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around Natural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8 no.4, 2006년, pp.260 - 269  

조규남 (국립공원관리공단) ,  김덕성 (국립공원관리공단) ,  조민기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정혜란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리산국립공원내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교목층과 관목층은 각각 유평 지역 16종과 11종, 중산리 지역 14종과 16종, 하동 지역 10종과 13종 그리고 백무동 지역은 19종과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평, 중산리,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교목층은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나 하동 지역은 소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평, 중산리, 하동과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초본층은 각각 70종, 53종, 65종, 5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 $0.752{\sim}1.162$, 아교목층 $0.957{\sim}1.085$, 관목층 $1.283{\sim}1.506$ 범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조성되어 있는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의 균재도는 전층에서 0.752에서 0.98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n nature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e trails in Yupyeong, Jungsanri, Hadong and Baekmudong districts was research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The tree and subt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내에 지정 . 운영되고 있는 주요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친환경적인 산림관리와 생태교육적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로 지리산 국립 공원 내 유평, 중산리, 하동, 백무동 지역 자연관찰로 주변의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교목층과 관목층은 각각유평 지역 16종과 11종, 중산리 지역 14종과 16종, 하동 지역 10종과 13종 그리고 백무동 지역은 19종과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rbour, M. G., J. H Burk, and W. D. Pitt,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155-229 

  2. Braun-Blanquet, J., 1964: Pjlanzensozilogie Grubdzuge der Vegetation 3. Springer-Verlag, New York, 865pp 

  3.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194pp 

  4. Causton, D. R., 1988: Introduction to Vegetation Analysis. Unwin Hyman Ltd., London, 107-256 

  5. Cho, W, 2000: Remedial devices and operation status on the nature trial in national parks in Korea. Korea Institute ofLandscape Architecture 28, 1-14 

  6.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7. Kim, S. O., S. C. Chin, and C. J. Oh, 2002: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acuta forest at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781-792 

  8. Krebs, C. J., 1985: Ecology. Haber & Row, Publishers, Inc, 3-14 

  9. Odum, E. 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10. Park, P. S., J. I. Song, M. P, Kim, and H. K. Park, 2006: Stand structure change in different aged stands along altitudinal gradients in the western part of Mt. Chi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 102-112 

  11. Park, W.K., and K. Y.Ahn, 1998: Selection of the important evaluation items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ices of housing estat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 225-236 

  12. Shannon, C.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13. Shin, K. H., 2006: Analysis of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distribution using DEM in Jiri-mountain national park,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3,85-95 

  14. Song, Y. H., and C. W. Yun, 2006: Community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 29-40 

  15. Whittaker, R. 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59 

  16. Yanai, R. D., M. J. Twery, and S. L. Stout, 1998: Woody understory response to changes in overstory density: thinning in Allegheny hardwoo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2, 45-60 

  17.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자연학습탐방로 조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328pp 

  18.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 지리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84-201 

  19. 이경준, 한상섭, 김지홍, 김은식, 1996: 산림생태학. 향문사, 180-2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