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토광물에 의한 중금속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on Clay Mineral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28 no.7, 2006년, pp.704 - 712  

문정호 (한밭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김태진 (한밭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최충호 (한밭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김철규 (한밭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점토광물의 흡착에 의한 $Al^{3+}$, $Cu^{2+}$, $Mn^{2+}$, $Pb^{2+}$$Zn^{2+}$와 같은 중금속 제거특성을 고찰하였다. 흡착제로는 원료 벤토나이트와 본 연구과정에서 제조한 칼슘 및 나트륨형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계 광물인 KSF와 K10을 사용하였다. 이들 다섯 가지 점토광물의 조성은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중금속의 농도는 IC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각 점토광물의 양이온교환능력과 전하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흡착평형은 약 $1{\sim}2$시간 후에 도달하였다. $Na^+$ 치환형 벤토나이트는 $Mn^{2+}$을 제외한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최고 98% 이상의 높은 흡착효율을 나타내었으며 $Mn^{2+}$에 대해서는 최고 66%의 흡착효율을 보였다. KSF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Al^{3+}$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Pb^{2+}$$Zn^{2+}$은 산성을 띠고 있는 KSF에 의하여 각각 최고 88%와 59%의 흡착효율을 나타냄으로써 수소이온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중금속의 초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효율은 감소하고 흡착능(흡착용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a^+$ 치환형 벤토나이트의 중금속 흡착능은 농도에 따라 $1.3{\sim}19$ mg/g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다. 흡착제 1 g당 각 중금속들의 흡착량은 $Na^+$ 치환형 벤토나이트$\gg$원료 벤토나이트$\approx$K10>$Ca^{2+}$ 치환형 벤토나이트$\gg$KSF의 순서로 나타났다. 프런들리히 흡착등온선으로부터 K와 1/n값을 계산한 결과, $Na^+$ 치환형 벤토나이트의 K값이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1/n은 $0.2{\sim}0.39$ 범위로 나타나 중금속 흡착에 가장 적합한 점토광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흡착능은 Al>Cu>Pb>Zn>Mn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of heavy metals, such as $Al^{3+}$, $Cu^{2+}$, $Mn^{2+}$, $Pb^{2+}$ and $Zn^{2+}$, by adsorption on clay minerals. Bentonite(Raw-Bentonite), $Ca^{2+}$ and $Na^+$ ion ex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흡착매로, Pb?+과 Zn좌을 흡착질로 사용하였고 흡착 시간 및 농도에 따른 초기농도에 대한 잔여 중금속 농도의 비율로 흡착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시간 이후부터 잔여농도 비율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흡착평형에 소요되는 시간을 충분히 평형에 도달할 수 있도록 2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중금속의 농도를 10-100 mg/L범위로 조절하였다.
  • 1 N-NaOH 용액을 가하여 혼합 중금속용액의 pH를 5로 조절하였다. 300 mL 의 삼각 플라스크에 제조한 혼합 중금속용액을 농도별로 분 취하여 200 mL씩 넣은 후 Table 1에 나타낸 5종의 점토 광물들을 1 g씩 정밀히 평량하여 일정하게 투여하였다.
  • 5종의 점토광물들에 대한 중금속 이온 흡착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농도가 1000 mg/L인 단일종 금속질산염계 시료를 희석하여 Al3+, Cu2+, Mn2+, Pb2+ 및 Zrf+을 모두 함유하는 혼합 수용액을 10-100 mg/L범위로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혼합된 표준 중금속 이온 수용액에 0.
  • KSF 및 K10을 사용하였다. 5종의 중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시료수는 특급 시약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하였다.
  • 흡착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시간 이후부터 잔여농도 비율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흡착평형에 소요되는 시간을 충분히 평형에 도달할 수 있도록 2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중금속의 농도를 10-100 mg/L범위로 조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는 원료 벤토나이트와 이를 정제하여 제조한 칼슘형 및 나트륨 형 벤토나이트 그리고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계인 KSF 및 K10 표면에 대한 알루미늄(A1), 구리 (Cu), 망간(Mm), 납(pb) 및 아연(Zn)과 같은 중금속의 흡착 거동을 일정한 pH 와 여러 농도범위에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이온에 대한 흡착 등온선을 작성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 5 부근에서 가수분해반응이 발생하여 용존 상태의 A1(OH)2+, Al(OH)3(aq), Al(OH)4; AlOH2+를 거쳐 다이어스포어(diaspore(s))로 전환되어 침전이 발생 하나 침전에 따른 다른 금속이온과의 공침현상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흡착실험은 A13+를 제외하고 다른 흡착 질이 용존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는 pH 5로 결정하였다.
  • 고안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점토광물의 성분은 X선형광분석기(XRF, Rigaku사 RIX 21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150 rpm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또한 흡착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중금속 이온의 잔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일정한 시간 5분, 30분, 60분, 120분 단위로 일정량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원심 분리기(한일과학, Comi 514-R) 를 이용하여 4, 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흡착제와 분리된 상등액 중 10 mL를 0.
  • 먼저 5종 흡착질(Al* Cu2+, Mn2+, Pb2+, Zn2+)의 혼합 사용 가능성을 판정하고, 이것이 가능할 때 적정한 흡착질 용액의 pH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학평형 모델링 프로그램(MINEQL+) 을 사용하여 흡착질 용액의 평형상태를 모사하였다. 흡착질 각 1 mM씩을 혼합한 혼합액에서 pH 변화에 따른 용존 금속이온 농도의 분포곡선을 Fig.
  • 그리고 K와 1/n은 프런들리히 상수를 나타낸다. 본연구에서 액체상 평형농도는 실험에 의하여 설정된 흡착 평형 도달 시간인 2시간 동안 진탕 후 수용액중에 남아있는 잔여중금속의 농도를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ICP)로 측정하여 얻었으며 고체상 농도는 다음의 식으로 구하였다.
  • Zn2+ofl 대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시간별로 채취한 시료를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 속의 잔여 중금속 이온농도를 ICP로 측정하여 각각의 초기농도에 대한 잔여 농도의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Pb?+과 Zn^의 흡착에 있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초기 접촉시간 5분 동안 급격한 흡착률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1시간까지 완만한 상태를 유지하며 감소하다가 1시간 이후부터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점토광물들로부터 Al3+ 이온의 용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착실험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별도의 용출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2시간 동안의 용출 실험 후 용출된 A1"의 농도는 KSF로부터 53 mg/L으로많은 양의 A13+이 용출되었으며 나머지 점토광물들로부터는 A31이 거의 용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금속 이온의 흡착에 있어서 점토광물의 양이온 교환능력 (Cation Exchange Capacity : CEC) 및 전하량은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점토광물의 CEC와 전하량 분석을 통하여 중금속 이온의 흡착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CEC는 각 흡착제 1 g씩을 사용하여 Inglethorpe9) 등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전하량은 PCD 분석기(Particle Charge De­ tector: BTG, Mutek사 PCD-O3p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또한 흡착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중금속 이온의 잔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일정한 시간 5분, 30분, 60분, 120분 단위로 일정량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원심 분리기(한일과학, Comi 514-R) 를 이용하여 4, 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흡착제와 분리된 상등액 중 10 mL를 0.45 pim 멤브레인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4℃ 이하에서 냉장보관하면서 24시간 내로 여액 내에 잔존하는 중금속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 흡착제로 사용된 점토광물들에 의한 Al3+, Cu2+, Mn24, Pb2+ 및 Zr2+의 흡착 제거 율(percentage removal) 및 이들의 흡착용량(adsorption capacity)을 비교하기 위하여 혼합용액 중의 각 증금속 이온의 농도를 10-100 mg/L까지 변화시키면서 접촉 시간 2시간 동안의 흡착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Fig. 3과 6~9에 나타내었다.
  •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과 흡착질 용액의 초기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흡착제로 Raw-Bentonite 1 g을 사용하여 Pb2+ 과 Zn2+ofl 대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시간별로 채취한 시료를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 속의 잔여 중금속 이온농도를 ICP로 측정하여 각각의 초기농도에 대한 잔여 농도의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Fig.

