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후빙기 식생 변천사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29 no.6, 2006년, pp.573 - 580  

장병오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최기룡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서해안 중부 지역의 식생 변천사 규명을 위해 천리포 수목원 퇴적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 화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9,300 yr BP 이후 현재까지 식생 변천사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바닥층부터 표층까지 4개의 주요한 화분대가 설정되었다. : Zone CHL-I, Quercus stage(ca. 9,300$\sim$6,200 yr BP); zone CHL- II, Quercus-Pinus stage(ca. 6,200$\sim$4,600 y BP): zone CHL-III, Pinus-Quercus stage(ca. 4,600$\sim$1,160 yr BP); zone CHL-IV, Pinus stage(ca. 1,160 yr BP-present). 홀로세초기 약9,000$\sim$B,500 yrBP동안 한랭한 기후의 영향으로 냉온대 북부/고산지형 침엽-낙엽혼합림의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 8,500$\sim$6,000 yr BP 동안 Quercus를 중심으로 한 냉온대 중부/산지형 낙엽활엽수림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식생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식생형의 완성 시기는 약 6,500 y BP 전후로 판단된다. 천리포 수목원 주변에 Pinus가 생육하기 시작한 시기는 약 5,700 yr BP 이후로 사료된다. 약 1,100 yr BP 이후 Pinus의 증가와 비수목화분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인간의 간섭에 의한 식생 ,변화로 보인다. 염습지의 주요한 표징종인 Chenopo-diaceae화분 동태를 통하여 염습지에서 담수호로 변화한 시기는 약 6,500 yr BP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diment core from the Cheollipo arboretum ($36^{\circ}$ 47' 57'N, $126^{\circ}$ 09' 04') was studied for pollen analysis in order to reconstruct postglacial vegetational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cord sh...

주제어

참고문헌 (22)

  1. 박인근. 1990. 천리포 수목원의 이탄의 화분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3: 311-320 

  2. 오지영. 1971. 평택지구 토탄의 화분분석. 한국식물학회지 14: 126-133 

  3. 이명석, 유강민. 2001. 제4기 후기 황해 주변부의 식생 변화에 따른 화분기록과 기후 변화. 한국지질학회지 37: 365-374 

  4. 장정희, 김준민. 1982. 영랑호, 월함지 및 방어진의 제4기 이후의 식피의 변천. 식물학회지 25: 37-53 

  5. 최기룡. 1993. 중부지방 저지의 식생사와 인간간섭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연구보고서 12: 31-36 

  6. 최기룡. 1997. 한반도 후빙기 식생 변천사. 자연보존 100: 28-33 

  7. 최기룡. 2001. 무제치늪 화분분석연구. 한국제4기학회지 1: 13-20 

  8. 최기룡, 김기헌, 김종원, 김종찬, 이기길, 양동윤, 남욱현. 2005. 영산강유역 범람원 화분분석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8: 37-43 

  9. An CB, Feng Z, Tang L. 2004. Environmental change and cultural response between 8,000 and 4,000 cal. yr BP in the western Loess Plateau, northwest China. J Qua Sci 19: 529-534 

  10. An Z, Porter SC, Kutzbach JE, Xihao W, Suming W, Xiaodong L, Xiaoqiang L, Weijian Z. 2000. Asynchronous Holocene optimum of the East Asian monsoon. Quat Sci Rev 19: 743-762 

  11. Erdtman G. 1960. The acetolysis method. Sovensk botanist tidskrift. 54: 561-564 

  12. Fujiki T, Yasuda Y. 2004.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Quat Internat 123- 125: 63-69 

  13. Ji S, Xingqi L, Sumin W, Matsumoto R. 2005. Palaeoclimatic changes in the Qinghai Lake area during the last 18,000 years. Quat Internat 136: 131-140 

  14. Jian Z, Wang P, Saito Y, Wang J, PLaumann U, Oba T, Cheng X. 2000. Holocene variability of the Kuroshio Current in the Okinawa Trough, northwestern Pacific Ocean. Earth Planetary Sci Let 184: 305-319 

  15. Kim JM, Kennett JP. 1998. Paleoenvironment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Holocene marine transgression, Yellow Sea (Hwanghae). Marine Micropaleontol 34: 71-89 

  16. Lim J, Matsumoto E, Kitagawa H. 2005. Eolian quartz flux variations in Cheju Island, Korea, during the last 6,500 yr and a possible Sunmonsoon linkage. Quat Res 64: 12-20 

  17. Mayewski PA, Rohling EE, Stager JC, Karlen W, Maasch KA, Meeker LD, Meyerson EA, Gasse F, van Kreveld S, Holmgren K, Lee- Thorp J, Rosqvist G, Rack F, Staubwasser M, Schneider RR, Steig EJ. 2004. Holocene climate variability. Quat Res 62: 243-255 

  18. Morrill C, Overpeck JT, Cole JE. 2003. A synthesis of abrupt changes in the Asian summer monsoon since the last deglaciation. The Holocene 13: 465-476 

  19. Yamazaki T. 1940. Beitrage zur verwandlung der Baunarten imsudlichen Teile von Korea durch die Pollenanalyse. Japanese Forest Soc22: 17-29 (in Japanese) 

  20. Yasuda Y, Tsukada M, Kim JM, Lee ST, Yim YJ. 1980. The environment changes and the agriculture origin in Korea.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Overseas Research Reports. pp. 1-19 (in Japanese) 

  21. Yi MS, Kim JM, Kim JW, Oh JH. 1996. Holocene pollen records of vegetation history and inferred climatic changes in a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J Paeont Soc Korea 12: 105-114 

  22. Yim YJ,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