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in Sasang Industrial Area,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no.6, 2006년, pp.753 - 770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김광성 (학산여자중학교) ,  이정환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정재열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  성익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장성 (한국농촌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지역에서 지하수오염은 도시화에 따른 토지용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철강, 기계 및 신발공장들이 밀집되어 있는 부산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수질과 오염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부산시는 우리나라의 대도시 중에서 가장 높은 지하수 이용를을 보이고 있다. $K^+,\;Na^+,\;Ca^{2+},\;Mg^{2+},\;Cl^-,\;SO_4^{2-},\;HCO_3^-$, 전기전도도(EC), 총용존물질(TDS) 그리고 염분농도는 낙동강에 가까운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퇴적 당시 해안퇴적층에 들어온 염분의 영향이 아직까지 이 지역 지하수 수질에 미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대표적인 지하수 수질형인 Ca-Cl형은 본 연구지역의 지하수가 인위적인 오염뿐만 아니라 퇴적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시한다. $SiO_2$ 이온은 물-규산염광물 작용과 콘크리트의 분해 산물로 해석된다. TCE는 총 18개소 중 12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며, PCE는 4개소 그리고 TCA는 3개소에서 검출되었다. 요인분석에 의하면, 요인 1의 설명율은 49.8%, 요인2는 19.8% 그리고 요인 3은 11.0%이다. 요인 1에 높은 정의 적재율을 보이는 성분은 pH, TDS, 염분농도, $Ca^{2+},\;K^+,\;Mg^{2+},\;Na^+,\;Al^{3+},\;As^{3+},\;Cl^-,\;Fe^{2+}$으로서 이들은 공단의 특성과 염분의 영향을 동시에 대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분석과 성분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낙동강변과 같이 해안퇴적층이 분포하여 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Na^+,\;Ca^{2+},\;Cl^-,\;SO_4^{2-}\;K^+,\;Mg^{2+}$의 농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장천의 하류에서는 염수의 영향과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urban areas, groundwater pollution is heavily affected by urbanization with land use types.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in Sasang industrial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where metalworking, machinery and footwear factories are located. Busan Metropolit...

주제어

참고문헌 (40)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부산지역 지하수 기초 조사. p. 10-23 

  2. 김남진,윤성택,김형수,정경문,김규범 (2001) 지구통계 기법을 활용한 울진 지역 천부 지하수의 수질 및 수리 지구화학 특성 해석. 자원환경지질, 34(2), p. 175-192 

  3. 김동학,황재하,박기화,송교영 (1998) 부산 지질도폭 설명서. 과학기술부,62p 

  4. 김윤영,이강근,정상용,권해우 (1997)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및 그 주변의 지히수 수리시스템 분석. 지하수 환경, 4(4), p. 191-198 

  5. 박석기,안승구,엄석원 (1996) 해설 먹는물의 수질관리-약수,생수,먹는물 및 먹는샘물. 도서출판 동화기술, 228p 

  6. 성익환,조병욱,이병대,지세정,류충렬,김통권,윤욱,이봉주,임현철,이종철,이병태,김경구,성기성,이인호,추창오,김정숙,김문수,최경국,함세영,최광선,김인수,조명희,심형수,원지훈,정상용,박희영,강동환,심병완,김병우 (1999) 지하수 오염방지 및 음용화 기술 연구(부산지역). 한국자원연구소,541p 

  7. 세창지질콘설탄트 (1990) 지질조사보고서 

  8. 심형수,함세영,성익환,이병대,조병욱,황진연 (2000) 부산 해운대지역 지하수와 지열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권, p. 241-252 

  9. 이병선,우남칠 (2003) 수자원의 수질과 오염에 대한 기반 암의 영향 연구: 통계학적 접근. 자원환경지질, 36권, p. 415-429 

  10. 이효민,황진연,진치섭 (2003) 해안지역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 현상과 이에 수반되는 이차광물의 형성 특정. 자원환경지질,36권, p. 365-374 

  11. 정상용,강동환,박희영, 심병완 (2000) 부산지역 지하수 오염현황 분석을 위한 지구통계 기법의 응용. 지질공학,10권, p. 247-261 

