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 폴리에틸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ycled Polyethylene Composites with Ground Waste Tire Powder 원문보기

엘라스토머 = Elastomer, v.41 no.2, 2006년, pp.97 - 107  

계형산 (목원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신경철 (충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방대석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타이어와 폐수지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와 신재HDPE를 폐타이어 분말(GWTP)과 치합형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Fuly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각 조성별로 용융 훈련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수지 (재생 PE, HDPE)와 폐타이어 분말의 혼합비를 $0\sim50$wt.%로 하였으며, ASTM에 의거하여 인장강도, 파단신율, 충격강도 등의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파단신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충격강도는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30 wt.%일 때 최대이고, 함량이 증가할수록 충격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고찰에서는 폐타이어 분말의 함량의 증가함에 따라 파단면이 거칠어지는 형상을 관찰하였다. 모세관점도계(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전단속도의 변화에 따른 용융전단점도의 변화와 연화점 (Ts) 등의 유변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폐타이어 분말 함량 증가에 따라 외부 응력에 대한 흐름 저항성을 증가시켜 용융점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측정된 전단율에서 전단 점도는 Power-law 거동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ycled polyethylene composites with various ratio of ground waste tire powder were manufactured by using a fully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for the reuse of waste tire scrap. In this investigation, the ground waste tire powders (GWTP) were blended with virgin HDPE and recy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그러나 폐타이어의 분말을 이용한 재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경제성과 품질 문제 등이고, 이러한 문제점이 수요 창출의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보다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폐타이어 고무분말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6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연구는 폐석분-폐타이어 분말 충전 혼성 복합재료의 제조, 폐타이어재활용을 위한 GWTP/HDPE 복합체, 폐타이어 분말과 PE/PS 수지를 이용한 복합재료, GWTP/PE 복합체 연구, 냉동 분쇄 폐타이어 분말의 충전 제로 의사용 및 폴리올레핀과의 블렌드 연구 등으로 이는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하여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복합체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나 폐플라스틱과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복합재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 그러나 한국 환경재생공사에서의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수거 및 처리는 단순한 수거 및 분쇄에 이르고 있어 새로운 재활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타이어와 폐플라스틱 (재생 PE)을 이용한 재활용품 제조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폐비닐로부터 생산된 한국재생 PE, 폐전선관을 재활용하여 생산된 일본재생 PE, 그리고 비교 목적으로 사용된 신재 H2PE와 폐타이어 분말을 무게비와 또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각각 블렌드하여 인장강도, 파단신율,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제품화가 가능한 최적의 물성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해 폐 PE를 재활용하는 연구로서 폐타이어 분말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 S. Hwang and J. W. Park, 'Preparation of Composite with Reinforced Tire Waste Chip and Effect of Various Matrices on Mechanical Properties', Korean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17(3), 305 (2000) 

  2. T. S. Hwang, S. G. Lee, and K. S. Cha,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ybrid Composites Filled with Waste Stone and Tire Powders', Polymer (Korea), 25(6), 774 (2001) 

  3. KOTMA Journal, 'Achievements of Waste Tire Recycling on 2004 and its Plan on 2005', 39(1), 64 (2005) 

  4. J. K. Kim, 'Recycling Technologies for Scrap Waste Tires', Elastomer, 28(3), 205 (1993) 

  5. J. L. Park, C. H. Cho, and S. K. Lee, 'A Study on GRT/HDPE Composite for Reuse of Waste Tire (I)', Korean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13(6), 699 (1996) 

  6. J. K. Kim, H. N. Cho, and S. K. Lee, 'Effect of the Binder Content on the Recycling of Scrap Waste Ti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Rubber Industry, 29(5), 431 (1994) 

  7. R. K. Mantan, 'Rubber Engineering', ed. by Indian Rubber Institute, p. 821, McGraw-Hill, 1998 

  8. C. Sirisinha, P. Sae-oui, J. Guaysomboom, 'Mechanical Properties, Oil Resistance, and Thermal Aging Properties in Chlorinated Polyethylene/Natural Rubber Blend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84, 22 (2002) 

  9. C. Keith Riew, 'Rubber-Toughened Plastics', ed. by American Chemical Society, p. 225, 1989 

  10. P. Rajalingam and W. E. Baker, 'The Role of Functional Polymers in Ground Rubber Tire-Polyethylene Composite', Rubber Chemistry & Technology, 65, 908 (1992) 

  11. J. S. Kim, S. J. Kim, K. C. An, S. Lim, D. H. Kim, and C. Han, 'The Effect of Additives in Waste Tire/Plastic Composites Using Internal Mixer', Polymer (Korea), 27(6), 562 (2003) 

  12. S. C. Kim, 'Polymer Engineering I', pp. 304-309, Scitech Media, 1994 

  13. S. C. Kim, 'Polymer Engineering II', pp. 247-293, Scitech Media, 1997 

  14. T. W. Yoo, B. H. Park, and C. H. Choi, 'Development of Thermoplastic Polyolefins for Bumper Cover: 2. Effect of Rubber Viscosity', Polymer (Korea), 20(5), 805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