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하구둑 축조 전·후의 지형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pography Change of th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at Geum River Estuary Dik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2 = no.163, 2006년, pp.179 - 186  

홍성근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산학) ,  신문섭 (군산대학교 토목) ,  강신중 (군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김재형 (군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강하구둑 축조 전 ${\cdot}$ 후의 조석변화를 알기위하여 금강하구의 조류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구둑 축조 후에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연도별 해도자료를 이용하여 구간별 수심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 ${\cdot}$ 북측도류제 사이의 수로에서는 세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군산외항에서 하구둑까지의 수로에서는 퇴적이 발생하였다. 조석변화는 건설과 준설, 금강하구둑의 수문닫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수심변화는 금강하구둑 건설과 남측도류제, 군장 국가공단 조성사업, 새만금 4호 방조제 건설의 영향에 의하여 야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harmonic and non-harmonic constant of Geum River estuary to know tidal change of th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at Geum River estuary dik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armonic and non-harmonic constant after estuary dike building increased. Also, depth change analyzed at each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에 대한지형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도가 새롭게 제작된 1958년, 1966년, 19기년, 1979년, 1996년, 1999년의 해도자료를 이용하여 퇴적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금강 하구둑 축조 전·후의 조석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퇴적변화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금강하구둑 축조 전·후의 군산외항조석변화와 제작 연도별 해도자료를 구축하여 수심변화를 비교 .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권효근, 이상호 (1997). '금강 하구언의 수문닫음으로 인한 하구의 해수면 변화.'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한국해양학회, pp. 1-1 

  2. 군산지방해양수산청 (1999). 금강하구 수리현상 변화조사 보고서 

  3. 군산지방해양수산청 (2001). 군 . 장항 매몰저감대책시설 기본계획수립 용역 보고서 

  4. 박원경, 서승원 (1995). '대규모 공사로 인한 금강하구역의 퇴적환경변화.'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희 발표논문 초록집,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 pp. 44-47 

  5. 해운항만청 (1982). 군산항 수심측량 용역보고서 

  6. 서승원 (1998a).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1)-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논문집,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 제 10권, 제 1호, pp. 10-17 

  7. 서승원 (1998b)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2) -수치실험을 중심으로-.'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논문집, 제 10권, 제 1호, pp. 18-26 

  8. 신문섭, 배기성, 김남형 (2001). '새만금 간척전 . 후 금 강 하구의 퇴적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 2권, 제 3호, pp. 5-15 

  9. 신문섭 (2002). '새만금간척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II).' 한국농공학회지, 제 44권, 제 5호, 별책 

  10. 신문섭, T. Yanagi (2002). '새만금간척 전 .후 잔차류 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 35권, 제 4호, pp. 425-442 

  11. 안희수, 오임상 (1995). '유한요소법에 의한 금강하구역의 조석 및 금강 유입의 수치실험.' 한국해양학회지, 제 30권, pp. 161-168 

  12. 최병호, 오윤근 (1987). '금강하구둑에 의한 조석변화의 초기추정.' 한국수문학회지, 제 20권, 제 2호, pp. 161-168 

  13. Masch, F. D., R. J. Branders and J. D. Reagan (1997). 'Computation of Numerical Hydraulic Models.' Masonboro Inlet, North Carolina, Giti Report 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