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의 공간상관구조에 대한 무강우자료의 영향
Effect of Zero Measurements on the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2 = no.163, 2006년, pp.127 - 138  

유철상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하은호 (연세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김경준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공간상관구조에 대한 무강우 자료의 영향을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강우자료의 형태는 두 강우관측소 모두 양의 자료를 가지는 경우, 두 지점중 하나 이상의 양의 자료를 가지는 경우, 그리고 전체자료를 사용한 경우 등 3가지를 고려하였다. 아울러 사용된 자료는 강우의 형태별로 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에 의한 강우로 나누어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금강유역 내 12개 강우관측소의 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WMO에서 추천하는 강우관측망의 밀도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한 강우에 대하여는 적절하지만, 대류성 강우에 대하여는 부족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zero measurements of rainfall on the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the mixed distribution function. Three cases of data structures were considered at two gauge stations: only the positive measurements at both stations, the positive measurements at either one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기상청 (1982). 기상월보 6월, 7월, 8월, 9월 

  2. 기상청 (1983). 기상월보 6월, 7월, 8월, 9월 

  3. 기상청 (1984). 기상월보 6월, 7월, 8월, 9월 

  4. 기상청 (1985). 기상월보 6월, 7월, 8월, 9월 

  5. 김성렬, 양진석 (1995). '한국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지역 구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 제1 권, 제1호, pp. 45-60 

  6. 김웅태, 이동률, 김선권, 이시현 (2000).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절 강수지역 구분.' 2000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5-78 

  7.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6권, 제4 호, pp. 203-215 

  8. 박정규, 이승만 (1993). '연강수량에 의한 남한의 강수 지역구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9권, 제2호, pp. 117-126 

  9. 유철상, 김인배, 류소라 (2003). '우량계의 밀도 및 공 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2호, pp.173-181 

  10. Arnaud, P., Bouvier, C, Cisneros, L., and Dominguez, R (2002). 'Influence of rainfall spatial variability on flood predic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60, pp. 216-230 

  11. Eagleson, P.S. (1972). Dynamics of flood frequenc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8(4), pp. 878-898 

  12. Finnerty, B.D., Smith, M.B., Sea, D.J., Koren, V., and Moglen, G.E. (1997). 'Space-time scale sensitivity of the Sacramento model to radar-gauge precipitation inputs.' Journal of Hydrology, Vol. 203, pp.21-38 

  13. Graves, C.E., Valdes, J.B., Shen, S.S.P., and North, G.R. (1993). 'Evaluation of sampling errors of rainfall from space-borne and ground sensor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2, pp. 374-384 

  14. Houze, R.A. and Cheng, C.P. (1977). 'Radar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onvection observed during GA 1E: Mean properties and trends over the summer season.' Monthly Weather Review, Vol. 105, pp. 964-980 

  15. Parzen, E. (1962). Stodastic Processes, Holden-Day, 324 pp 

  16. Shimizu, K (1993).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ith an analysis of rainfall dat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2, pp. 161-171 

  17. Valdes, J.B., Ha, E., Yoo, C, and North, G.R (1994). 'Stochastic characterization of space-time precipitation: Implications for remote sensing.'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7, pp. 47-99 

  18. Woods, R. and Sivapalan, M. (1999). 'A synthesis of space-time variability in storm response: Rainfall, runoff generation, and rout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8, pp. 2469-2485 

  19. Yoo, C., Valdes, J.B., and North, G.R. (1996). 'Stochastic modeling of multi-dimensional rainfall fields considering spectral structur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2, No.7, pp. 2175-21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