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피지선세포주(SZ95)에서 무화과 잎 추출물의 피지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 of Ficis Folium on the Sebum Synthesis in Human Sebocyte Cell Line (SZ95)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0 no.4, 2006년, pp.919 - 923  

박시준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김영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임규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우원홍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문연자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bum is an oily substance produced by sebaceous glands in human sk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sebaceous gland is remarkably species-specific and sebocytes may play crucial parts in the pathophysiologic processes and disorders of pilosebaceous uni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I다라서 본 실험에서 사람 의정상 피지선세포의 특징을 지닌 SZ95세포에서 피지선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체 정상 피지선세포의 특징을 지닌 SZ95세포를 이용하여 무화과 잎 추출물의 피지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 무화과 잎 추출물이 SZ95세포에서 생성되고 있는 지질의 patter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cholesterol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SZ95세포의 cholesterol 양은 0.
  • 무화과 잎 추출물이 피지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정상 피지선세포의 특징을 지닌 SZ95세포에서 지질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金昌玟 外, 中藥大辭典, 鼎談, 서울, pp 1426-1428, 1999 

  2. Vinson, J.A. The functional food properties of figs. Cereal Food Word 44(2):82-87, 1999 

  3. Williams, D.C., Sgarbieri, V.C., Whitaker, J.R. Proteolytic activity in the genus Ficus. Planta Physiol 43:1083-1088, 1968 

  4. 신민교. 임상본초학. 영림사, 서울, p 419-420, 1997 

  5. 임계택, 이세중, 고정현, 오필선. 무화과 당단백질의 혈중지질 저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73(4):624-630, 2005 

  6. Pappas, A., Anthonavage, M., Gordan, J. Metabolic fate and selective utilization of major fatty acid in human sebaceous gland. J Invest Dermatol 118(1):164-171, 2001 

  7. Thiboutot, D. Regulation of Human Sebaceous Glands. Dermatology Foundation J Invest Dermatol 123:1-12, 2004 

  8. Webster, G.F. Inflammation in acne vulgaris, J Am Acad Dermatol 33:247-253, 1995 

  9. Sansone, G., Reisner, R.M. Differential rates of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dihydrotestosterone in acne and in normal human skin-A possible pathogenic factor in acne, J Invest Dermatol 56:366-372, 1971 

  10. Schmidt, J.B., Spona, J. Hormone receptors in normal skin and acne. Endocrinol Exp 17:137-144, 1983 

  11. Sperling, L.C., Heimer, W.L. Androgen biology as a basi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drogenic disorders in women. I, J Am Acad Dermatol 28(5 Pt 1):669-683, 1993 

  12. Gollnick, H., Zouboulis, C.C., Akamatsu, H., Kurokawa, I., Schulte, A. Pathogenesis and pathogenesis related treatment of acne, J. Dermatol 18:489-499, 1991 

  13. Downing, D.T., Strauss, J.S., Pochi, P.E. Variabilit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human skin surface lipids. J Invest Dermatol 53:322-325, 1969 

  14. Greene, R.S., Downing, D.T., Pochi, P.E. et al. Anatomical variation in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human skin suface lipid. J Invest Dermatol 54:240-247, 1970 

  15. Kligman, A.M. The uses of sebum, in Montagna W, Ells RA, Silver AF(eds): The Sebaceus glands, Advances in Biology of Skin. Vol. 4, Pergamon Press, London, pp 110-124, 1963 

  16. Nicolaides, N. Human skin surface lipids-orgin, composition and possible function, in Montagna W, Ellis RA, Silver AF(eds) : The Sebaceous glands, Advances in Biology of Skin. Vol. 4, Pergamon Press, London, pp 167-187, 1963 

  17. Lucky, A.W. Hormonal correlates of acne and hirsutism, Am J Med 98:89-94, 1995 

  18.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ods 65:55-63, 1983 

  19. 李惟信. 임상피부과학, 서울, 여문각, pp 217-224, 1987 

  20. Leyden, J.J., Shalita, A. Rational therapy for acne vularis. an update on topical treatment. J Am Acad Dermatol 15:907-915, 1986 

  21. Kligman, A.M. Fulton, J.E., Plewig, G. Topical vitamin A acid in acne vularis. Arch Dermatol 99:469-476, 1969 

  22. Thomsen, R.J., Stranieri, A., Knuson, D. et al. Topical clindamycin treatment of acne. Arch Dermatol 116:1031-1034, 1980 

  23. 문연자, 김윤석, 권강주, 이희섭, 노성택, 김양진, 이장천, 우원홍 : 피지선세포에서 Retinoic Acid의 피지생성억제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5):1317-1321, 2004 

  24. Strauss, J.S., Kligman, A.M., Pochi, P.E. The effect of androgens and estrogen on human sebaceous glands. J Invest Dermatol 39:139-155, 1962 

  25. Pochi, P.E., Strauss, J.S., Mescon, H. The role of adrenocortical steroids in the control of human sebaceous gland activity. J Invest Dermatol 41:391-399, 1963 

  26. De Raeve, L., De Schepper, J., Smitz, J. Prepubertal acne : A cutaneous marker of androgen excess? J Am Acad Dermatol 32:181-184,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