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 경험이 미취학 아동의 신체발달, 손목 골밀도 및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east Feeding on Growth Development, Bone Mineral Density of Carpus,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0 no.1, 2005년, pp.3 - 11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승연 (미시건주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 term effects of breast feeding on growth, bone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Subjects were 62 preschool childre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carpus were measured using DEXA. The questionnai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즙에서 벗어나 새로운 식사형태를 취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취학 전 아동에 있어 모유수유가 성장발달과 영양^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봄으로써 모유수유의 장기적인 영향을 검토해봄과 동시에 미취학 아동의 영양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수유방식에 따라 신체계측, 손목 골밀도 측정 및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유수유의 장기적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미취학 아동의 영양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유즙에서 벗어나 새로운 식사형태를 취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취학 전 아동에 있어 초유나 모유 경험이 신체와 골격의 발달과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어린이집 조사 다음날 어머니에 의한 가정에서의 섭취량 조사를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 연구원은 어머니에게 실물크기의 식품과 각종 그릇의 사진을 제시해가면서 어린이가 섭취한 음식의 양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된 식사섭취조사 결과는 CAN-Pro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 

  2. Butte NF, Smith EO, Garza C (1990): Energy utilization of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Am J Clin Nutr 51: 350-358 

  3. Chang HS (1994): The effect of several factors in infant nutrition on disease affection. J Kor Soc Food Nutr 23(5): 757-766 

  4. Chung HK (1991): Evaluation of nutrition status on the basis of orphan home children's anthropometry. Kor J Dietary Culture 6: 413-419 

  5. Cunningham AS (1977): Morbidity in breast-fed and artificially fed infants. Pediatrics 90 (5): 726-729 

  6. Dewey KG, Heing MJ, Nommsen LA, Peerson JM, Lanerdal B (1992): Growth of breast-fed and formular-fed infants from 0 to 18 months: The Darling study. Pediatrics 89: 1035-1041 

  7. Grummer-Strawn LM, Mei Z (2004): Does breastfeeding protect against pediatric overweight? Analysis longitudinal data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diatric Nutrition Surveillance System. Pediatrics 113 (2): 81-86 

  8. Hurtado EK, Claussen AH, Scott KG (1999): Early childhood anemia and mild or moderate mental retardation. Am J Clin Nutr 69: 115-119 

  9. Jones IE, Williams SM, Goulding A (2004): Associations of birth weight and length, childhood size, smoking with bone fractures during growth: evidence from a birth cohort study. Am J Epidemiol 159 (4): 343-350 

  10.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2000): Baseline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for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Kor J Nutr 33: 890-900 

  11. Korean Society of Pediatrics (1999): Body growth standard values of Korean pediatrics in 1988 

  12. Lee JS, Kim ES (1991): A longitudinal study on human milk volume and lactation pattern. Kor J Nutr 24: 48-57 

  13. Lim SJ, Ahn HS, Kim WJ (1995):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III. Dietary intakes and nutrition awareness of children. Kor J Dietary Culture 10(4): 345-355 

  14. Lim HS, Lee JA (1993): Growth of Korean brest-fed and formula-fed infants. Kor J Nutr 26: 783-792 

  15. May R, Barber J, Simpson T, Winders N, Kuhler K, Schroeder S (2002): Growth pattern of overweight preschool children in the Siouxland WIC program. Am J Hum Biol 14: 769-776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Overview, Health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I, II 

  17. Morrison LS, Tobias JH (2004): Effect of case-finding strategy for osteoporosis on bisphosphonate prescribing in primary care. Osteoporos Int Jun 2 

  18. Neumann CG, Alpaugh M (1976): Birth weight doubling time: A fresh look. Pediatrics 57: 469-473 

  19. Ooms ME, Lips P, Van Lingen A, Valkenburg HA (1993):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in health elderly women. J Bone Miner Res 8: 669-675 

  20. Park SM, Choi HS, Oh EJ (1997): A survey on anthropometric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three different kinds of kindergarten in Cheonan. J Kor Dietetic Assoc 3 (2): 112-122 

  21. Park SY, Paik HY, Moon HK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Kor J Nutr 32: 419-429 

  22. Picciano MF, Calkins EJ, Garrick JR, Deering RH (1981): Milk and mineral intakes of breast fed infants. Acta Pediatr Scand 70: 189-194 

  23. Prentice A (1995): Calcium requirements of children. Nutr Rev 53: 37-45 

  24. Purvis GA (1991):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in infant feeding. Kor J Nutr 24: 276-281 

  25. Rattigans S, Ghisalberti AV, Hartmann PE (1981): Breast-milk production in Australian women. Br J Nutr 45: 243-249 

  26.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Adachi M, Mo SM (2001):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 J Community Nutr 6: 150-161 

  27. Waterlow JC (1972):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protein calorie malnutrition. BMJ 3: 566-568 

  28. Whitehead RG, Paul AA (1981): Infant growth and human milk requirements-A fresh approach. Lancet 1: 243-249 

  29. WHO/UNICEF (1993): Baby friendly hospital initiative. Geneva: WHO/UNICEF 

  30. Wright DE, Radcliff JD (1992): Parents' perception of influence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 24: 198-201 

  31. Yim KS, Yoon EY, Kim CI, Kim KT, Kim CI, Mo SM, Choi H (1993): Eating behavior, obe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children. Kor J Nutr 21 (6): 56-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