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준전극의 형상과 입력전극사이의 간격을 고려한 건식형 표면 근전위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Dry-type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the Shape of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Inter-Electrode Distance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D / D, 시스템 및 제어부문, v.55 no.12, 2006년, pp.550 - 557  

최기원 (재활공학연구소) ,  최규하 (건국대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dry-type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The designed surface myoelectric sensor is composed of skin interface and processing circuits. The skin interface has one reference and two input electrodes, and the reference electrode is located i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습한 조건 및 외부 전원잡음 환경에서도 출력신호의 특성이 우수하며, 소켓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는 근전의 수용 소형 표면 근전위 센서를 제안한다. 제안된 센서는 신호처리 회로부(signal processing circuit)와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부(skin interface)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극부 내부에 회로부가 내장된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 본 연구에서는 소형 근전위 센서를 실현하기 위하여 전극부의 전극이 차지하는 공간적 면적이 작도록 기준전극이 두 입력 전극의 가운데에 나란히 배치한 형태로 설계하였다. 전극의 형상은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겠지만, 신호의 출력 특성 및 공간 제약성을 고려하여 두 입력전극은 막대형으로, 기준전극은 막대형(A형 이라고 함)과 원형(B형 이라고 함)의 두 가지 형태의 전극을 설계하였다.
  •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면적은 취득한 근전위 신호의 에너지와 같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전극부의 형상과 간격에 따른 출력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A형과 B형의 스펙트럼 최소값인 -87dB를 0으로 일반화하기 위해 각 스펙트럼에 87을 더한 후 면적을 구하였다(표 1참조).
  • 제작된 근전위 센서의 전체 크기는 19x28×2mm [WxDxH]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표면 근전위 센서 (13E125, Ottobock Co., O-SMES 라 함)[2] 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표면 근전위 센서 (K-SMES 라 함) 를 가상 근전위 신호에 따른 출력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때 K-SMES는 전극이 A형이면서 *=18mm인 센서를 사용하였다.
  • 비례제어나 다중문턱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 잡음을 포함한 MAV 출력 신호의 옵셋 전압과 최대출력전압의 차이가 3V 이상이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로 유도되는 잡음 중에 최악의 경우의 하나인, 전원 잡음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근전위 센서를 장착한 상태에서 센서를 착용하지 않은 손으로 통전 중인 전자제품의 220V 전원선을 접촉 :했을 때, 두 센서의 최종 MAV 출력신호의 영향은 그림 10에서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절단장애인 사용하는 근전의수용 건식형 3 극 표면 근전위 센서를 제안하였다. 피부와 접촉되는 전극부는 두개의 입력전극과 한 개의 기준 전극으로 구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전국 장애인 추정치, 2001 

  2. H. Nicolai, L. Teodorsscu, L. C. Jain 'Intelligent systems and technologies in rehabilitation engineering.' CRC press, pp.243-246, 2001 

  3. P. Karnpas, 'The optimal use of myoelectrodes,' http://www.ottobockus.com/ASSETS/9C5BFB5A32664A7EB45869D7EB51E773/Kampas%20Electrode%20Article.pdf 

  4. http://www.ottobockus.com 

  5. P. J. Kyberd, C. L.ight, P. H. Chappell, J. M. Nightingale, D. Whatley and Mervyn Evans,' The design of anthropomorphic prosthetic hands: A study of the Southampton Hand'. Robotica, vol. 19, pp.593-600, 2001 

  6. http://www.utaharm.com 

  7. http://www.imasen.co.jp/welfare_lapoc.html 

  8. http://www.delsys.com 

  9. http://www.emgsrus.com 

  10. 최기원, 문인혁, 이명준, 추준욱, 문무성 '전극형상에 따른 건식형 능동 표면 근전도 전극의 성능 평가' 제29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2003 

  11. 양덕진, 전창익, 이영석, 이진, 김성환, '공간필터에 의한 운동단위 활동전위의 분해능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논문지D, vol. 53, pp 55-64, 2004 

  12. D.K. Kumar and A. Melaku, 'Electrode Distance and magnitude of SEMG,' Proc. of the Second Joint EMBS/BMES Conf., vol. 3, pp, 2477-2480, October 2002 

  13. C.J. Luca, 'Physiology and Mathematics of Myoelectric Signals,' IEEE Trans. Biomed. Eng., vol. 26, No.6, 1979 

  14. D.J. Hewson, J. Duchene and J.Y. Hogrel, 'Changes in impedance at the electrode-skin interface of surface EMG electrodes during long-term EMG recordings,' Proc. of the 23rd Annual EMBS Int'l Conf., pp. 3345-3348, 2001 

  15. D. Farina and R. Merletti, 'A novel approach for estimating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by spatial and temporal filtering of surface EMG signals,' IEEE Trans. Biomed. Eng., vol. 50, No. 12, pp. 1340-1351, December 2003 

  16. K. Englehart and B. Hudgins, 'A robust, real-time control scheme for multifunction myoelectric control,' IEEE Trans. Biomed. Eng., vol. 50, No.7, pp. 848-854, July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