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의 지렁이 및 토양 미생물과 작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fosinate-Ammonium to Earthworms, Soil Microorganisms and Crop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0 no.2, 2006년, pp.76 - 83  

김용석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안전성평가센터) ,  전용배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안전성평가센터) ,  최해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김성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김성민 (바이엘 크롭 사이언스(주)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선택성 제초제인 glufosinate-ammonium(ammonium 4-[hydroxy-(methyl)phosphinoyl]-DL-homoalaninate, GLA, 상표명 : 바스타 액제)의 비표적생물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렁이와 토양미생물 및 작물에 대한 영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토양 중 GLA 및 그 대사산물인 3-MPP의 잔류성을 시험하였다. 토양중 지렁이에 대한 영향시험 결과 GLA가 288 mg a.i. $m^{-2}$ 약량으로 처리된 토양 중 지렁이의 치사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약제처리 후 시험기간 동안 지렁이 생체 중 또한 무처리에서 $9.076{\pm}0.55$ g에 비해 토양 표면처리구는 $8.046{\pm}0.37$ g, 토양혼화처리에서 $8.349{\pm}0.785$ g 으로서 체중증가율에서 GLA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토양 미생물에 대한 영향시험 결과 진균, 세균 및 방선균의 균수는 무처리구에서 각각 $3.7{\times}10^4$, $3.7{\times}10^5$, $3.7{\times}10^4$이었으며 144 mg a.i $m^{-2}$의 약량으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진균은 $6.2{\times}10^4$, 세균은 $1.5{\times}10^6$, 방선균은 $5.7{\times}10^4$으로 무처리구와 같이 약제처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미생물수의 변화정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에 처리된 GLA와 3-MPP의 잔류분석결과 검출한계는 두 화합물 모두 0.02 mg $kg^{-1}$이었으며 반감기는 사질식양토에서 30일 간격으로 2회 처리 시 15일이었다. 한편 감자밭과 배추밭의 고랑에 GLA를 처리한 후 두 작물의 생엽 중 카로티노이드 등의 생리생화학적 성분은 손제초구를 100%로 하여 비교해 본 결과 감자에서 $90.00{\sim}104.33%$이었으며 배추에서는 $99.0{\sim}112.67%$로 약제처리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GLA는 지렁이와 토양 미생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토양 중 반감기도 15일 이내로 토양 중에 노출 시 매우 신속하게 분해 소실되어 그 위해성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며, 작물 재배지에서 밭고랑의 잡초 방제를 위해 비산방지 기구를 이용하여 살포할 경우에는 재배 작물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non-selective herbicide, glufosinate-ammonium (ammonium 4-[hydroxy(methyl)phosphinoyl] -DL-homoalaninate, GLA) to the non-target organisms, earthworm was exposed to GLA in the field soil for a month,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the soil were investigated af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glufosinate-ammonium의 토양생태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효성분이 18% 함유된 제품농약을 사용하여 토양처리 시 토양서식 지렁이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 또한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토양 중 GLA와 그 대사산물에 대한 잔류특성을 구명하고또한 실제 작물재배지에서 GLA를 밭고랑에 처리한 다음 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비표적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생엽의 생리생화학적 성분 분석을 통하여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tsch, K. and C. C. Tebbe (1989) Initial steps in the degradation of phosphinothricin (glufosinate) by soil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5:711-716 

  2. Bayer Crop Science (1999) Documents of technical information; Non-selective herbicide, glufosinate-annnonium 

  3.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3) The pesticide manual, 13th ed 

  4. Behrendt, H., M. Matthies, H. Gildemeister and G. Gorlitz (1990) Leaching and transformation of glufosinate-annnonium and its main metabolite in a layered soil column. Environ. Toxicol. Chem. 9:541-549 

  5. Bradfo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248-256 

  6. Gallina, M. A. and G. R. Stephenson (1992) Dissipation of [ $^{14}C$ ]glufosinate-ammoniumon two Ontario soils, J. Agric. Food Chem. 40:165-168 

  7. Marvin J. F., R. S. Gerald and G. T. Thompson (1997) Persistence and leachability of glufosinate-annnonium in a northern Ontario terrestrial environment. J. Agric. Food Chem. 45:3672-3676 

  8. Matsumura, F. and C. R. K. Murti (1982) Factors influencing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Biodegradation of pesticides. Plenum Press, New York, USA, p.103 

  9. Moore, S. (1968) Amino acid analysis; aqueous dimethyl sulfoxide as solvent for the ninhydrin reaction. J. BioI. Chem. 243:6218-6283 

  10. OECD (1984)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 207. Earthworm, acute toxicity test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11. Research Association of Soil Microbiology (1992) Laboratory methods of soil microorganism. pp.379-399 

  12. Sheppard, S., J. Bembridge, M. HoImstrup and L. Posthuma (1997) Advances in earthworm ecotoxicology. VIII, SETAC 

  13. Smith, A. E. (1989) Transformation of the herbicide [ $^{14}C$ ]glufosinate-ammoniwn in soils, J. Agric. Food Chem. 37:267-271 

  14. Spiro, R. G. (1966) Analysis of sugars found in glycoproteins, Methods Enzymol. 8:3-26 

  15. White, R. C., I. D. Jones, G. Eleanor (199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pheophytins and pheophorbides in plant material, J. Food Sci. 28:431-439 

  16. Yun, S. Y. and D. D. Joung (2001) Effects of TLB microbial fertilizer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flora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o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MAKINO). Korean J. Soil Fert. 34(1):8-16 

  17. 김종배 (1997) 두충잎의 성장 시기에 따른 주요성분의 변화 및 생리활성 작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농약공업협회 (2005a) 농약사용지침서 

  19. 농약공업협회 (2005b) 농약연보 

  20. 농촌진흥청 (1992) 농약잔류성시험법. 농약연구총설-3. pp.251-254 

  21. 농촌진흥청 (2001) 농약관리법령고시예규집. pp.237-239 

  22. 박경훈, 박연기, 주진복, 경기성, 신진섭, 김찬섭, 박병준, 엄재열 (2003) 농약의 지렁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7(4):280-287 

  23. 이인용, 박재읍, 박태선, 임순택, 문병철 (2001) 논, 밭 및 과원제초제의 농가사용 실태. 한국잡초학회지 21(1):58-64 

  24. 한국환경농학회 (2001) 농업환경. pp.190-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