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산 일부 사과 품종의 유리당 함량
Free Sugars Content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1 = no.185, 2006년, pp.22 - 27  

김천회 (한국기능식품연구원) ,  황혜정 (천안연암대학 외식산업과) ,  구자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광로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사과의 품종별 HPLC법으로 산출한 총당 함량은 쓰가루 평균 9.62%, 후지 11.79%, 홍옥 11.20% 그리고 신흥 11.59%이었다. 전국의 총당 함량분포는 최소 8.91%(대구 산 쓰가루)에서 최고 13.08%(수원 산 후지)이었다.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 분포는 전국적으로 sucrose 0.72-3.26%, glucose 1.81-3.54%, fructose 5.08-6.96% 그리고 sorbitol 0.22-0.96%이었다. 개별 유리당의 품종별 평균함량은 fructose는 쓰가루 5.76%, 후지 6.08%, 홍옥 5.76% 그리고 신흥 6.03%, glucose는 쓰가루 2.60%, 후지 2.74%, 홍옥 2.68% 그리고 신흥 2.53%, sucrose는 쓰가루가 0.94%로서 후지 2.33%, 홍옥 2.29% 그리고 신흥 2.53%, sorbitol은 쓰가루 0.31%, 후지 0.64%, 홍옥 0.45%, 신흥 0.44 이었다. 총당 중의 유리당과 sorbitol 분포비율은 네 가지 품종 모두 fructose가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sorbitol은 5% 미만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지만 쓰가루는 fructose가 60%를 점유하고 sucrose는 약 10% 정도의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품종별 총당(TS+S)에 대한 유리당의 함량비율 sucrose/TS+S는 쓰가루 0.098, 후지 0.198, 홍옥 0.205 그리고 신흥 0.225, fructose/TS+S는 쓰가루 0.600, 후지 0.516, 홍옥 0.515 그리고 신흥 0.521, glucose/TS+S는 쓰가루 0.270, 후지 0.233, 홍옥 0.240 그리고 신흥 0.219이며 이 중 모든 품종의 fructose/TS+S와 glucose/TS+S는 안정적인 지표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총당에 대한 sorbitol의 함유비율(sorbitol/TS+S)은 쓰가루 0.0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nts of free sugars and sorbitol and their distributional profiles in Tsugaru, Fuji, Jonathan (Hong-Ok), and New Jonagold (Sin-Heung) apple cultivars were evaluated. Average total sugar contents of Tsugaru, Fuji, Jonathan, and New Jonagold were 9.62, 11.79, 11.20, and 10.28%, respectively. HPL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품종개량과 재배기법의 발전에 힘입어 맛이 뛰어난 사과를 생산하고 있으나 이들의 품질을 뒷받침 해줄 축적된 분석 데이터가 불충분한 실정인 것이다. 연구에서는 우리사과의 품질지표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려는 연구의 하나로서 유리당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쓰가루, 후지, 홍옥 및 신흥 품종을 재배지역별로 수집하여 가용성 고형물과 총당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HPLC를 통하여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sorbitol의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lkins ER, Heuser JR, Chin H. Detection of adulteration in selected fruit juices. pp. 317-341. In: Adulteration of Fruit Juice Beverages, Nagy S, Attaway JA, Rhodes ME (e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1988) 

  2. Lee CY, Shallenberger R, Vittum M. Free sugars in fruits and vegetables. New York Food and Life Sciences Bulletin No.1. New York Stat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eneva, NY, USA (1970) 

  3. Sharkasi T. Dilution and solids adulteration of apple juice. M.S. Thesi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ullman, WA, USA (1979) 

  4. Fuleki T, Pelayo E, Palabay RB. Sugar composition of varietal juices produced from fresh and stored apples. J. Agric. Food Chem. 42: 1266-1275 (1994) 

  5. Lee HS, Wrolstad RE. Detection of adulteration in apple juices, pp. 343-376. In: Adulteration of Fruit Juice Beverages, Nagy S, Attaway JA, Rhodes ME (e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1988) 

  6. Poll L. Evaluation of 18 apple varieties for their suitability for juice production. J. Sci. Food Agric. 32: 1081-1090 (1981) 

  7. Mattick I.R. An evaluation of the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pple juice and concentrate. pp. 175-193. In: Adulteration of Fruit Juice Beverages, Nagy S, Attaway IA, Rhodes ME(e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1988) 

  8. Zyren J, Elkins ER. Interlaboratory variability of methods used for detection of economic adulteration in apple juice. J. Assoc. Off. Anal. Chem., 68: 672-676 (1985) 

  9. Mattick LR, Moyer JC. Composition of apple juice. J. Assoc. Off. Anal. Chem. 66: 1251-1255 (1983) 

  10. Ryan JJ. Chemical composition of Canadian apple juice. J. Assoc. Off. Anal. Chem. 55: 1104-1108 (1972) 

  11. Wrolstad RE, Shallenberger RS. Free sugars and sorbitol in fruits - A compilation from the literature. J. Assoc. Off. Anal. Chem. 64: 91-103 (1981) 

  12. Blumenthal A, Helbling J. Detection of pear juice in apple juice. Mitt. Geb. Lebensm. Helunters. Hyg. 68: 419-430 (1977) 

  13. Brause AR, Raterman JM. Verification of authenticity of apple juice. J. Assoc. Off. Anal. Chem. 65: 846-849 (1982) 

  14.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 4-7 (1981) 

  15. Sharkasi TY, Bendel RB, Swanson BG. Dilution and solids adulteration of apple juice. Food Qual. 5: 59-72 (1981) 

  16. Lee HH, Gu CK, Lee CS, Ha CH. Sugar content of commercial fruit by HPLC. Korean J. Agric. 27: 158-162 (1984) 

  17. Cheun HC, Yang, HC.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pple cultivated in Jeonju. J. Agric. Coll. Joung-buk Univ. 14: 53-58 (1976) 

  18. Hwang, HJ, Lee KH, Oh MH. Sugar content of Korean apple juice by HPLC, J. Korean Soc. Ind. Food Technol. 2: 100-107 (1998) 

  19. Chio CH, Chang CG, Park GH, Oh SG. Determination of free sugar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 by HPLC.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981) 

  20. Chung DH, Chang HK. Food analysis, Jin-Ro Publishing, Seoul, Korea. pp.179-181 (1996) 

  21. Lin H, Huang AS. Chemical composition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of a water-soluble gum in taro (Colocaasia esculenta) maturation. Food Chem. 48: 403-409 (1993) 

  22. Fourie PC, Hansmann CF, Oberholzer HM. Sugar content of fresh apples and pears in South Africa. J. Agric. Food Chem. 39: 1938-1939 (1991) 

  23. del Campo G, Santos JI, Berregi I, Munduate A. Differentiation of Basque cider apple juices from different cultivars by means of chemometric techniques. Food Control 16: 551-557 (2005) 

  24. Harker FR, Marsh KB, Young SH, Murray FA, Gunson FA, Walker SB. Sensory interpretation of instrumental measurements 2: sweet and acid taste of apple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24: 241-250 (2002) 

  25. Lee HS, Wrolstad RE. Apple juice composition: sugar, nonvolatile acid, and phenolic profiles. J. Assoc. Off. Anal. Chem. 71: 789-794 (1988) 

  26. Atungulu G, Nishiyama Y, Koide S. Use of an electric field to extend the shelf life of apples. Biosystems Engin. 85: 41-49 (2003) 

  27. Chinnici F, Spinabelli U, Riponi C, Amati A. Optimization of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fruit juices by ion-exclusion liquid chromatography. J Food Composit. Anal. 18: 121-13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