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로 다른 발효온도로 14일간 발효한 후 진양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 15, 20, $25^{\circ}C$에서 제조된 진양주의 최종 pH는 각각 3.70, 3.73, 3.40, 3.26이었고 최종 총산도는 각각 1.04, 1.01, 1.39, 1.72이었다. 총당의 함량은 발효온도를 10, 15, 20, $25^{\circ}C$로 하여 제조된 진양주는 각각 6.43, 6.22, 5.91, 5.53%로 나타내었고 에탄올 함량은 각각 14.20, 14.17, 14.83, 15.4%로 나타내었다. 색도는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진양주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15^{\circ}C$에서 발효를 한 진양주가 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10^{\circ}C$에서 발효한 진양주가 5.10로, $20^{\circ}C$가 4.40으로, $25^{\circ}C$가 4.30으로 나타났다. 진양주를 제조할 때 발효온도를 $10^{\circ}C$$15^{\circ}C$ 사이로 하는 것이 진양주의 품질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더욱 적합한 발효온도로 진양주를 제조하여 맛과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brewed using unique glutinous rice, were investigated over the following range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10, 15, 20 and $25^{\circ}C$. The pH value, total acidity, total sugar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 15, 20, 25℃를 발효온도로 하고 14 일간 발효를 통하여 제조한 진양주에 대해 pH, 총산, 총당, 에탄올 함량, 색도 등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적합한 발효온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ng KS, Yu TJ.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1981) 

  2. Kim LH, Park WS, Koo YJ.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 J. Dietary Cult. 11: 339-348 (1996) 

  3. Lee SR. Korean Fermented Food.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22-294 (1986) 

  4. Kim CJ, Kim KC, Kim DY, Oh MT, Lee SO, Chung ST, Chung JH.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p. 79-103 (1990) 

  5. Chung HK. Characteristics and pres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Korean J. Dietary Cult. 4: 311-318 (1989) 

  6. Shin HS and Rhee JY,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37-142 (1986) 

  7. Cho CH. Dasi Chaja Ya Hal Wooriei Sui. Seoyei moonjib, Seoul, Korea. pp. 134-135 (1999) 

  8. Technical Service Institute of National Tax Service. Manufacturing guideline of alcoholic beverages. pp. 83-176 (1997) 

  9. Han EH, Lee TS, Noh BS, Lee DS. Volatile Takju prepared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10. Park CS, Lee T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8-302 (2002) 

  11. Kang GH, Noh BS, Suh JH, Hawer S. Food Analysis.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126-129 (1989) 

  12. Kim IH, Park WS, Koo YJ.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 J. Dietary Cult. 11: 339-348 (1996) 

  13. Kim JH, Lee SH, Kim NH, Choi SY, Lee JS.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 traditional liquors by using dandel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28: 367-371 (2000) 

  14. Kim UJ, Ku KH.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of Food, Hyoil Moonhacsa, Seoul, Korea. pp. 68-72 (2001) 

  15. SPSS. SPSS for Windows. Rel. 10.0. SPSS Inc., IL, USA (1999) 

  16. Jung CY, Choi LG, SPSSWIN for Statistics Analysis, Version 10.0, 4th ed. Muy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76-283 (2002) 

  17. Um DH, Chang HG, Kim JG, Kim WJ. Optimal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for low salt Dongchimi juice preparation. Korean J. Soc. Food Sci. 13: 578-584 (1997) 

  18. Rozes N, Larue F, Ribereau-Gayon P. Effect of a variation of grape must temperature on the fermentative ability and the neutral lipid conte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iotech. Lett. 10: 821-824 (1988) 

  19. Kim WJ, Chang SK, Ko SN, Choi HS, Kim JG.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rate of Dongchimi. J. Korean Agric. Chem. Biotech. 39: 398-402 (1996) 

  20.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21. Kang KO, Sohn HJ, Kim WJ.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chim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67-271 (1991) 

  22.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1999) 

  23. Kim ZU. Food Processing. Moonwoondang, Seoul, Korea. pp. 512(1985) 

  24. Jang HW, Ryu YW.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thanol tolerance of yeast strains by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Biotech. Bioeng. 7: 33-37 (1992) 

  25. Kim HJ, Ryu YW. The conditions affecting ethanol tolerance of yeast strains in alcohol fermentation-Study on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ubstrate type. Korean J. Biotech. Bioeng. 4: 167-171 (1989) 

  26. Nagodawithana TW, Whitt JT, Cutaia AJ. Study of the feedback effect of ethanol on selected enzymes of the glycolytic pathway. J. Am. Soc. Brew. Chem. 35: 179-183 (1977) 

  27. Navarro JM, Finck JD. Saccharomyces uvarum hexokinase behaviour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author's trans. Cell. Mol. Biol. 28: 85-89 (1982) 

  28. Pfisterer E, Hancock I, Garrison I. Effects of fermentation environment on yeast lipid synthesis. J. Am. Soc. Brew. Chem. 35: 49-54 (1977) 

  29. Masashi O, Tooru Y, Syuntaro Y, Teruya N, Sadao K, Kojiro T, Teruya N. Preservation of Sake quality by decreasing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J. Brew. Soc. Japan. 94: 827-83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