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중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ake of Aspartame and Sucralose in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6, 2006년, pp.690 - 697  

김희연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윤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  홍기형 (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장덕 (식품의약품안전청) ,  박성관 (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우정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장영미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이달수 (식품의약품안전청) ,  하상철 (대구미래대학 제과데코레이션과) ,  송옥자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문동철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신일식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아스파탐 및 수크랄로스가 사용 가능한 대상 식품인 빵 또는 떡류, 김치류, 음료류, 어육가공품, 건과류, 아이스크림류, 잼류 및 발효유류 등 46종 755품목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2종에 대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인공감미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ADI와 비교 검토함으로서 인공감미료의 실제 섭취량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사용기준 개정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식품유형별, 연령대별, 성별 및 인공감미료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식품의 유형과 연령에 따른 인공감미료별 1인 1일당 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FAO/WHO에서 설정한 ADI와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검사건수 755건 중 33건의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어 4.4%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인공감미료별 검출건수와 검출율은 각각 아스파탐 33건(4.4%) 및 수크랄로스 5건(0.7%)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 식품별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 모두 캔디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총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1.81{\sim}10.15\;mg/person/day$의 범위로 $7{\sim}12$세에서 인공감미료 섭취가 가장 많았으며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각 인공감미료를 연령대별로 보면 아스파탐은 $13{\sim}19$세, 수크랄로스는 $7{\sim}12$세에서 가장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총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은 남성은 5.09 mg/person/day, 여성은 4.88 mg/person/day으로 나타났다. 국민영양조사표 등의 식품별 1인 1일당 섭취량과 인공감미료별 평균 검출농도로부터 일일추정섭취량$({\Sigma}EDI)$은 아스파탐 3.75 mg/person/day, 수크랄로스 1.27 mg/person/day로 각 인공감미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825{\sim}2,200\;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각 인공감미료의 총 일일추정섭취량은 ADI 대비 0.2% 수준이었고 사용가능 대상 식품의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의 $1.0{\sim}21.4%$의 수준으로 사용대상식품을 통한 인공감미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mean concentration and the daily intake of 2 artificial sweeteners (aspartame and sucralose) by analyzing food samples. Total number of samples was 755 and the number of samples detected for sweeteners was 33 (detection rate was 4.4%). Contribution rate to...

주제어

참고문헌 (30)

  1. Sumiko T, Kaori F, Masa K, Tadashi S, Sachiko UH, Miyuki F, Noboru K, Yoshiko O, Kazuya F, Hiroshi S, Yoshio I. 1993. Naturally occurring of sulfites in raw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oc Jap 34: 303-313 

  2. Sumiko T, Masako K, Yukihiro M, Tadashi S, Noboru K, Kazuya F, Kazuko W, Sachiko UH, Shigeaki I, Kazuya F, Hiroshi S, Yoshio I. 1993. Naturally occurring of nitrite existing in various raw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oc Jap 34: 294-302 

  3. Sumiko T, Tadashi S, Kenji I, Takeo K, Mieko K, Motohiro N, Hiromichi H, Toshinobu F, Hiroyuki K, Munehiko G, Yoshio S, Kiyoshi S, Kakuyuki O, Hiroshi M, Hisanori U, Teruo S, Yoshio I. 1995. Daily intake of non-naturally occurring chemically synthesized food additives from the processed foods purchased in Japan. J Food Hyg Soc Jap 36: 93-101 

  4. Sumiko T, Tadashi S, Motohiro N, Yoshinobu F, Hiroyuki K, Munehiko G, Yoshio S, Yasuko M, Zensho O, Minoru S, Kazuo N, Shigeru M, Shuichi E, Yayoi S, Hisanori U, Teruo S, Yoshio I. 1996.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chemically synthesized natural food additives from processed foods in Japan. J Food Hyg Soc Jap 37: 308-318 

  5. Gibney MJ. 1999. Dietary intake methods for estimating food additive intake. Reg Toxicol & Pharmacol 30: 31-33 

  6. Yukimasa M, Yuka K, Takashi H, Nobumi A, Masanori S, Yoshio I. 1995. Preparation an characterization of sulfite adducts. Jpn J Toxicol Environ Health 41: 440-446 

  7. Sumiko T, Tadashi S, Nobutake U, Tateo K, Hiroshi S, Sachioko UH, Junko M, Noboru K, Yoshio I. 1994. Naturally occurring of orthophosphate ion in various raw and processed foods by ion chromatography. J Food Hyg Soc Jap 35: 56-65 