대상 데이터

  • Ca2+ 치환형 벤토나이트(이하 Ca-Bentonite로 표기)와 Na+ 치환형 벤토나이트(이하 Na-Bentonite로 표기)는 Raw-Bentonite 를 정제하여 추출한 점토를 각각 CaCh . 2H2O와 Na2CO3< 이용하여 치환시켜 제조하였고, 이것을 분쇄하여 75 nm 체통과 분만을 사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 계의 두 가지 광물은 시약급으로 Sigma-Aldrich사의 K10(281522, bulk density 300-370 g/L, OH기 포함)과 KSF(281530, bulk density 800- 850 g/L)를 사용하였다.
  • 10) 흡착제의 입경은 흡착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입경이 클 경우 평형에 도달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흡착용량을 측정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F와 K10을 제외한 점토광물들을 75 gm 이하로 분쇄하여 흡착실험에 사용하였다.
  • 2H2O와 Na2CO3< 이용하여 치환시켜 제조하였고, 이것을 분쇄하여 75 nm 체통과 분만을 사용하였다. 몬모릴로나이트 계의 두 가지 광물은 시약급으로 Sigma-Aldrich사의 K10(281522, bulk density 300-370 g/L, OH기 포함)과 KSF(281530, bulk density 800- 850 g/L)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5종의 점토 광물들의 조성과 비표면적을 분석하여 Table 1과 2에 각각 나타내 었다.
  • 무기계 흡착제로 사용된 원료 벤토나이트(이하 Raw-Bentonite 로 표기)는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한국 S사의 중국산 고품위 칼슘형 원광석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5(TC에서 1주일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75 Mm 체 통과분만을 사용하였다. Ca2+ 치환형 벤토나이트(이하 Ca-Bentonite로 표기)와 Na+ 치환형 벤토나이트(이하 Na-Bentonite로 표기)는 Raw-Bentonite 를 정제하여 추출한 점토를 각각 CaCh .
  • 점토광물을 이용하여 수중에 용존 되어 있는 Al3+, Cu2+, Mn2+, Pb2+ 및 +의 흡착/이온교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기계 흡착제로 원료 벤토나이트 Ca2+ 치환형 벤토나이트, Na* 치환형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계인 KSF 및 K10을 사용하였다. 5종의 중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시료수는 특급 시약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론/모형

