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산갓김치의 저온 저장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Mustard Leaf (Dolsangat) Kimchi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5 = no.189, 2006년, pp.609 - 614  

김행란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조강진 (농업생명공학연구원) ,  김진숙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이인선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산깃김치를 $5^{\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의 pH는 저장 50일과 60일에 제조당일 시료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산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20-40일에 0.69-0.88% 수준을 나타내어 적숙기로 판단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면서 저장 60일째 1.34%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담금 직후의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저장 기간의 시료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저장 40일째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식이섬유 함량은 제조당일 시료가 수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 모두 그 함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도 마찬 가지로 제조당일 시료가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GC/MS를 이용하여 돌산갓의 휘발성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주요 풍미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 3-butenyl isothiocyanate, phenylethyl isothiocyanate로 확인 되었다. 돌산갓김치의 allyl isothiocyanate와 phenylethyl isothiocyanate 함량은 각각 $43.72\;{\mu}g/g$, $36.17\;{\mu}g/g$ 이었다. 이상의 결과 돌산갓김치의 저온저장 중 적숙기는 산도와 비타민 C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40일 정도이며, 돌산갓 유래 기능성 관련 성분을 활용할 경우 제조 직후의 김치가 비타민 C, 식이섬유, 항산화활성 등이 가장 높아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삿갓의 함유황화합물은 복잡한 김치 제조공정에서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changes in mustard leaf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60 days at $5^{\circ}C$. As the storage period changed from 0 to 60 days, the pH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mustard leaf kimchi decreased, while the total acidity and hunter's color increased. The vitamin C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저온저장 중 돌산 갓김치의 품질특성 변회-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돌산 갓김치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 가정에서 보관되는 조건인 저온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산갓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저온 저장에 따른 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김치의 적숙기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CJ, Kim GY, Park HW. Kimchi. Daewon Press, Seoul, Korea. p. 139 (2001) 

  2. KFCS. Dictionar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yomun Press, Seoul. Korea. p. 19 (2003) 

  3. Lee WS. Vegetables in Korea.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Taegu, Korea. pp. 259-264 (1994) 

  4. Cho JS. Research on Kimchi. Yurim Press, Seoul, Korea. p. 152 (2000) 

  5. Shin MJ, Lee YS, Choi SK. Literature review on the pharmaceutical effect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umsikdimiba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325-335 (2001) 

  6. Park SS, Jang MS, Lee HH.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752-757 (1995) 

  7. Choi MR, Yoo EJ, Song SH, Kang DS.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Dolsan leaf musta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1-725 (2001) 

  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95) 

  9. KFN.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ress, Seoul, Korea. pp. 220-222 (2000) 

  10. Prosky L, Asp NG, Furda I, Devreis JW, Scjweozer TF, Harland BA.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68: 677-684 (1987) 

  11. Laubli MW, Bruttel PA. Determination of the oxidative stability of fats and oils; Comparison between the active oxygen method (AOCS Cd 12-57) and the rancimat method. J. Am. Oil Chem. Soc. 63: 792-795 (1986) 

  12. SAS Instis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lnstisute, Cary, NC, USA (1996) 

  13. RRDI. Food Composition Table. Sangroksa, Suwon, Korea. 6: 88 (2001) 

  14. Park KY, Ha JO, Rhee SH.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tiber and crude t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75 (1996) 

  15. Park SH, Lee JH.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2005) 

  16. Ha DM. Food Microbiology.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42 (2003) 

  17. Park MJ, Jeon YS, Han J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15-221 (2001) 

  18. Kim IK, Shin SR, Lee JB, Kim KS. Change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added with ginseng and pine nee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75-581 (1997) 

  19. Ku KH, Kang KO, Kim WJ.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1988) 

  20. Ryu BM. Effect of kimchi inhibition of skin aging of hairless mouse.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00) 

  21. Choi SY, Hahn YS.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364-368 (1997) 

  22. Hwang JH, Song YO, Cheigh H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09-1015 (2000) 

  23. Seo GW, Cho JY, Kuk JH, Wee JH, Moon JH, Kim SH, Park KH.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Allium fistulosum L. by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88-993 (2003) 

  24. Cho YS, Park SK, Chun SS, Moon JS, Ha BS. Proximate, sugar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48-52 (1993) 

  25. Elizabeth KL, Tracy KS, Rosemary GC, Ian TJ. Cell death in the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T29 in response to glucosinolate metabolites. J. Sci. Food Agric. 81: 959-961 (2001) 

  26. Pyo YH, Kim JS, Han YS. Volatile compound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6-61 (20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