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루발풀(Pyrola japonica) 추출물의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Pyrola japonica against Bacillus subtil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6 = no.79, 2006년, pp.989 - 993  

박해건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차미란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황지환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주영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미숙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최선욱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해룡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황용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국 산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노루발풀을 건조시켜 80% ethanol 추출물과 여러 가지 용매 분획물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색하였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B. subtilis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람 음성균 E. coli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 중 hexane층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루발풀의 항균활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hexan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 TLC 및 HPLC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peak I의 단일 물질이 노루발풀의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Pyrola japonica were extracted and isolated. Eighty percent ethanol extract of dried Pyrola japonica was fractionated to 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aqueous layer. The hexane-solubl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전국 산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노루발풀을 건조 시 켜 80% ethanol 추출물과 여러가지 용매 분획물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서 검색하였다. 노루발풀의 80% ethanol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e, J. 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Kor. J. Nutr. 37, 655-661 

  2. Choi, O. K., Y. S. Kim, G. S. Cho and C. K. Sung.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 Nutr. 15, 300-306 

  3. Chung, K. S., J. Y. Kim and Y. M. Kim.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4. Do, D. S., S. M. Lee, M. K. Na and K. H. Bae.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ts OMZ 176. Kor. J. Pharmacogn. 33, 319-323 

  5. Hahn, Y. 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6. Han, W. S. 2005. Isolation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 from Aralia cordata Thund.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182-185 

  7. Hwang, J. S. and Y. S. Han.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ND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59-1065 

  8. Jang, S. Y., H. J. Choi, N. Y. Ha, O. M. Kim and Y. J. Jeong. 2004.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 319-324 

  9. Chang, J. and T. Inui. 2004. Novel phenolic glycoside dimer and trimer from the whole herb of Pyrola rotundifolia. Chem. Pharm. Bull. 53, 1051-1053 

  10. Kagawa, K., K. Tokura, K. Uchida, H. Kakushi, T. Shike and H. Nakai. 1992.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and inotropic constituents in Pyrola herba. Chem. Pharm. Bull. 40, 2083-2087 

  11. Kim, J. S., S. H. Shim, Y. Xu, S. S. Kang, K. H. Son, H. W. Chang, H. P. Kim and K. H. Bae. 2004. Phenolic glycosides fram Pyrola japonica. Chem. Pharm. Bull. 52, 714-717 

  12. Kim, K. J., J. R. Do, J. H. Jo, Y. M. Kim, B. S. Kim, S. D. Lim and S. N. Kang.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98-503 

  13. Kosuge T., M. Yokota, K. Sugiyama, T. Mure, H. Yamazawa and T. Yamamoto. 198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rinciples from the whole herb of Pyrola rotundifolia L. Chem. Pharm. Bull. 33, 5355-5357 

  14. Lee, S. M., R. B. An, B. S. Min, M. K. Na, C. H. Lee, S. J. Kang, H. Y. Maeng and K. H. Bae. 2001. A new naphthoquinone from Pyrola japonica. Arch. Pharm. Res. 24, 522-523 

  15. Nigel, B. P. and N. J. Brennen. 1997. Antimicrobial and cytotoxic phenolic glycoside esters from the New Zealand tree Toronia toru. J. Nat. Prod. 60, 623-626 

  16. Ryu, B. T. and J. H. Kim. 1990. Changes in leaf water potential, lethal temperature and carbohydrate content of wintergreen (Pyrola japonica Klenze) during overwintering. Korean J. Ecol. 13, 59-66 

  17. Shim, C. J., G. H. Lee, J. H. Jung, S. D. Yi, Y. H. Kim and M. J. Oh.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linensis. Korean J. Food Preserv. 11,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