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이용한 금속 나노우물과 나노그물 구조의 박막 제작
Fabrication of Nanowellstructured and Nanonetstructured Metal Films using Anodic Porous Alumina Film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5 no.5, 2006년, pp.518 - 526  

노지석 (동아대학교 신소재물리학과) ,  진원배 (동아대학교 신소재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노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제작하고 이를 주형으로 사용해서 진공증착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우물구조와 나노그물구조의 금속 박막들(알루미늄, 주석, 코발트)을 제작하였다. 원하는 금속물질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저항가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증착은 torr의 기저진공 속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나노우물과 나노그물 구조의 박막 중 어떤 구조가 합성되느냐 하는 것은 증착되는 물질의 양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포의 크기가 100 nm이고 세공 직경이 60 nm인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사용했을 때는 대략 우물구조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질량의 절반이하 정도가 증착되게 되면 그물 구조가 합성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noporous alumina film was fabricated by anodization of an aluminum sheet. Highly ordered nanowellstructured and nanonets-tructured metal films were fabricated by vacuum evaporation of several metals(Al, Sn, and Co) using the anodic nanoporous alumina film as a template. In this experiment, an an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주형으로 해서 저항가열에 의한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으로 여러 가지 금속들에 대해서 나노우물과 나노그물 구조의 금속 박막을 합성하였다. 저항가열에 의한 물리적 기상 증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물질들로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기존의 화학적 증착방법에 비교해서 제작과정이 훨씬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14, 1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저항 가열에 의한 물리적 기상증착 방법에 의해 다양한 금속들에 대해서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우물 구조와 나노그물 구조의 금속 박막을 제작하는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Xiangyang Mei, Marina Blumin, Danny Kim, Zhanghua Wu, Harry E. Ruda, J. Crystal Growth, 251, 253(2003) 

  2. S. Facsko, T. Dekorsy, C. Koerdt, C. Trappe, H. Kurz, A. Vogt, H. L. Hartnagel, Science, 285, 1551(1999) 

  3. S. Fan, M. G. Chapline, N. R. Franklin, T. W. Tombler, A. M. Cassell, and H. Dai, Science 283, 512(1999) 

  4. S. C. Minne, Ph. Flueckiger, H. T. Soh, and C. F. Quate, J. Vac. Sci. Technol. B 13, 1380(1995) 

  5. A. P. Li, F. Muller, A. Birner, K. Nielsch, and U. Gosele, J. Appl. Phys. 84, 6023(1998) 

  6. C. R. Martin, L. S. Van Dyke, Zhihua Cai, and Wenbin Liang, J. Am. Chem. Soc. 112, 8976(1990) 

  7. R. J. Tonucci, B. L. Justus, A. J. Campillo, C. E. Ford, Science, 258. 783(1992) 

  8. K. Haya, S. Sugawara, K. Aral, and S. Selto, J. Chem. Eng. Jpn. 17, 514(1984) 

  9. K. Douglas, G. Devaud, N. A. Clark, Science, 257, 642(1992) 

  10. F. Keller, M. S. Hunter, and D. L. Robinson, J. Electrchem. Soc. 100, 411(1953) 

  11. X. F. Wang and L. D. Zhang, J. Phys. D 34, 418(2001) 

  12. J. S. Suh and J. S. Lee, Appl. Phys. Lett., 75, 2047(1999) 

  13. Shufang Yu, Myungchan kang, Naichao Li, Charles R. Martin, Abs. 85, 204th Meeting, $\circledC$ 2003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4. S. K. Park, J. S. Noh, D. D. Sung, and W. B. Chin, Curr. Appl. Phys., in press 

  15. D. D. Sung, M. S. Choo, J. S. Noh, W. B. Chin, and W. S. Yang, Bull. Korean Chem. Soc., 27, 1159(2006) 

  16. H. Masuda and M. Satoh, Jpn. J. Appl. Phys. 35, L126(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