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울산광산 주변지역 수계에서 유기 및 무기 비소 종 분포
Distribu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Arsenic Species i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Around the Ulsan Min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no.6, 2006년, pp.689 - 697  

김연태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우남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윤혜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유해물질분석팀) ,  윤철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유해물질분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소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울산광산과 인근지역의 수환경에 대한 비소 오염도와 종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채취한 광산 내 지하수 시료의 62%에서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 기준인 0.05 mg/l를 초과하는 비소 농도가 검출되었다. 비소는 모두 무기종으로, As(V)가 우세하고 일부 지점에서 As(III)이 검출되었다. 지하수 내 비소는 관측정을 통한 산화환원환경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평형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으로 유추된다. 주변수계는 울산광산과 천곡약수가 비소의 주 오염원으로 파악되며, 지하수와 하천수 시료의 $30{\sim}33%$가 총 비소농도 0.05 mg/l를, $60{\sim}67%$ 시료가 0.01 mg/l를 초과하였다. 특히 천곡약수는 0.345 mg/l의 비소 농도를 보여 먹는물 수질기준의 7배에 달하는 오염도를 보인다. 지하수와 천곡약수에서 비소는 모두 As(V)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농도가 높은 일부 지점에서는 As(III)이 검출되었다. 한 지점에서는 DMA, AsB와 같은 유기비소가 소량 검출되어, 비소의 종 변이 또는 유기적 기작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bution and speciation of arsenic in water resources was investigated in the Ulsan mine area. In 62% of uoundwater samples from the mine area, total As concentrations exceeded 0.05 mg/l, the Korean Drinking Water Standard. As(V) was the major type in groundwater with minor As(III). Arsenic 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철광상에 수반되어 다량의 비소가 함유된 울산광산과 그 인근 지역의 비소 오염 범위 및 존재 형태를 알아보고, 독성 및 이동성이 서로 다른 비소 종의 특성을 고려한 위해성 평가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하수 및 지표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비소 농도뿐만 아니라 자연 상태에 소량 존재하는 유기 비소 종까지 고려하여 비소의 종 분류를 시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J.S, Ko, K.S., Lee, J.S. and Kim, J.Y. (2005)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senic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its occurrences, Econ. Environ. Geol., v. 38, p. 547-561 

  2. Aposhian, H.V., Zakharyan, R.A, Avram, M.D., Kopplin, M.J. and Wollenberg, M.L. (2003) Oxidation and detoxification of trivalent arsenic specie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v. 193, p.1-8 

  3. Choi, S.-G. and Youm, Si-J, (2000) Compositional variation of arsenopyrite and fluid evolution at the Ulsan deposit, Southeastern Korea: A low-sulfidation porphyry system. The Canadian Mineralogist, v. 38, p. 567-583 

  4. Daus, B., Mattusch, J, Wennrich, R. and Weiss, H. (2002) Investigation on stability and preservation of arsenic species in iron rich water samples. Talanta, v. 58, p. 57-65 

  5. Francesconi, K. and Kuehnelt, D. (2002) Arsenic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In: Frankenberger Jr W.T. (ed.) Environmental chemistry of arsenic. Marcel Dekker, New York, p. 51-94 

  6. Goh, G.-H. and Lim, T.-T. (2005) Arsenic fractionation in a fine soil fraction and influence of various anions on its mobility in the subsurface environment. Applied Geochemistry, v. 20, p. 229-239 

  7. Hossain, M.F. (2006) Arsenic contamination in Bangladesh-An overview.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v. 113, p. 1-16 

  8. Hughes, M.F (2002) Arsenic toxicity and p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Toxicology Letters, v. 133, p. 1-16 

  9. Hung, D.Q., Nekrassova, O. and Compton, R.G. (2004) Analytical methods for inorganic arsenic in water: a review. Talanta, v. 64, p. 269-277 

  10. Kim, J.-Y., Kim, K-W., Lee, J.-U., Lee, J.-S. and Cook, J. (2002) Assessment of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vicinity of Duckum Au-Ag mine,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v. 24, p. 215-227 

  11. Kim, M.-J., Ahn, K-H. and Jung, Y. (2002) Distribution of inorganic arsenic species in mine tailings of abandoned mines from Korea. Chemosphere, v. 49, p. 307-312 

  12. Kim, Y.-T., Yoon, H., Yoon, C., Shin, M.-Y. and Woo, N.-C. (submitted for publication) An assessment of sampling, preservation, and analytical procedures for arsenic speciation in potentially contaminated waters.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13. Ko, I., Chang, Y.-Y., Lee, C.-H. and Kim, K-W. (2005) Assessment of pilot-scale acid washing of soil contaminated with As, Zn and Ni using the BCR threestep sequential extrac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A, v. 127, p. 1-13 

  14. Ko, I.W., Lee, S.W. Kim, J.Y., Kim, K.W., Lee,J.S., Chon, H.T. and Jung, M.C. (2003) Potential impact of arsenic and heavy metals in the vincinity of the closed Au-Ag mining areas and its remediation prior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v. 40, p. 367-378 

  15. Mandal, B.K. and Suzuki, K.T. (2002) Arsenic round the world: a review. Talanta, v. 58, p. 201-235 

  16. MOE (2006) Water Quality Standards and Regulations on the examination of Drinking Water.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7. Park, K.H. and Park, H.I. (1980) On the genesis of Ulsan iron-tungsten deposit, Jour.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 13(2), p. 104-116 

  18. Sanchez-Rodas, D., Gomez-Ariza, J.L., Giraldez, I., Velasco, A. and Morales, E. (2005) Arsenic speciation in river and estuarine waters from southwest Spa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 345, p. 207-217 

  19. Schaeffer, R., Francesconi, K.A., Kienzl, N., Soeroes, C., Fodor, P., Varadi, L., RamI, R., Goessler, W. and Kuehnelt, D. (2006) Arsenic speciation in freshwater organisms from the river Danube in Hungary. Talanta, v. 69, p. 856-865 

  20. Shin, H.S. (1999) Determination of As, Se, Ge, Sb and Hg with hydride vapot generation by ICR-AES and ICPMS. Ph.D. Dissertation (unpublished), Korea University 

  21. Smedley; P.L. and Kinniburgh, D.G. (2002)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Applied Geochemistry; v. 17, p. 517-568 

  22. Sracek, O., Bhattacharya, P., Jacks, G., Gustafsson, J.-P. and von Bromssen, M. (2004) Behavior of arsenic and geochemical modeling of arsenic enrichment in aqueous environments. Applied Geochemistry; v. 19, p. 169-180 

  23. USEPA (accessed in jun 2006)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CASRN 7440-38-2 

  24. WHO, (1993)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Vol.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5. Woo, N.C. and Choi, M.J, (2001) Arsenic and metal contamination of water resources from mining wastes in Korea. Environmental Geology, v. 40, p. 305-311 

  26. Yun, Y., Cho, B.W. and Sung, K.Y. (2004) Occurrence and species of arsenic in the groundwater of Ulsan area, Econ. Environ. Geol., v. 37(6), p. 657-6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