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 약물오남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Drug Misuse and Abuse Preventiv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19 no.2, 2006년, pp.89 - 104  

이윤영 (서울삼육중학교) ,  한숙정 (삼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s of drug misuse and abuse preventiv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This research was a quasi experimental study unde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test-post test design which tried to protect children from the detrimen...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고복자 (1991). 청소년 약물남용에 대한 학교 예방 대책, 제 25회 청소년 문제연구 심포지움 자료 

  2.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OECD Health Data 2005를 통해 본 한국의 보건의료현실. 국민건강보험 공단보도자료 

  3. 김남숙 (2001). 약물남용예방 교육프로그램이 남자 중학생의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30. 부산 

  4. 김문섭 (1998) 청소년의 약물문화와 학교의 약물교육. 문화연구, 1(1). 55-82 

  5. 김소야자, 박명윤, 오가실, 김경환, 서일 (1991).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조사. 체육청소년부, 50-51 

  6. 김소야자, 김선아, 공성숙, 김명아, 서미아 (1999).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9(1). 150-160 

  7. 김소야자, 서미아, 남경아, 박정화 (2001),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교육 모델 개발 및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0(1).66-75 

  8. 김화중 (1994). 보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수문사 

  9. 문화관광부 (2001). 청소년백서. 문화관광부 

  10. 박인혜, 조인숙. 류현숙 (2003). 초등학교 학생의 약물남용에 대한 실태와 태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6(1), 121-133 

  11. 성정혜 (2004). 초등학생을 위한 약물남용프로그램의 적용효과. 계명대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7. 대구 

  12. 양태경 (1999). 고등학생들의 약물남용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대구 

  13. 원사덕 (2002). 효과적인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프로그램 수립에 관한 연구. 한성대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58, 서울 

  14. 이기문, 임홍빈 (1995). 우리말 돋움사전 (872p). 서울: 동아출판사 

  15. 이복순 (2002). 약물남용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6, 전주 

  16. 이숙련 (1995). 부산시내 중.고등학생의 약물에 대한 태도와 남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8(2). 257-275 

  17. 이후경. 김선재, 윤성철, 봉수연, 안현주, 박선영 (2001) 한 중소도시의 청소년 약물사용 실태조사. 신경정신학회지. 40(1), 23-36 

  18. 정미숙 (2002). 초등학교 교사의 약물교육 수행정도. 아동간호학회지, 10(1). 29-36 

  19. 차현숙 (1997). 약물남용예방교육이 여중생들의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32. 서울 

  20. 청소년보호위원회 (2004). 음주청소년 특성 조사 및 개선방안, 33-91 

  21. 최선화 (1996). 청소년과 약물남용. 서울: 홍익재 

  22. 최순화 (2003). 물질남용 예방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35, 광주 

  23. 최영신 (2004).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의 추이분석: 청소년문화와 정책적 의미. 청소년학 연구. 11(3). 1-22 

  24.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연세대학교 국민건강증진연구소 (2005). 2005 중.고등학교 흡연실태 조사. 청소년보고서, 4-40 

  25. Botvin, G. J., Baker. E.. Dusenbury, L., & Botvin, E. M. (1995).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a randomized drug abuse prevention trial in a white middle-class population. JAMA, 273, 1106-1112 

  26. Clayton. R. R., Cattarello, A. M. & Jhonstone, B. M. (1996). The effectiveness of Drug abuser Resistance Education 5-year follow-up results. Preventive Medicine. 25(3). 14-20 

  27. Cuijpers, P.. Jonkers, R., De Weerdt, I.. & De Jong, A . (2002). 'The effects of drug abuse prevention at school: the Healthy School and Drugs' project. Addictions. 97. 67-73 

  28. Dick, W.. & Carey, L. (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4th Ed). NY: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29. Dusenbury. L.. & Falco, M. (1995). Eleven components of effective drug abuse prevention curricula. Journal of School Health. 65(10). 420-425 

  30. Hawkins, D., & Cutalano, R. (2000). Working to make school and communities safer for learning. Available at: http://www.hamfish.org/programs/226.html 

  31. Komro. K. A.. Perry. C. L.. Williams. C. L.. Stigler. M. H.. Farbakhsh, K.. & Veblen-Mortenson, S. (2001). How did Project Northland reduce alcohol use among young adolescents? Analysis of mediating variables. Health Education Research. 16. 59-70 

  32. Kozier. B.. Erb, G.. Blais. K.. & Wilkinson. J. M. (1995). Fundamentals of nursing: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5th Ed.), CA: Addison-wesley 

  33. Little, R. (1975). New Age in the Schools: Quest Anti- Drug Program or Values Clarification. Available at: http://www.watchman.org/cults/quest.htm 

  34. Sadava, S. W. (1973). patterns of college student drug use. psychological reports. 33. 75-86 

  35. Sheingold, K.. & Tenny. Y. J. (1982). Memory for a salient childhood event. In U. Neisser (Ed.), Memory observed (pp. 201-212). New York: Freeman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