  8. Sumiko T, Tadashi S, Koichiro O, Koji T, Tasuchi F, Yoshio I. 1994. Preparation of sample solution using pronase treatment for determination of food coal-tar dyes in foods. J Food Hyg Soc Jap 36: 68-76 

  9. Tomomi K, Tomoko Y, Yoshie T, Nastsuyo H, Yoshiko T, Miki F, Masanori S, Sumiko, T, Tadashi S, Yosio I. 1995. Studies on daily intake of food coal-tar dye in Japan. Jpn J Food Chem 2: 16-23 

  10. Lee CW, Lee DS, Moon BS. 1989.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Kor J Food Hyg 4: 1-20 

  11.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Lee JD, Moon BS, Shin MK. 1985.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 (DHA, BHA, BHT). Annual Report of NIH 22: 443-454 

  12.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Kim KN, Kim JH, Moon BS. 1986.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I) (benzoic acid, sorbic acid, ρ- hydroxybenzoate ester). Annual Report of NIH 23: 631-642 

  13.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Kim KN, Hong KH, Kim HJ, Moon BS. 1987.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II) (propionic acid, sodium nitrite, sodium sulfite (as $SO_2$ )). Annual Report of NIH 24: 719-732 

  14. Lee CW, Kim BS, Kwak IS, Lee CH, Park SK, Huh SY, Ju SK, Kang KM, Park JS, Kim KS. 1997. A study on food additives from diet (artificial sweeteners). Annual Report of KFDA 1: 67-74 

  15. Lee CH, Park SK, Yun HJ, Park JS, Lee JO. 2000.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Kor J Food Sci Technol 32: 519-524 

  16. FAO, IPCS. 1994.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Food Additives (JECFA) 

  17. Lee JO, Yun HJ, Lee CH, Park SK, Lee CW. 1998. A study for analytical method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in foods (I). Annual Report of KFDA 2: 107-115 

  18. Lee JO, Kim SH, Yun HJ, Lee CH, Park SK, Park JS, Jung YH, Chae SY, Kim EJ, Lee CW. 1999. A study for analytical method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in foods (II). Annual Report of KFDA 3: 129-148 

  19. JECFA. 1999.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WHO Food Additives Series 42: 402-459 

  20. Kim HY, Yoon HJ, Hong KH, Lee CH, Park SK, Choi JM, Park SY, Lee KJ, Oh SJ, Kim MS, Park SM, Lee CW. 2003. A study on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s in foods (I). Annual Report of KFDA 6: 169-17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Kor Health Indus. Development Ins 

  22. Hajimu I, Motohiro N, Yoshinobu F, Yoshio I, Takashi Y. 1998. Evaluation of the contents of BHA, BHT, propylene glycol, and sodium saccharin in foods and estimation of daily intake based on the results of official inspection in Japan in fiscal year 1994. J Food Hyg Soc Jap 39: 89-100 

  23. Shin KH, Lee YH, Lee YJ, Lee HD. 1981. A study on the food additives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food colorants by HPLC). Annual Report of NIH 18: 377-381 

  24. Hajimu I, Takiko S, Yoko K, Yuiko T, Takashi Y, Motohiro N, Yoshinobu F. 1999. Estimation of antifungal agent concentrations allowed as food additives in food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results in Japa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ap 40: 407-416 

  25. Hajimu I, Takiko S, Yoko K, Yuiko T, Takashi Y, Motohiro N, Yoshinobu F. 1999. Estimation of preservative concentrations in food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results in Japa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ap 40: 246-258 

  26. Kim HY, Lee YJ, Hong KH, Ha SC, An MS, Cho JS, Kim KS. 1998.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 Food Sci & Technol 30: 767-774 

  27. Leclercq C, Berardi D, Sorbillo MR, Lambe J. 1999. Intake of saccharin, aspartame, acesulfame K and cyclamate in Italian teenagers: present levels and projections. Food Addit Contam 16: 99-109 

  28. Renwick AG. 1995. Intake studies on low-calorie sweeteners: methods, results and comparisons. In Intake studies-lessons learnt. Corti A, ed. International sweeteners association, Brussels, Belgium. p 79-97 

  29. Hulshof KFAM, Bouman M. 1995. Use of various types of sweeteners i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1992 Dutch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Hulshof KFAM, Bouman M, eds. TNO Nutriotion and Food Research Institute, Bonn, Germany 

  30. Hinson AL, Nicol WM. 1992. Monitoring sweetener consumption in Great Britain. Food Addit Contam 9: 669-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