. of Hyd. Div., ASCE, Vol. 99, No. HY 12, pp. 2195-2216 

  26. Schoklitsch, A. (1917). 'Uber Dambruchwellen.' Sitznnings-Breicht der Akademic der Wissenschaften, Vienna, Vol. 126, pp. 1489-1514 

  27. Stoker, J.J. (1957). Water Waves., Inter-Science Publishers, pp. 333-341 

  28. Strelkoff, T., Schamber, D. R., and Katopodes, M.D.(1977). 'Comparative Analysis of Roution Techniques for the Floodwave from a Routing Dam.' Proc. of the Dam-Break Flood Routing Workshop, Water Resources Council, pp. 229-291 

  29. Whitham, G.B. (1955). 'The Effect of Hydraulic Resistance on the Dam-Break Problem.' Proc. of Royal Society of London, No. 1170, pp. 399-407 

  30. Xanthopoulos, T., and Koutitas, C. (1976). 'Numerical Simulation of a Two-Dimensional Flood Wave Propagation Due to Dam Failure.' J. of Hydraulic Research, IAHR, pp, 321-3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