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재배지의 식물기생선충 분포조사 및 뿌리썩이선층의 ITS와 D3-28S rDNA 특성조사
Occurren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hrysanthemum and ITS and D3-28S rDNA Characterization of Pratylenchus spp.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5 no.3 = no.144, 2006년, pp.293 - 299  

한혜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이재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해충과) ,  최동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한만종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박병용 (작물과학원 인삼약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5월부터 6월까지 국내 주요 국화재배 포장에서 총 50개 토양시료를 채집하여 식물기생선충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의 포장발생률이 86%로 대부분의 포장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였고, 밀도는 토양 200 cc와 뿌리 1g에서 평균 1,095마리가 검출되었다.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무안', '구미', '태안', '정읍', '마산' 등 5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의 뿌리썩이선충을 대상으로 ITS와 D3-28S rDNA의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PCR 결과 증폭된 ITS는 '무안'의 경우 1 kb 크기로 나타났고, 그 외의 다른 지역의 뿌리썩이선충에서는 0.8 kb로서 약 200 bp가량의 차이가 있었다. D3-28S rDNA의 PCR 결과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약 320 bp로 일정한 크기의 gene이 증폭되었으며, 증폭된 DNA는 sequencer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정보를 얻었다. 얻어진 각 isolate의 D3 염기서열 정보는 DNASTAR 분석 소프트웨어의 MegAl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및 phylogenetic tree를 형성하였다. 분석 결과 '구미'와 '태안' isolate의 D3 염기서열은 100% 일치하였고, '정읍' isolate는 이들 isolate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세 isolate는 Pratylenchus vulnus와 근연종임이 확인되었는데, '구미', '태안'은 96.7%, '정읍'은 96.3%의 유사성을 각 나타내었다. 한편, '마산' isolate는 P. penetrans와 100% 일치됨을 나타내었고, '무안' isolate는 P. brachyurus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hylogenetic tree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jor plant parasitic nematode in Chrysanthemum morifolium fields in Korea from May to June in 2005. A genus of Pratylenchus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plant parasitic nematode based on analysis of total 50 samples from 8 cities of chrysanthemum fie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국화 시설재배지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기생선충 상을 조사하고 그 중에서도 대표 종이라고 할 수 있는 뿌리썩이선충의 지역별 대표 군들을 선정하여 ITS-1과 28S 라이보좀 DNA 특징들을 이용하여 뿌리썩이선충의 분자생물학적인 종 동정법에 활용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Valencia, CA)를 이용하여 뿌리썩이선충 암컷 한 마리로부터 전체 genomic DNA를 분리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 순서와 같다 1) 뿌리나 토양W서 분리된 선충은 일차적으로 살균 수에 여러번 헹구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2) 그런 다음 ATL buffer, 180 니1와 proteinase K, 20 ul를 섞은 용액을 microcentrifUge tube에 넣고 현미경하에서 건져 올린 선충을 옮긴다 3) 선충이 옮겨진 tube는 55℃ 항온수조에서 3시간 incubation 한다. 4) AL buffer, 200 ul를첨가하여 다시 70℃에서 10분간 incubation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costa, N. and R. B. Malek. 1981. Sympomatology and histopathology of soybean roots infected by Pratylenchus scribneri and P. alieni. J. Nematol. 12: 6-12 

  2. Al-Banna, L., A. T. Ploeg, V. M. Williamson, and I. Kaloshian. 2004. Discrimination of six Pratylenchus species using PCR and species-specific primers. J. Nematol. 36: 142-146 

  3. Al-Banna, L., V. Williamson, and S. L. Gardner. 1997. Phylogenetic analysis of nematodes of the genus Pratylenchus using nuclear 26S rDNA. Mol. Phylogenet. Evol. 8: 249-259 

  4. Baldwin, J. G., L. M. Ferris, J. T. Vida, C. D. Eddleman, and W. K. Thomas. 1997. An evolutionary framework for the study of developmental evolution in a set of nematodes related to Canorhabditis elegans. Mol. Phylogenet. Evol. 8: 249-259 

  5. Choi, D. R., Y. M. Choi and S. C. Han. 1992. Effect of Praty-lenchus coffeae on Growth of Gebera. The Research Report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 Vol. 34: 85-90 

  6.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http:// www.chungnam.rda. go.kr/chrysan/newhome/new/NEW.html 

  7. Duncan, L. W., R. N. Inserra, W. K. Thomas, D. Dunn, I. Mustika, L. M. Frisse, M. L. Mendes, K. Morris, and D. T. Kaplan. 1999.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isolates of Pratylenchus coffeae and closely related species Nematropica 29: 61-76 

  8. Ferris, V. R., J. M. Ferris, and J. Faghihi. 1993. Variation in spacer ribosomal DNA in some cyst-forminng species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Fundam. Appl. Nematol. 16: 177-184 

  9. Handoo, Z. A., and A. M. Golden. 1989. A key and diagnostic compendium to the species of the genus Pratylenchus Filipjev, 1936 (Lesion Nematodes). J. Nematol. 21: 202-218 

  10. Handoo, Z. A., L. K. Carta, and A. M. Skantar. 2001.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ratylenchus arlingtoni n. sp., P. convallariae and P. fallax (Nematoda: Pratylenchidae). Nematology 3: 607-618 

  11. Hooper, D. J. 1990. Extraction and processing of plant and soil nematodes. pp. 45-68. In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ubtropical and tropical agricultureL. ed. by L. Luc 629 pp. CABI, Wallingford, UK 

  12. Kim, Young Jin. 1989. Nematodes associated with ornamental plants in Korea. Thesis on Doctor's degre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 1-93 

  13. Kumi Cooperation. http://www.kumlcorp.com/indust04.php 

  14. Loof, P. A. A. 1978. The genus Pratylenchus filipjev, 1936 (Nematoda: Pratylenchudae): A review of its anatomy, morphology, distribution, systematics, and identifi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Swi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 Uppsala, Sweden 

  15. Loof, P. A. A. 1978. The family Pratylenchenchidae Thorne, 1949. pp. 363-461. In Manual of agricultural nematology. ed by W. R. Nickle. 1,035 pp. MARCEL DEKKER, INC. New York 

  16. Orui, Y. 1996. Discrimination of the main Pratylenchus species (Nematoda:Pratylenchidae) in Japan by PCR-RFLP analysis. Appl. Entomol. Zool. 31: 505-514 

  17. Park, Byeong-Yong. 1996. Taxonomical study of Pratylenchus spp. in Korea. Thesis on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 1-49 

  18. Roos, M. H., and W. N. Grant. 1993. Species-specific PCR for the parasitic nematods Haemonchus contorus and Trichostrongylus colubriformus. Int. J. Parasitol. 23: 419-421 

  19. Uehara, T. T. Mizukubo, A. Kushida, and Y. Momota. 1998. Identification of Pratylenchus coffeae and P. loosi using specific primers for PCR amplification of ribosomal DNA. Nematologica 44: 357-368 

  20. Waeyenberge, L., A. Ryss, M. Moens, L. Pinochet, and T. C. Vrain. 2000.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18 Pratylenchus species using r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Nematology 2: 135-142 

  21. Williamson, V. M., E. P. Caswell-Chen, B. B. Westerdahl, F. F. Wu, and G. Caryl. 1997. A PCR assay to identify and distinguish single juveniles of Meloidogyne hapla and M. chitwoodi. J. Nematol. 29: 9-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