  12. 정상용,권해우,이강근,김윤영 (1997)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일원의 수질 환경. 지하수환경,4권, p. 175184 

  13. 한정상 (1998) 지하수환경과 오염. 박영사, 1071p 

  14. 함세영, 조명희,성익환,김정숙,이병대,조병욱,한석종 (1999) 부산 북서부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 수처리기술,7권, p. 57-68 

  15. 함세영,조명희,황진연,김진섭,성익환,이병대 (2000) 부산 금정산-백양산 일대 용천수,지하수 및 지열수의 지화학적 특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9권, p. 229-239 

  16. Appelo, C.A.J. and Postma, D. (1999) Geochemistry, groundwater and pollution. A.A. Balkema,Rotterdam,535p 

  17. Appleyard, S. (1995)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on recharge and groundwater quality in a coastal aquifer near Perth,Western Australia. Hydrogeology J., v. 3, p. 65-75 

  18. Boggs, S., Jr. (2001) Principles of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3rd ed., Prentice Hall, 726p 

  19. Bruce, B.W. and McMahon, P.B. (1996) Shallow groundwater quality beneath a major urban center: Denver, Colorado, USA. J. Hydrology, v. 186, p. 129-151 

  20. Cho, B.-W. (2001)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Busan Area, Korea. Theis of Ph.D.,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164p 

  21. Clark, I. and Fritz, P. (1997)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logy. Lewis Publishers, 328p 

  22. Colby, N.D. (1993) The use of 2-way cluster analysis as a tool for delineating trends in hydrogeologic units and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In 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 (IGWMC), Proceedings of the 1993 Ground Water Modeling Conference, Golden, Colorado, p. 91-100 

  23. Collin, M.L. and Melloul, A.J. (2003) Assessing groundwater vulnerability to pollution to promote sustainable urban and rural development. J. Cleaner Production, v. 11, p. 727-736 

  24. Davis, J.C. (2002)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3rd ed., John Wiley & Sons, 638p 

  25. Davis, S.N. and DeWiest, R.J,M. (1991) Hydrogeology. 2nd ed., Krieger Publishing Co., 476p 

  26. Eby, G.N. (2004)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hemistry, Brooks/Cole-Thomson Learning, Pacific Grove, CA, 514p 

  27. Greenberg, A.E, Clesceri, L.S., and Eaton, A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010p 

  28.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54, 263p 

  29. Hong, Y-S. and Rosen, M.R. (2001) Intelligent characterisation and diagnosis of the groundwater quality in an urban fractured-rock aquifer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rban Water. v. 3, p. 193-204 

  30. Jeong, C.H. (2001) Effect of land use and urbanization on hydrochemistry and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Taejon area, Korea. J. Hydrology, v. 253, p. 194-210 

  31. Joreskog, K.G., KIovan, J.E., and Reyment, R.A. (1976) Geological factor analysi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Oxford, New York, 178p 

  32. Keller, E.A. (2000) Environmental geology. 8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562p 

  33. Lawrence, F.W. and Upchrch, S.B. (1982) Identification of recharge area using geochemical factor analysis. Ground Water, v. 20, p. 680-687 

  34. McCall, G.J.H., Mulder, E.F.J., and Marker, B.R. (1996) Urban geoscience.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273p 

  35. Nordstrom, D.K, Ball, J.W., Donahoe, R.J., and Whittemore, D. (1989) Groundwater chemistry and waterrock interactions at Stripa. Geochim. Cosmochim. Acta. v. 53, p. 1727-1740 

  36. Saether, O.M. and De Caritat, P. (1997) Geochemical processes, weathering and groundwater recharge in catchments.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400p 

  37. SAS (1995)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38. Suk, H. and Lee, K.-K. (1999) Caracterization of a ground water hydrochemical system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clustering into ground water zones. Ground Water, v. 37, p. 358-366 

  39. Todd, D.K and Mays, L.W. (2005) Groundwater hydrology. 3rd ed., John Wiley & Sons, Inc., 636p 

  40. van der Leeden, E, Troise, F.L., and Todd, D.K (1990) The water encyclopedia. 2nd ed., Lewis Publishers, 808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