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방조제 축조에 따른 지형 및 입도특성의 변화
Topographical Changes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Around the Saemangeum Dyke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8 no.3, 2006년, pp.293 - 303  

이희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조형래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민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opography of the sea floor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re documented in areas off sectors 1,2, and 4 of the Saemangeum dyke and inside the dyke. These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years 2002 to 2005, when the dyke construction almost came to an end, and were compar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난 3년간 획득한 새만금방조제 주변 해역에 대한 수심도와 퇴적물 시료를 바탕으로 방조제에 의한 지형변화와 표층퇴적물의 입도변화를 제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새만금 해역에서 기본적인 퇴적환경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 제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새만금 해역에서 기본적인 퇴적환경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지리원. 1981.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군산지구). 건설부. 63 p. 

  2. 농림부. 1997. '97 새만금지구 수리실험 및 파랑관측 보고서. 농어촌진흥공사 연구보고서, 97-11-03. 853 p. 

  3. 농림수산부. 1994. 새만금 종합개발 사업: 어업피해 보상 조사연구: 제 IV편 지질해양학적 조사. 364 p. 

  4. 농어촌진흥공사. 1998. 방조제 축조 후 연안의 해안지형과 퇴적환경 변화 연구(II). 농어촌진흥연구원 연구보고서, 98-05-32. 177 p. 

  5. 최경식. 1994. 한국 서해 만경강 동진강 연근해역 해저퇴적층의 퇴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3 p. 

  6. 한국해양연구소. 1993. 방조제 축조에 따른 퇴적환경 변화 연구(I). 한국해양연구소 연구보고서, BSPN 00208-626-5. 175 p. 

  7. 한국해양연구소 1997. 해저층 퇴적물 이동관측 및 예측기술(I). 한국해양연구소 연구보고서, BSPN 00302-933-5. 255 p. 

  8. 한국해양연구소. 1999. 새만금 방조제 주변 부유물질의 거동특성과 인공갯벌의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연구소 연구보고서, BSPE 99772-00-1232-5. 211 p. 

  9. 해양수산부. 2003.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1차 년도) - 지질, 갯벌분야.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BSPM 139-06-1514-5. 293 p. 

  10. 해양수산부. 2004.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2차 년도) - 지질, 갯벌분야.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BSPM 195-05-1581-5. 357 p. 

  11. 해양수산부. 2005.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3차 년도) - 지질, 갯벌분야.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BSPM 26008-1691-5. 663 p. 

  12. 해양수산부. 2006.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4차 년도) - 지질, 갯벌분야. 한국해양연구원 연구보고서, BSPM 32007-1764-5. 487 p. 

  13. Dalrymple, R.W., B.A. Zaitlin, and R. Boyd. 1992. Estuarine facies models: Conceptual basi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J. Sediment. Petrol., 62, 1130-1146. 

  14. Dyer, K.R. 1989. Sediment processes in estuaries: Future research requirements. J. Geophy. Res., 94(C10), 14327-14339. 

  15. El-Asmar, H. and K. White. 2002. Changes in coastal sediment transport processes due to construction of New Bamietta Harbour, Nile Delta, Egypt. Coast. Eng., 46, 127-138. 

  1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 Publishing, Austin, Texas. 170 p. 

  17. Jaramillo, E., H. Contrearas, and A. Bollinger. 2002. Beach and faunal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of a seawall in a sandy beach of South Central Chile. J. Coast. Res., 18, 523-529. 

  18.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y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48, 429-438. 

  19. Lee, H.J. 1986. Som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elected sediment cores from the Korean sea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42 p. 

  20. Lee, H.J. and S.K. Chough. 1989. Sediment distribution, dispersal and budget in the Yellow Sea. Mar. Geol., 87, 195-205. 

  21. Lee, H.J. and Y.S. Chu. 2001. Origin of inner-shelf mud deposi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Huksan mud belt. J. Sediment. Res., 71, 144-154. 

  22. Miles, J.R., P.E. Russel, and D.A. Huntley. 2001. Field measurements of sediment dynamics in front of a seawall. J. Coast. Res., 17, 195-206. 

  23. Park, Y.A., H.J. Kang, and Y.I. Song. 1991. Sandy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on tidal sandy bodies, west coast of Korea. Kor. J. Quart. Res., 5, 33-46. 

  24. Plant, N.G. and G.B. Griggs. 1992. Interactions between nearshore processes and beach morphology near a seawall. J. Coast. Res., 8, 183-200. 

  25. Pritchard, D.W. 1967. What is an estuary: physical viewpoint. p. 1-10. In: Estuaries. ed. by G.H. Lauff.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26. Ruggiero, P. and W.G. McDougal. 2001. An analytic model for the prediction of wave setup, longshore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on beaches with seawalls. Coast. Eng., 43, 161-182. 

  27. Schubel, J.R. and V.S. Kennedy. 1984. The estuary as a filter: an introduction. p. 1-11. In: The Estuary as a Filter. ed. by V.S. Kennedy. Academic Press, New York. 

  28. Thomalla, F. and C.E. Vincent. 2003. Beach response to shore-parallel breakwaters at Sea Palling, Norfolk, UK. Estuar. Coast. Shelf Sci., 56, 203-212. 

  29. Yang, S.-L., Q.-Y. Zhao, and I.M. Belkin. 2002. Temporal variation in the sediment load of the Yangtze River and the influences of human activities. J. Hydrol., 263, 56-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