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 종류의 조경수의 조직 수분 관계 비교
Comparison of Tissue Water Relation Parameters in Three Gardening Tree Species 원문보기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29 no.6, 2006년, pp.581 - 584  

박용목 (청주대학교 이공대학 생명유전통계학부 생명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냉온대림의 주요 구성종으로 산지에도 분포하며 정원수로도 식재되고 있는 느티나무와 자작나무 그리고 미국에서 도입되어 조경수로 많이 활용되는 백합나무에서 내건성과 관련한 식물의 조직 수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한계원형질분리가 일어나는 점에서의 삼투포텐셜은 느티나무에서 -2.54 MPa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백합나무에서 -2.03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잎의 수분포텐셜 변화에 대한 압력 포텐셜의 변화에서도 느티나무가 가장 논은 압력포텐셜을 유지하였다. 세포의 자유수 함량 저하에 대한 압력포텐셜 변화 곡선은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패턴의 곡선을 나타내었지만 세포의 자유수 감소 시, 느티나무와 자작나무는 백합나무보다 높은 압력포텐셜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이들 세 종 중에서는 백합나무가 내건성이 가장 낮았으며, 느티나무는 다른 두 종에 비해 내건성이 가장 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issue water relation parameters were compared to assess the resistance of representative three gardening tree species to water stress. Zelkova serrata showed a strong resistant characteristics to water stress compared to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Liriodendron turipifera. Turgor pr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도시의 기온을 낮추기 위한 숲의 조성이나 조경수의 육종 및 식림의 입지 선정을 위해서는 이들 조경수에 대한 수분 관계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연구에서는 냉온대 림의 주요 구성종으로 산지에 폭넓게 분포하며, 조경수로 이용되고 있는 느티나무(Ze«祯a serrata Makino)와 자작나무(Be诚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그리고 미국에서 도입되어 조경수로 많은 애호를 받고 있는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를 재료로 하여 각종의 내건 성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임목육종과 적지 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기호, 김수봉, 정응호. 2004.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3: 527-535 

  2. 김수봉, 정응호, 김기호. 2006.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모 자이크 현황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5: 325-332 

  3. 류근옥, 장석성, 최완용, 김홍은. 2003. 우리나라에 식재한 백합나무의 적응력과 생장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2: 515-525 

  4. 손석규, 문흥규, 김용욱, 김지아. 2005. 백합나무 체세포 배 발생에 미치는 모수 및 암배양 효과. 한국임학회지 94: 39-44 

  5. 심경구, 하유미, 이종구. 2000. 교목성 나무박태기의 조경수 이용을 위한 특성 및 번식방법. 한국원예과학기술지 18: 740-748 

  6. 안지숙, 김해동. 2006. 대구지역의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열섬강도의 계절별 변화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 527-532 

  7. 유근옥, 김홍은. 2003. 백합나무 양묘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2: 236-245 

  8. 윤웅한. 2001. 녹지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 풍속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187-196 

  9. 이재순, 문흥규, 김용욱. 2003. 체세포 배 발생에 의한 백합나무의 대량 증식. 한국식물생명공학회지 30: 359-363 

  10. 이정웅. 2002. 도시열섬현상; 숲을 통한 기온저감 사례 -대구광역시 사례-. 도시문제 37: 47-57 

  11. 이준복, 심경구, 노의래, 하유미. 1998. 조경수 이용을 위한 자생 팥배나무의 생태 및 생육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 229-239 

  12. 한상섭. 1991. 수목의 수분특성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VI). -P-V 곡선법에 의한 활엽수 20종의 내건성 진단. 한국임학회지 80: 210-219 

  13. 한영호, 김보현, 이동인. 1993. 부산지역 도심지의 열섬현상과 기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9: 205-216 

  14. Boyer JS. 1970. Leaf enlargement and metabolic rates in corn, soybean, and sunflower at various leaf water potentials. Plant Physiol 46: 233-235 

  15. Chapin FS, Bloom AJ, Field CB, Waring RH. 1987. Plant resposes to multiple environmental factors. BioScience 37: 49-57 

  16. Clifford SC, Arndt SK, Corlett JE, Joshi S, Sankhla N, Popp M, Jones HG. 1998. The role of solute accumulation, osmotic adjustment and changes in cell wall elasticity in drought tolerance in Ziziphus mauritiana (Lamk.). J Expt Bot 49: 967-977 

  17. Fan S, Blake TJ, Blumwald E. 1994.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lastic and osmotic adjustments to turgor maintenance in conditions. woody species. Physiol Plant 90: 408-413 

  18. Fischer RA, Turner NC. 1978. Plant production in the arid and semiarid zones. Ann Rev Pl Physiol 29: 277-317 

  19. Hsiao TC. 1973. Plant responses to water stress. Annu Rev Plant Physiol 24: 519-570 

  20. Hinckley TM, Lassoie JP, Running SW. 1978.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water relations of forest trees. For Sci Monogr 20: 1-72 

  21. Kawano S. 1990. Biological Approaches and Evolutionary Trends in Plants. London, Academic Press 

  22. Nunes MA, Catarino F, Pinto E. 1989. Strategies for acclimation to seasonal drought in Ceratonia siliqualeaves. Physiol Pl 77: 150-156 

  23. Maruyama Y, Morikawa Y. 1983. Method of leaf water relations characteristics using P-V relationship. Jap For 65: 23-28. (in Japanese) 

  24. Osonubi O, Davies WJ. 1981. Root growth and water relations of Oak and Birch seedlings. Oecologia 51: 343-350 

  25. Schulze ED, Robichaux RH, Grace J, Rundel PW, Ehleringer JR. 1987. Plant water balance. - In diverse habitats, where water often is scare, plants display a variety of mechanisms for managing this essential resource . BioScience 37: 30-37 

  26. Turner NC, Hones MM. 1980. Turgor maintenance by osmotic adjustment: A review and evlauation. In: Adaptation of Plants to Water and High Temperature Stress, (Turner NC, Kramer PJ ed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87-103 

  27. Wong CS. 1978. Atmospheric input of carbon dioxide from burning wood. Science 200: 197-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