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분자 자기조립 구조의 전산 모사: 원자 모델로부터 메조 스케일 모델까지
Simulations of Self-Assembled Structures in Macromolecular Systems: from Atomistic Model to Mesoscopic Model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6, 2006년, pp.453 - 463  

허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및 고차구조형 유기산업재료 연구센터) ,  조원호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및 고차구조형 유기산업재료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자 모델에 의한 전산 모사단백질 접힘, 미셀화, 블록공중합체의 규칙구조화 등 다양한 고분자 계의 자기조립 현상을 예측하거나 그 조립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특별히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자기조립 현상은 분자 수, 분자 크기 등, 계의 속성에 따라 나노미터 이하의 현상으로부터 마이크론이나 그 이상의 길이 스케일의 현상까지 조립 구조의 길이 스케일이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양한 계의 모든 조립 현상을 양자역학적 방법과 같은 궁극의 근본원칙에 의해 모사하는 것은 현실적인 시간 내에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계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세밀한 표현을 생략하여 모델을 다른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재구성된 모델은 그 관점에 따라 크게 '원자 수준'의 모델과 '메조 스케일 수준'의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총론에서는 고분자 자기조립 현상과 관련하여 이 두 가지 관점에 따른 모델과 모사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simulation is an exceptionally useful method for predicting self-assembled structures in various macromolecular systems, enlightening the origins of many interesting molecular events such as protein folding, polymer micellization, and ordering of molten block copolymer. The length scales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 Germed] 처음으로 도입하였다.2 통상 다분자계의 모사방법으로 공간 및 시간 스케일의 규격화 정도에 따라 원자 관점 (atomistic perspective), 메조 스케일 관점 (mesoscopic perspective)의 모델 및 모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 자기조립 계에 관련하여 언급한 "관점" 변화에 따른 물리적 모델의 근본 원리를 설명하고 이러한 모델들을 이용하여 본 연구그룹에서 수행한 고분자 자기조립 계에 대한 모사 연구의 예를 몇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 위의 과정에 의해 정의된 다원자계는 다양한 모사 방법으로 그 계의 동적 혹은 평형 성질을 예측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모사방법으로 분자 동력학(molecular dynamics), 몬테카를로(Monte Carlo)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 고찰은 본 저자의 선행 논문을8 비롯하여 이미 많은 문헌에9T1 소개되어 있으므로 본 총론에서는 그 원칙과 기술적 특징에 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 이에 비해 현재 성능이 가장 우수한 컴퓨터가 io13개의 원자로 구성되는 계의 운동방 정식 수치계산을 수행하는 경우 현실성 있는 시간 이내에 수행할 수 있는 단위 시간 수는 대략 106δt, (1~10 ns) 정도이다. 이러한 한계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대표적인 고분자 자기조립 계인 블록공중합체 용융물을 초박막(ulta-thin fim)의 형태로 만들었을 때 박막 면에 나타나는 자기조립 구조를 원자 수준의 분자동력학으로 모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박막 면에 나타나는 블록공중 합체 규칙 단위구조의 주기는 통상 10~100 nm 정도인데 이러한 단위 구조의 배열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3xl03 nm의 박막 면의 모사가 필요하다.
  • G. de Gennes의 스케일링(scaling) 이론은 고분자의 거시 정성적 거동(macroscopic qualitative behavior)0! 전술한 근범위 상호작용에는 영향 받지 않고 원범위 상호작용에만 영향 받는다는 사실에서 출발하는데 이 이론의 핵심은 모든 고분자의 거시 거동이 재규격화된 기본입자를 단량체로 하는 보편 사슬(universal chain) 의 원범위 상호작용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2 쉽게 말해 실제 스케일에서 유연성의 차이가 있는 모든 고분자들을 각기 다른 스케일 수준으로 재규격화하면 모두 같은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사슬이 된다는 이론이다.
  • 전술한 와 w 간의 자기일치 관계는 평균자유에너지 Z7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그 표현은 계마다 다르게 기술된다. 밀도 필드와 화학포텐셜 필드 간의 자기일치성을 정량적으로 보이기 위해 고분 자 자기조립 계 중 자기일치 필드 이론에 의하여 가장 성공적으로 예측된 계 중의 하나인 용융 블록 공중합체 계의 자기일치 필드 방정식을 이하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A와 B의 블록으로 구성된 선 형 이 중 블록공중합체 (linear diblock copolymeD 에서 규격화된 총 단량체의 수가 ;V 이고 A 단량체 수의 총 단량체 수에 대한 분 율이 /라고 할 때 블록공중합체 용융 계에 대한 자기일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들이 형성하는 대표적 미셀 구조로는 구형(sphere), 원 기둥(cylinder), 양층 구조(bilayer), 베시클(vesicle)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구조는 고분자의 다양한 고유인자예 : 사슬 형태, 친수/소수 단량체 수의 비) 에 따라 그 조립 방식이 바뀌게 된다. 상기의 연구에서는 용매에 비친화성을 갖는 강직한(stiff) 고분자 주사슬 블록과 용 매에 친화성을 갖는 유연한 가지 블록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T-형 블록공중합체의 용액 내 미셀 구조를 모사한 연구이다. 모사 방법으 로서 입자방식의 메조 스케일 모델을 이용한 랑게빈 동력학을 이용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원자 스케일 모델과 메조 스케일 모델에서의 여러 모사 방법의 기본적인 원칙과 특성을 고분자 자기조립 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세밀하면서도 거대한 고분자 자기 조립구조의 조립 과정을 전산 모사가 앞으로 어느 정도까지 모사할 수 있을지는 예 단하기 어렵지만 분자 이론 재규격화, 필드 이론 등의 기존 이론을 토대로 현재에도 매우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모사 방법이 제안되고 있음을 볼 때 그 전도는 매우 유망하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 M. Chaikin and T. C. Lubensky. Principles of Condensed Matter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1995 