  • CEC는 각 흡착제 1 g씩을 사용하여 Inglethorpe9) 등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전하량은 PCD 분석기(Particle Charge De­ tector: BTG, Mutek사 PCD-O3p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한편 흡착 시간별로 또는 흡착 평형에 도달한 후에 채취한 시료중의 잔여 중금속 이온농도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 (ICP, Thermo elemental사 모델 IRIS DU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흡착등온선상의 기울기와 절편으로부터 K와 1/n 값을 구하기 위하여 Frendlich 식에 대수를 취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 회귀 식을 적용하였다.
  • 흡착에 사용된 5종의 점토광물들의 비표면적을 EGME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를 사용하여 Carter8' 등에 의해 고안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점토광물의 성분은 X선형광분석기(XRF, Rigaku사 RIX 21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atloc,. M. M., Howerton, B. S., and Atwood, D. A., 'Chemical precipitation of lead battery recycling plant wastewater,' Ind. Eng. Chem. Res., 41, 1579(2003) 

  2. Chang, H. J., Chirley, K. M. Wai., and Alfred, W. F., 'Removal of heavy metal by nucleated precipitation,' proceedings of the 7th IAWQ Asia-Pacific regional conference-ASIAN WATERQUAL '99, 1, 427(1999) 

  3. 이승엽, 김수진, 정상용, '유기점토를 이용한 다환방향족 오염물과 중금속의 흡착특성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pp. 434(2003) 

  4. 유지영, 최재영, 박재우, '유기벤토나이트에 의한 중금속 흡착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p. 168(2001) 

  5. 엄태호, 김유택, 이기강, 김영진, 강승구, 김정환, '점토광물에 의한 중금속 흡착 특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pp.168(2001) 

  6. Yong, R. N., Mohamed, A. M. O., and Warkentin, B. P., Principle of contaminant transport in soils 1st ed., Elsevier, p. 327(1992) 

  7. 엄태호, 김유택, '처리조건에 따른 중금속 이온의 안정화거동,' 한국세라믹학회지, 40(6), 583-588(2003) 

  8. Carter, D. L.,Heilman, M. D., and Gonzalez, S. L., 'Ethylene glycol monoethyl either for determining surface area of silicate minerals,' Soil Sci., 100, 356-360 (1965) 

  9. Inglethorpe, S. D. J., Morgan, D. J., Highley, D. E., and Bloodworth, A. J., 'Industrial Minerals Laboratory Manual BENTONITE,' Technical report wg/93/20, British Geological Survey, pp. 65-72(1985) 

  10. 김철규, '금속산화물 첨착 활성탄의 물성과 Atrazine의 흡착,'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5(4), 57-66(1997) 

  11. Inskeep, P. W. and Baham, J., 'Adsorption of Cd(II) and Cu(II) by Na-Montmorillonite at low surface coverage,' Soil Sci. Soc. Am. J., 47, 660-665(1983) 

  12. Robert, D. H., 'Effect of soil pH on adsorption of lead, copper and nikel,' Soil Sci. Soc. Am. J., 48, 1050- 1064(1984) 

  13. Gozen, B., Aroguz, A. Z., and Ozel, M. Z., 'Removal of Pb(II), Cu(II) and Zn(II) from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 bentonite,' J. Colloid and Interface Sci., 187, 338-343(1997) 

  14. Oguz INEL, Fehmi ALBAYRAK, Aysegul ASKIN, 'Cu and Pb adsorption on some bentonitic clays,' Turk. J. Chem., 22, 243-252(1998) 

  15. McCabe, W. L., Smith, J. C., and Harriot, P., Unit oper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5th ed., McGraw-Hill, USA(1993) 

  16. 홍영호,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의한 중금속의 흡착특성,' 한국공업화학회지, 14(4), 426-432(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