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A Prosodic Study of Korean Using a Large Database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24 no.2, 2005년, pp.117 - 126  

김종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숙향 (원광대학교 영중어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한국어의 운을 특성 규명을 시도하였다. 남녀 화자 1명씩 각각 낭독한 650개의 뉴스기사 문장 (총 1,300 개)은 분절음 레이블링과 운율 레이블링을 한 후, 각 운율단위의 성조유형과 크기, 상위운율단위의 크기와 하위 운율단위 수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강세구의 하강곡선과 상승곡선의 기울기와 F0 값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운율단위의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와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화자뿐만 아니라 운율단위 위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운율단위의 수는 상위 운율단위의 음절수와 지속시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의 기울기는 강세구 음절수와 반비례 관계를 보였으며 강세구 첫 성조의 유형에 따라 기울기 값에 차이가 있었다. 이 차이는 고성조로 시작한 강세구 성조의 F0 상승과 성조 간 상승 폭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었다. 강세구 경계의 하강곡선은 일정하면서 강세구 내의 하강곡선에 비해 다소 급격한 기울기를 보였다. 강세구 내의 두 상승곡선은 유사한 기지값을 보였으나 강세구 시작 상승곡선의 F0 변화량이 끝 상승곡선의 F0 변화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나의 상승곡선이 강세구를 이루는 L Ha의 경우에는 강세구의 음절수에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hrough the analysis of a large database. One female and one male speakers each read 650 sentences and they were segmentally and prosodically labeled.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on these utterances regarding the tonal pattern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의 운율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첫째, 각 운율 단위의 성조 유형과 크기, 즉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 등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운율단위의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 등에서 화자 간 차이가 있었으나 성조유형 및 출현 빈도에는 화자 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의 운율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첫째, 각 운율 단위의 성조 유형과 크기, 즉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 등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운율단위의 지속시간, 어절수, 음절수 등에서 화자 간 차이가 있었으나 성조유형 및 출현 빈도에는 화자 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우리말 운율구조의 개괄적인 특성을 기술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길이가 짧고 통사적으로 단순한 문장들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문장의 수 또한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문장의 길이와 통사적 구조가 다양한 비교적 많은 수의 문장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 운율구조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강세구 내와 강세구 경계에서 성조 간에 나타나는 피치 변화, 즉 피치곡선의 상승과 하강의 양에 대한 비교분석을 주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문장의 길이와 통사적 구조가 다양한 비교적 많은 수의 문장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 운율구조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강세구 내와 강세구 경계에서 성조 간에 나타나는 피치 변화, 즉 피치곡선의 상승과 하강의 양에 대한 비교분석을 주목적으로 한다. 즉 강세구 내에 최대 2 개의 상승 (첫 두개 음절에 나타나는 상승 (L +H)과 마지막 두개 음절에 나타나는 상승 (L+ Ha))과 2개의 하강 (예, 둘째음절과 끝 둘째음절사이에 나타나는 하강 (+H L+)과 마지막 음절에서 다음 강세구 첫음절까지의 전이구간 (Ha L))이 나타날 수 있다.
  • 본 연구는 문장의 길이와 통사적 구조가 다양한 비교적 많은 수의 문장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 운율구조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강세구 내와 강세구 경계에서 성조 간에 나타나는 피치 변화, 즉 피치곡선의 상승과 하강의 양에 대한 비교분석을 주목적으로 한다. 즉 강세구 내에 최대 2 개의 상승 (첫 두개 음절에 나타나는 상승 (L +H)과 마지막 두개 음절에 나타나는 상승 (L+ Ha))과 2개의 하강 (예, 둘째음절과 끝 둘째음절사이에 나타나는 하강 (+H L+)과 마지막 음절에서 다음 강세구 첫음절까지의 전이구간 (Ha L))이 나타날 수 있다.

