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혈병 환자의 과립구 육종(녹색종양)
Granulocytic Sarcoma(Chloroma) in Leukem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1 no.1, 2005년, pp.54 - 61  

이승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  강용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  박원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  정양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  이상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  정지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골-관절종양연구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백혈병 환자의 사지와 척추 등에 발생하는 과립구 육종(녹색종)은 매우 드물고 그 치료나 예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대상으로 그 발병기전,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 및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한 총 2,197명의 백혈병 환자 중 척추 및 사지에 이환되었던 과립구 육종 20명(0.9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78개월(평균18개월)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과립구 육종의 발생 빈도는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 까지 6년 5개월 간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에서 가료한 급성 골수성 환자 1,331명중 15례, 만성 골수성 환자 744명중 4례, 혼합형 급성 백혈병 환자 122명중 1례가 발생하여 전체 백혈병에서의 발생율은 2,197명 중 20명이 발생하여 0.91%의 빈도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28.3세(4~52)였고,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다. 단발성 병변은 11례, 다발성 병변은 9례였으며, 병변은 척추 12례, 뇌실질 5례, 사지 6례, 흉부 2례, 골반부 2례, 두개골 및 안구에 각각 1례씩 발생되었다. 과립구 육종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환자 15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 4례에서 그리고 혼합형 급성 백혈병(acute biphenotype leukemia) 환자 1례 등 총 20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백혈병의 치료 과정중 과립구 육종의 발병 시기별로는 완전 관해 되었을 때 발병한 것이 8례, 특히 이중에서 4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이 급성 백혈병으로 재발 악화 되면서 육종이 발병하였고, 나머지 12례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 과정 중 과립구성 육종이 병발하였다. 6례에서의 조직 검사상 미성숙한 골수모세포와 림파구 등이 혼재된 전형적인 과립구 육종을 확진하였고, 과립구 육종의 치료는 전예를 백혈병의 재발 또는 진행과정에 따라 글리벡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백혈병 자체에 대한 항암치료만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는 항암치료와 함께 과립구 육종에 대한 국소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병합하였다. 평균 18개월의 추시 기간 중 만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4명 모두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는 모두12명(12/20: 60%)이 과립구성 육종의 발병이후 6.5 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연령과 예후는 고령 발생시 더욱 불량하였다. 결론: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 및 사지의 과립구 육종의 예후는 불량하였고, 특히 만성 골수성 환자에서 발생시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으나, 급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반드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여서, 백혈병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항암 치료와, 사지 과립구 육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병합 요법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granulocytic sarcoma which developed in leukemic patients are quite rare and it will have bad prognosis, but it's tumor pathogenesis and also their treatment are not yet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we have tried to know their clinical course, prognosis and their end result of re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하나 주로 골 및 골막에 호발하는 것으로 예후는 극히 불량하며 아직도 그 발생기전이나 치료도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통해 그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립구성 육종의 진단과 함께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과립구성 육종의 치료는 다른 골-관절 육종들과는 달리 수술적 치료방법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으며, 방사선 치료 및 복합 화학 치료가 있으나 그 예후는 좋지 않다. 그러나 방사선 치료 및 복합화학 치료가 과립구성 육종의 소실은 물론 백혈병 자체의 완전 관해를 유도할 수도 있으므로, 과립구성 육종의 진단과 함께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래 백혈병이 없는 환자나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발견된 과립구성 육종은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과립구성 육종만 확인된 경우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준한 조혈모 골수이식이나 글리벡, 과량의 스테로이드 등을 이용한 적극적인 전신 항암 치료를 하여야 한다4, 12, 13).
과립구성 육종은 무엇인가? 골수밖 골수성 육종(extramedullary myelosarcoma )인 과립구성 육종(granulocytic sarcoma)은 과립구계의 미성숙 세포로 구성된 매우 드문 종양이다10). 이는 젊은 연령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에서 발생하며, 과거에는 종양세포에 포함된 myeloperoxidase에 의해 종양이 공기에 노출 시 짧은 시간 녹색을 띠어 녹색종(chloroma)이라고 불리어 지기도 하였다7).
과립구성 육종은 어떤 환자에게서 발생하는가? 골수밖 골수성 육종(extramedullary myelosarcoma )인 과립구성 육종(granulocytic sarcoma)은 과립구계의 미성숙 세포로 구성된 매우 드문 종양이다10). 이는 젊은 연령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또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에서 발생하며, 과거에는 종양세포에 포함된 myeloperoxidase에 의해 종양이 공기에 노출 시 짧은 시간 녹색을 띠어 녹색종(chloroma)이라고 불리어 지기도 하였다7). 신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하나 주로 골 및 골막에 호발하는 것으로 예후는 극히 불량하며 아직도 그 발생기전이나 치료도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