  2. P. G. de Gennes, Scaling Concept in Polymer Physic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1979 

  3. B. R. Brooks, R. E. Bruccoleri, B. D. Olafson, D. J. States, S. Swaminathan, and M. Karplus, J. Comp. Chem., 4, 187 (1983) 

  4. A. MacKerell Jr, et al, J Phys. Chem. B, 102, 3586 (1998) 

  5. Y. Duan, C. Wu, S. Chowdhury, M. C. Lee, G. Xiong, W. Zhang, R. Yang, P. Cieplak, R. Luo, T. Lee, J. Caldwell, J. Wang, and P. Kollman, J. Comp. Chem. 24,1999 (2003) 

  6. W. L. Jorgensen, D. S. Maxwell, and J. Tirado-Rives, J. Am. Chem. Soc., 118, 11225 (1996) 

  7. N. L. Allinger, Y. H. Yuh, and J-H. Lii, J. Am. Chem. Soc., 111, 8551 (1989) 

  8. S. H. Kim and W. H. Jo, J. Korean lnd Eng. Chem., 11, 697 (2000) 

  9. M. P. Allen and D. J. Tildesley, Computer Simulation of Liqui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7 

  10. D. Frenkel and B. Smit, Understanding Molecular Simulation, Academic Press, New York, 1996 

  11. T. Schlick, Molecular Modeling and Simulation, Springer, New York, 2002 

  12. N. Metropolis, A. W. Rosenbluth, M. N. Rosenbluth, A. H. Teller, and E. Teller, J. Chem. Phys., 21,1087 (1953) 

  13. H. S. Choi, J. Huh, and W. H. Jo, Biophys. J., 85, 1492 (2003) 

  14. W. F. van Gunsteren and H. J. C. Berendsen, Angew. Chem. Int. Ed, 29, 992 (1990) 

  15. M. Doi and S. F. Edward, The Theory of Polymer Dynamic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6 

  16. P. H. Verdier and W. H. Stockmayer, J. Chem. Phys., 36, 227 (1962) 

  17. F. T. Wall and F. Mandel, J. Chem. Phys., 63, 4592 (1975) 

  18. H. P. Deutsch and K. Binder, J. Chem. Phys., 94, 2294 (1991) 

  19. J. S. Shaffer, J. Chem. Phys., 101, 4205 (1994) 

  20. G. H. Fredrickson, V. Ganesan, and F. Drolet, Macromolecules, 35, 16 (2002) 

  21. G. H. Fredrickson, The Eouilibrium Theory of Inhomogeneous Polymer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6 

  22. S. F. Edward, Proc. Pbys. Soc., 85, 613 (1965) 

  23. P. G. de Gennes, Rep. Prog. Phys., 32,187 (1969) 

  24. M. W. Matsen and M. Schick, Phys. Rev. Lett., 72, 2660 (1994) 

  25. M. W. Matsen and F. S. Bates, Macromolecules, 29, 1091 (1996) 

  26. F. Drolet and G. H. Fredrickson, Phys, Rev. Lett., 83, 4317 (1999) 

  27. J. Huh and W. H. Jo, unpublished results 

  28. J. G. E. M. Fraaije, J. Chem. Phys., 99, 9202 (1993) 

  29. S. Qi and Z.-G. Wang, Phys. Rev. Lett., 76, 1679 (1996) 

  30. K. H. Kim, J. Huh, and W. H. Jo, Macromolecules, 37, 16 (2004) 

  31. J. Huh, C.-H. Ahn, J. N. Bright, D. R. M. Willliams, and W. H. Jo, Macromolecules, 38, 2974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