가설 설정

  • Beckman & Jun[9]은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Pierrehumbert[10]의 억양음운론의 이론적 토대에 접목시켜 우리말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운율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운율기술체계의 하나인 K-ToBI 레이블링 규약 (Korean Tone and Break Indices Labelling Conventions)을 고안하였다1). 이 레이블링 규약은 한국어 발화문장의 운율 구조가 계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의 음절층에서 시작하여, 운율단어층 (prosodic word), 강세구 (accentual phrase)증, 그리고 최상단에 억양구 (intonation phrase)층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강세구는 하나 이상의 운율단어로 이루어지며 억양구는 강세구의 상위층으로서 하나 이상의 강세구로 이루어진다.
  • Beckman & Jun[9]은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Pierrehumbert[10]의 억양음운론의 이론적 토대에 접목시켜 우리말 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운율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운율기술체계의 하나인 K-ToBI 레이블링 규약 (Korean Tone and Break Indices Labelling Conventions)을 고안하였다1). 이 레이블링 규약은 한국어 발화문장의 운율 구조가 계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의 음절층에서 시작하여, 운율단어층 (prosodic word), 강세구 (accentual phrase)증, 그리고 최상단에 억양구 (intonation phrase)층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강세구는 하나 이상의 운율단어로 이루어지며 억양구는 강세구의 상위층으로서 하나 이상의 강세구로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현복, '서울말의 리듬과 억양,' 어학연구, 10 (2), pp. 15-25, 1974 

  2. 김차균, 우리말의 성조, 태학사, 1993 

  3. H. Koo, An Experimental Acoustic Study of the Phonetics of Intonation in Standard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86 

  4. S.H. Lee, 'Intonational domains of the Seoul dialect of Korean: a paper presented at the 117th meeting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Syracuse, N.Y.; An abstract i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5, suppl 1, S99. 1989 

  5. de-Jong, 'Initial tones and prominence in Seoul Korea,'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3, 1-14, Ohio State Univer­sity, 1994 

  6. S.-A. Jun,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Intonational Phonology and Prosodic Structure,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1993 

  7. 이호영, The Structure of Korean Prosody, Doctoral disser­tation of University College London, 1990 

  8. 성철재, 한국어 리듬의 실험음성학적 연구-시간 구조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5 

  9. M. Beckman & S.-A. Jun. K-ToBI annotation convention, Unpublished manuscript, Ohio State University and UCLA, 1995 

  10. J. B. Pierrehumbert, The Phonology and Phonetics of English Intonation, Doctoral dissertation, MIT, 1980 

  11. S.-A. Jun, K-ToBI(Korean ToBI) labeling conventions, version 3.0, unpublished manuscript, UCLA, 2000 

  12. J.J. Kim S.H. Lee, H.J. Ko, Y.J. Lee, S.H. Kim, J.C. Lee, 'An analysis of some prosodic aspects of Korean utterances using K-ToBI labelling system,' Proceedings of ICSP '97, pp. 87-92, 1997 

  13. S.-A. Jun, 'The accentual phrase in the Korean prosodic hierarchy,' Phonology, 15, pp. 189-226, 1998 

  14. 이숙향, 한국어 운율구조 기술 체계에 대한 연구: K-ToBI 기술 쳬계를 중심으로, 언어학 20 (2), pp. 1-18, 2002 

  15. 이호영, '국어 억양의 상승과 하강 현상,' 한글, 257, 5-26, 2002 

  16. H.J. Lee, Tonal Re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ccentual Phrase in Seoul Korean, MA thesis, UCLA, 1999 

  17. S.-A. Jun & M. Oh, 'A prosodic analysis of three types of Wh-phrases in Korean', Language and Speech, 39 (1), pp 37-61, 1996 

  18. 김기호, 김화영, 김민정 담화상에 나타나는 목적격표지 {-를}의 의미고찰, 음성과학 6, pp. 55-82, 1999 

  19. 전 은, 이숙향, '한국어 조사의 운율적 특성-낭독체 문장을 중심으로,' 말소리 37, pp. 73-85, 1999 

  20. S.-A. Jun, 'The accentual pattern and prosody of the Chonnam dialect of Korean,' Ha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3, pp. 89-100, 1989 

  21. 문수미, 한국어 액센트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9 

  22. 이숙향, '제주방언 억양패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 (2(s)), pp. 369-372, 1999 

  23. M. Oh, 'An optimality theoretic analysis of tone realization in Korean,' Speech Sciences, 10 (3), pp. 89-101, 2003 

  24. Jun, S.-A and M. Oh,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intonation,' The 6th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oken Language Processing, pp, 73-76, 2000 

  25. Y.J. Lee, S.H. Lee, J.J. Kim, H.J. Ko, Y.I. Kim, S.H. Kim, J.C. Lee, 'A computational algorithm for F0 contour generation in Korean developed with prosodically labeled databases using K-ToBI system,' Proceedings of 199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oken Language Processing, pp. 1995-199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