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난청의 발생빈도 및 위험요소의 중요성
Incidence of hearing loss and importance of risk factor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49 no.8, 2006년, pp.845 - 850  

공승현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강장희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황광수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김중표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이현정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최현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목지선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  김정영 (좋은문화병원 소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선천성 또는 신생아시기에 위험요인을 가진 환아에서 조기 난청의 발생율이 높으며, 지연성 또는 진행성으로 발생하는 난청의 상당 부분도 신생아시기에 위험요인이 있었던 환아에서 발생 한다. 따라서 위험군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위험인자를 발견 할 수 있는 신생아 집중 치료실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청력선별검사를 시행하고 난청 발생 빈도와 위험인자들간의 관계 및 상대적인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좋은문화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1,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는 입원원인질환에서 회복되고 교정연령 36주 이상, 체중 2,200 g이상 되었을 때 자동뇌간유발반응검사(AABR. ALGO-3)를 시행하였으며 1차 청력검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군 통과하지 못한 경우 'refer'군으로 하였다. 첫 번째 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1개월 뒤에 재검사를 받도록 하였고 재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난청 클리닉에 의뢰하여 난청을 확진하였다. 결 과 : 총 1,201명중 1,187명(98.8%)은 청력검사를 통과 하였고 14명(1.2%)이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대상자중 293명(24.4%)이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282(96.2%)이 통과 하였고, 11명(3.8%)이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위험군에서 난청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각 위험인자들 중에서 난청발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청력손상을 일으키는 약물의 사용(P<0.001), 출생체중 1,500 g 이하(P<0.001), 안면부 기형(P=0.007) 등이었다. 반면에 위험인자 중 선천성 감염, 고빌리루 빈혈증, 세균성 뇌수막염, 낮은 Apgar점수, 5일 이상의 인공호흡기 사용, 청력 이상을 나타내는 증후군 등은 'pass'군과 'refer'군 사이에 발생 빈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적절한 시기에 난청을 진단하기 위해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 뿐만 아니라 난청의 위험요소를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assess the incidence of neonatal hearing los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risk factors for hearing imparement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hich the Joint Committee on Infant Hearing(JCIH) had recommended. Methods : One thousand, two hundred and...

주제어

참고문헌 (28)

  1. Pediatrics Mason 101 221 1998 10.1542/peds.101.2.221 

  2. Pediatrics Mehl 101 1 1998 10.1542/peds.101.1.e4 

  3. Laryngoscope Oghalai 112 281 2002 10.1097/00005537-200202000-00015 

  4. Pediatric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03 527 1999 10.1542/peds.103.2.527 

  5. NIH Consensus Statement. Early identification of hearing impairmen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 1993 

  6. Acta Otolaryngol Suppl Moore 421 19 1985 10.3109/00016488509121753 

  7. Laryngoscope Brookhouser 101 1264 1990 10.1002/lary.5541011202 

  8. Semin Hear Yoshinaga-Itano 16 115 1995 10.1055/s-0028-1083709 

  9. Pediatrics Paradise 205 1119 2000 10.1542/peds.105.5.1119 

  10. Otolaryngol Head Neck Surg Waltzman 126 505 2002 10.1067/mhn.2002.124472 

  11. Otolaryngol Head Neck Surg Hassanzadeh 126 524 2002 10.1067/mhn.2002.125110 

  12. Pediatrics Joint Committee on Infant Hearing 106 798 2000 10.1542/peds.106.4.798 

  13. Pediatrics Cunningham 111 436 2003 10.1542/peds.111.2.436 

  14. J Pediatr Fowler 130 624 1997 10.1016/S0022-3476(97)70248-8 

  15. J Pediatr Fowler 135 60 1999 10.1016/S0022-3476(99)70328-8 

  16. J Pediatr Peltora 104 869 1984 10.1016/S0022-3476(84)80483-7 

  17. Braz J Infect Dis Dias 3 15 1999 

  18. Auris Nasus Larynx Yoshikawa 31 361 2004 10.1016/S0385-8146(04)00115-4 

  19.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Shott 61 199 2001 10.1016/S0165-5876(01)00572-9 

  20. Ear Hear Barbara 21 488 2000 10.1097/00003446-200010000-00012 

  21.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Razi 30 29 1994 10.1016/0165-5876(94)90048-5 

  22. S Afr Med J Grobler 87 1146 1997 

  23. Clin Perinatol Vohr 17 293 1990 10.1016/S0095-5108(18)30569-4 

  24. Acta Otolaryngol Gafni 82 354 1976 10.3109/00016487609120919 

  25. Am J Otolaryngol Nuttall 1 147 1980 10.1016/S0196-0709(80)80008-1 

  26.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Sohmer 73 328 1989 

  27. Infants and Hearing Hayes 1996 

  28. Nat Genet Petit 14 385 1996 10.1038/ng1296-3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